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오경석 원거(元秬), 吳慶錫파견할 때 수역(首譯)으로 지명되어 북경에 가서 신미양요의 수습과 관련된 외교활동을 전개하였다. 3. 강화도조약 체결과정에서의 활동 1875년, 일본이 운요호 사건(雲揚號事件)을 일으키고, 이어 1876년 1월에 군함 5척을 이끌고 강화도 앞바다에 무력 침공의 위협으로 개국 통상을 요구하였다. 조선 조정(당시 외척...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31년(순조 31)
- 사망 :
- 1879년(고종 16)
- 경력 :
- 강화도조약 문정관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강화도조약, 운요호 사건
- 직업 :
- 역관, 서화가, 금석학자
- 대표작 :
- 삼한금석록(三韓金石錄), 삼한방비록(三韓訪碑錄), 천죽재차록(天竹齋箚錄), 양요기록(洋擾記錄)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본관 :
- 해주(海州)
-
막부의 종말과 자본주의의 시작, 메이지 유신 明治維新전 미국의 페리 제독에게 당한 방법 그대로 조선을 공략했다. 1875년 9월 일본은 수차례에 걸친 통상 요구가 수용되지 않자 해안 탐측을 핑계로 강화도에 운요호를 정박시켰다가 조선 수군과 충돌했다. 이를 구실로 일본은 공격을 개시하여 조선군 35명을 죽이고 16명을 포로로 잡은 뒤 조선 조정의 사죄와 개항을 요구...
- 시대 :
- 1868년
-
중화질서의 붕괴, 청일전쟁근대화를 이룩했다. 또한 제국주의의 확장 욕망을 드러내기 시작하여 조선에 대해 강압적, 침략적 태도를 보였다. 1875년, 일본은 일본 해군 측량선 운요호를 조선 해안 탐측을 핑계로 강화도 앞바다에 침투시켰다. 이에 조선이 방어적 포격을 가하자 일본은 이를 구실로 무력을 앞세워 통상 수교를 강요했다. 1896...
- 시대 :
- 1894년
-
조선의 일본 국서 거부깨우쳐 반드시 연향을 설행하라 명한다. 1875년 9월 20일 모리야마 이사관은 일본 정부의 명을 받아 이튿날인 21일에 일본으로 출국한다. 같은 날 운요호 사건이 일어난다. 오늘날에도 조선의 일본 국서 거부는, 그 사실만으로는, 조선의 잘못이라는 입장이 한일 양국에서 지지를 얻고 있다. 그러나 그 과정을 살펴보면...도서 위키백과
-
강화도조약 병자수호조약, 江華島條約한다는 구실로 조선 정부에 간접적인 위협을 가해 왔다. 또, 일본은 운요호[雲揚號]를 수도의 관문인 강화도에 출동시켜 연안 포대의 포격을 유발시킨 운요호사건을 기회로 군사력을 동원한 강력한 교섭을 펴, 마침내 1876년 2월 3일(음력) 강화 연무당(鍊武堂)에서 전권대신 신헌(申櫶)과 특명전권판리대신(特命全權...
- 시대 :
- 근대
- 발생 :
- 1876년 2월 3일(음력)
- 성격 :
- 조약, 불평등조약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근대사
- 관련 장소 :
- 강화도
-
고종 高宗이씨가 딸을 낳았으나 모두 요절했다. 흥선대원군의 섭정이 끝나고 고종은 친정을 시작했지만 국내외 상황은 녹록치 않았다. 1875년에는 운요호 사건이 발생했다. 일본 군함인 운요호는 인천의 영종도를 지나 강화도 남단에 있는 초지진을 거슬러 올라와 군대를 상륙시켜 살육과 약탈을 감행했다. 이는 통상을 강요하는...
- 출생 :
- 1852년
- 사망 :
- 1919년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