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원료 식품별 가공방법, 곡류의 가공있는 회전판이 같은 모양의 돌기가 있는 고정판의 안쪽을 회전하면서 발생되는 충격을 이용하여 분쇄가 된다. 단점은 밀기울도 같이 잘게 분쇄되어 밀기울과 배젖을 완전히 분리하기가 어렵다. (3) 사별 및 숙성 사별공정을 거쳐 곱게 분쇄된 배젖과 밀기울, 거친 배젖으로 분리되며 밀기울과 거친 배젖은 다시 분쇄공정...
-
-
-
-
속씨식물의 기관과 기능또 1개의 정자가 2개의 극핵세포와 동시에 수정하는 중복수정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정자와 난자의 수정이 끝나면 이들은 배(胚)로, 정자와 극핵세포는 배젖으로 만들어진다(→식물의 발생). 밑씨가 자라서 씨로, 씨방이 자라서 열매로 된다. 씨는 종족의 전파수단으로 아주 중요하며, 열매가 씨를 감싸서 보호한다...
-
잣나무 송자인(松子仁)쓰인다. 잣(씨)은 식용 또는 약용하고 잣송이는 약용한다. 잣의 겉껍질은 매우 단단하며 속껍질은 다갈색의 얇은 막질이다. 그 속에 황백색의 알맹이(배젖 : 胚乳)가 들어 있는데 맛이 고소하여 식용한다. 이 배젖에는 지방유 74%, 단백질 15%가 들어 있어 자양·강장 효과가 있다. 이것을 생식하거나 각종 요리에 쓴다...
- 분류 :
- 상록 침엽 교목
- 학명 :
- Pinus koraiensis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고산 지대
- 번식 :
- 씨
- 약효 부위 :
- 열매(잣송이)·씨(잣)
- 생약명 :
- 해송자(海松子)
- 키 :
- 20~30m
- 과 :
- 소나뭇과
- 채취기간 :
- 6∼9월
- 취급요령 :
- 날것(잣송이) 또는 말려(씨) 쓴다.
- 특징 :
- 따뜻하며, 달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씨껍질을 벗긴 알맹이(잣)8∼15g, 잣송이 5∼8개
- 주의사항 :
- 씨(잣)는 많이 먹어도 이롭다.
- 동속약초 :
- 소나무
-
메밀 Buckwheat모양이고 길이 5-6mm로서 익으면 갈색이나 암갈색, 때로는 은회색을 띠고 특징있는 유전적 삼각모를 나타낸다. 종자는 씨껍질의 내부에 가루 상태의 배젖이 있고 배젖 안에 S자 모양의 떡잎이 구겨져 들어 있다. 과실을 교맥(蕎麥)이라 한다. 줄기 원줄기는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40-70cm로서 속이 비어 있으며 연한...
- 분류 :
- 마디풀목 > 마디풀과 > 메밀속
- 꽃색 :
- 백색
- 학명 :
- Fagopyrum esculentum Moench
- 개화기 :
- 10월, 7월, 8월, 9월
-
종자식물의 생식방법속씨식물에서 2개의 정자가 수정에 참여하여 난세포와 수정한 2배체 접합자는 배가 되고, 암배우체의 2개의 극핵과 수정한 3배체 핵은 영양저장조직인 배젖이 된다. 겉씨식물에서는 암배우체가 영양조직이 된다. 또한 속씨식물의 밑씨는 수정후 성숙하나, 겉씨식물의 밑씨는 수정 이전에 커지기 시작한다. 겉씨식물에서...
-
수수51% 감소 수수 추출물의 혈전 생성 억제 효과 수수 추출물 무처리 대비 약 4.5배 응고지연 효과(아스피린과 효능 유사) - 자료 : 농촌진흥청 품종 수수는 배젖의 녹말 성질에 따라 메수수(품종 : 동안메)와 찰수수(품종 : 황금찰, 남풍찰, 소담찰)로 나눌 수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찰수수에 대한 품종이 많고 소비량도...
- 분류 :
- 농산물 〉 곡류 〉 잡곡류
- 원산지 :
- 충북 괴산/단양/제천, 전북 정읍, 전남 강진/보성/신안, 강원 영월
- 생산시기 :
- 9~10월
- 생산량 :
- 2009년 2,562톤
- 가공식품 :
- 떡류(수수가래떡 등), 차류(수수차), 면류(수수국수), 수수두부, 기타 제과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