항목

  • 한미연합사령부 韓美聯合司令部, ROK·US Combined Forces Command
    합참의장이 동 서명하여 공식적인 합의절차를 완료함으로써 1994년 12월 1일 한국군은 평시 작전통제권을 환수했다. 이로써 1950년 유엔군사령관에게 작전지휘권을 이양한 이래 44년 만에 국가주권의 중요한 일부인 평시 작전통제권을 환수하고, 독자적인 작전지휘체제를 확립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의의와 평가 한·미...
    시대 :
    현대
    설립 :
    1978년 11월 7일
    성격 :
    군사조직
    유형 :
    단체
    해체 :
    2012년4월 17일 예정
    분야 :
    정치·법제/국방
  • 항구적 자유 작전 - 아프리카의 뿔 Operation Enduring Fre..
    국가 8개국에 이르는 작전 범위를 가진다. 원래는 미국 유럽 사령부에서 이 작전을 이끌었으나 미국 아프리카 사령부가 창설된 이후 이 사령부가 작전지휘권을 유럽 사령부에서 인계받았다.웹 인용 CJTF – 아프리카의 뿔(CJTF-HOA)은 작전의 목표를 완수하기 위해 구성된 주요 군대 중 하나로, 해군 부대는 다국적...
    도서 위키백과
  • 처칠의 명성과 정치
    해군부에서 배제한다는 조건으로 보수당과 연립내각을 구성했다. 처칠은 해군장관에서 랭커스터 공령으로 좌천되었으며, 갈리폴리 작전에 대해 특별한 권한이 주어졌으나 작전지휘권을 행사할 수는 없었다. 1915년 11월에 사임한 처칠은 프랑스 전선에서 제6 로열 스코틀랜드 퓨질리어 연대를 지휘했다. 1916년 6월 그는...
  • 6 ・ 25전쟁의 발발
    중심으로 한 16개 나라 연합군(유엔군)을 조직해 한국으로 보냈다. 이로써 6 ・ 25전쟁은 국제전으로 확산됐다. 한편 이승만 대통령은 7월 14일 한국군의 작전지휘권을 미국에 넘겼다. 미국 참전 후에도 북한군의 기세는 꺾이지 않았다. 북한군은 7월 초 대전에서 미군을 물리치고 7월 말에는 경상도 일대를 제외한 남한...
    시대 :
    1950년 6월 25일
    국가/대륙 :
    한국
  • 국방부 MND, 國防部
    같은 해 4월에는 해병대가, 10월에는 공군이 창설되면서 이후 한국 군대의 기본 체제가 갖추어졌다. 전쟁 및 정비기 1950년 6.25전쟁이 발발하고, 7월 작전지휘권을 국제연합군 총사령관에 위임했다. 9월에는 여군이 창설되었다. 유엔군의 인천상륙작전에 이어 공방이 지속되다가 1953년 7월 정전협정이 조인된 후, 10월...
    설립 :
    1948년
    소재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 22
    사이트 :
    국방부 홈페이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 테더 Arthur William Tedder, 1st Baron Tedder (of Gl..
    1936~38), 그뒤 연구개발부 책임자가 되었다. 1941년 중동지역 공군 사령관으로 임명된 그는 나중에 북아프리카와 이탈리아에서 연합국의 모든 공군 작전 지휘권을 행사했다. 1942년 기사작위가 수여되었다. 그는 다른 연합군과 협조해 적의 보급선을 폭격으로 차단하는 한편, 연합군 지상 부대를 전술적으로 지원함...
    출생 :
    1890. 7. 11, 스코틀랜드 스털링 글렝귄
    사망 :
    1967. 6. 3, 잉글랜드 서리 밴스테드
    국적 :
    영국
  • 지휘통제 Command and control, 統制
    전쟁 지휘통제(指揮統制, 군사력을 행사하는 기능인 지휘(指揮, 시간, 장소를 평가 배분하고 작전 행동을 감시함으로써 지휘관의 기도를 달성하기 위해 부하의 행동을 합리적 효율적 측면에서 감독하는 통제(統制, lang)를 함께 통칭하는 이름이다. lang - 통제lang - 첩보lang - 정찰lang - 감시 C2I 지휘, 통제 및...
    도서 위키백과
  • 전시 작전통제권
    한미연합사령부가, 평시 작전권은 한국 합동참모본부가 갖는다. 평시인 데프콘 4의 경우에는 대한민국 국군이 지휘하며, 데프콘 3부터 1까지는 한미연합사가 지휘권을 갖는다. 한미연합작전통제권에 들어있지 않은 부대로는 육군 제2작전사령부, 특수전사령부, 수도방위사령부와 인근의 2개 사단 포함되어 있다. 즉...
    도서 위키백과
  • 한미군사위원회 韓美軍事委員會
    받아 만장일치의 원칙에 의해 공동으로 작전 및 전략지침을 결정한 후 합의된 지침을 한미연합사령관에게 하달하는 것이다. 이것은 기존의 한국군에 대한 작전지휘권의 행사과정이 미국측의 일방적 결정에 의해 미국 대통령, 국방부장관, 합동참모회의 의장, 국제연합군 사령관 겸 주한미군사령관의 순서로 하달되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방
  • 반공포로석방 反共捕虜釋放
    북진통일하겠다는 이승만 대통령의 입장을 지지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3일 후에 대통령은 중공군이 압록강 남쪽에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면 한국군의 작전지휘권을 위임한 것을 철회하여 필요하다면 단독으로라도 싸울 것이라고 아이젠하워 미 대통령에게 통보하였다. 4월 27일 유엔군사령관은 이승만 대통령과 회담...
    시대 :
    현대
    발생 :
    1953년 6월 18일
    유형 :
    사건
    종결 :
    1953년 6월 19일
    분야 :
    정치·법제/국방
  • 레드 윙스 작전 Operation Red Wings, レッド・ウィング作戦 (..
    변속기를 타격했고, 항공기는 즉시 지상으로 추락했다. 이로 인해 제 160 특수작전항공연대 항공기 사령관 스티븐 C 소령을 포함한 8명의 제 160 특수작전항공...승무원 그리고 탑승한 8명의 해군 특수부대원들이 모두 사망했다. 이 시점에 지휘권과 통제권이 상실되었고, 네이비씰 팀과 무선 통신을 실행할 수 없게...
    도서 위키백과
  • 청색 작전 Case Blue, ブラウ作戦
    잇달아 하달되었고, 그것이 일단락되었을 때는 블라우 작전은 수습하기 어려운 혼란 상태로 빠졌다. 먼저 7월 3일 오후 늦게 제40장갑군단장 가이르 장군은 제...군이 이 도시를 공격하는 동안 그 측면을 보호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오랫동안 히틀러로부터 자유 지휘권을 얻지 못했던 보크 장군이 비로소 그것을 얻게...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