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봉서사(완주)
    전북 향토사단의 유격장을 지나야 한다. 유격장을 지나면 간중제가 위치해 있는데 주변 산과 어우러져 정겨운 한 폭 그림을 연상케 한다. 봉서사는 신라 성덕 26년(727년)에 창건되었으며 고려 공민 때 나옹화상이, 조선시대 선조 때에는 진묵대사가 중창하고 이곳에 머물면서 중생을 교화하였던 유서 깊은 절이다...
    위치 :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용진읍 봉서안길 313
  • 해가 해가사, 海歌
    〈삼국유사〉에 "海歌詞曰龜乎龜乎……"로 되어 있어 해가사라고도 한다. 〈삼국유사〉 기이편 수로부인조에 유래가 실려 전한다. 신라 성덕때 순정공이 강릉태수로 부임하던 길에 갑자기 해룡이 나타나 그의 아내 수로부인(水路夫人)을 바다로 끌고 들어갔다. 공이 어찌할 바를 모르고 있던 중 한 노인이 말하되 "옛...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충주 김생사지
    김생사지는 신라의 명필인 김생(711∼791)이 만년에 창건한 사찰터이다. 김생은 성덕 10년(711)에 가난하고 미천한 가문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글씨에 능하였고 원성 7년(791) 80세까지 붓잡기를 쉬지 않았다. 이 사지는 주변에 장대석이 많고 석탑재와 기와조각, 도자기조각이 산재해 있어 이곳을 ‘와당밭...
    위치 :
    충청북도 충주시 금가면 김생로 325 (금가면)
    문화재 지정 :
    [충주 김생사지] 충청북도 기념물 제114호(2000.12.22 지정)
  • 명은 “칭찬의 뜻을 겸하기 때문에 그 문체는 부드러움을 귀하게 여긴다.”라고도 하고, “깊이가 있으면서 절실성이 있어야 한다.”라고 하였던 것이다. 성덕의 대업을 종에 새겨 부처의 가호와 함께 공업이 영원히 전해지기를 바라며 지은 <성덕왕신종명 聖德王神鐘銘>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전대부터 내려오던...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문학/한문학
  • 가산사 佳山寺
    대한불교조계종 제5교구 본사인 법주사(法住寺)의 말사로 충청북도 옥천군 안내면 채운산(彩雲山)에 있다. 창건 연기가 자세하지 않으나 673년(무열 20) 혹은 720년(성덕 19)에 창건되었다는 설이 전한다. 그 뒤 작은 암자로서 명맥만을 유지해 오다가 임진왜란 직전에 영규(靈圭)가 중건하였으나, 임진왜란 때 왜병...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유적/건물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김윤중 (신라)
    김유신의 손자이다. 신라 성덕 때 대아찬(大阿湌)으로 의 총애를 받아 중시(中侍)에 임명되어 다른 왕족들이 그를 시기하였다. 어느 한가윗날 성덕이 월성의 언덕에 올라 주변 경치를 살펴보며 측근들과 술자리를 벌이고 있었다. 술기운이 퍼질 무렵 성덕은 “김윤중은 이리 가까이 오라”는 명을 내렸다. 이때...
    도서 위키백과
  • 김대문 金大問
    진골귀족의 입장에서 신라문화를 이해하고 정리하는 작업에 힘을 기울였다. 704년(성덕 3) 한산주총관에 임명되었다. 저서에는 〈계림잡전 鷄林雜傳〉·〈화랑세기 花郞世記〉·〈고승전 高僧傳〉·〈한산기 漢山記〉·〈악본 樂本〉 등이 있으며, 이것들은 김부식이 〈삼국사기〉를 편찬할 때까지도 남아 있었다고...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통일신라,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문묘 文廟
    과 신라·고려·조선 시대의 명현(名賢) 18현을 종사(從祀)했다. 중앙의 성균관과 지방의 향교에 설치되어 있다. 우리나라 문묘의 시작은 신라시대인 714년(성덕 13)에 김수충(金守忠)이 당(唐)에서 공자와 10철, 72제자의 화상을 가지고 돌아와 왕명에 의해 국학에 두면서 비롯되었다. 조선 말기에 이르러 공자 이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양철학
  • 버섯 신선이 먹는 영험한 음식
    좋다고 알려져 있지만 옛날부터 신선들의 식품으로 유명했던 모양이다. 영지버섯을 발견하면 임금님께 먼저 바쳤을 정도다. 《삼국사기》를 보면 신라 성덕 때 지금의 창원, 상주, 공주 등지에서 영지버섯을 발견해 나라에 진상했다는 기록이 있다. 《고려사》에도 태조 원년, 싱싱한 영지버섯이 발견돼 에게 바치니...
    분류 :
    채소류
  • 경주 관문성
    문지의 경우 안쪽 일대에서 통일신라시대의 기와편이 많이 수습되고 있어 문루나 문지와 관련된 창고나 병사들의 숙소 등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성덕 21년(722년) 10월에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모벌군에 성을 쌓았는데, 성의 길이는 6,792보 5척으로 그 규모가 커서 후세 사람들은 신라의 만리장성...
    시대 :
    통일신라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모화리 66번지
    종류 :
    석성
  • 김상 金相
    내용 문무의 손자, 성덕의 종제이다. 736년 11월 대아찬(大阿飡)의 관등으로 당나라에 파견되었으나 도중에서 죽었다. 이 소식을 들은 당나라 현종은 매우 슬퍼하고 위위경(衛尉卿)을 추증하였다. 참고문헌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출생 :
    736년(성덕왕 35)
    사망 :
    미상
    경력 :
    대아찬(大阿飡)
    유형 :
    인물
    직업 :
    왕족
    분야 :
    역사/고대사
  • 남월산 감산사 南月山 甘山寺
    내용 719년(성덕 18) 2월 중아찬(重阿飡) 김지성(金志誠)이 감산에 있는 장전(莊田)을 희사하여 아버지 인장(仁章) 일길간(一吉干)과 어머니 관초리(觀肖里) 부인의 명복을 빌고, 국왕과 그 일족의 안녕을 기원하기 위하여 창건하였다. 창건 후 어머니를 위해서 미륵보살상 1구를, 아버지를 위해서 아미타불상 1...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멀티미디어4건

성덕왕릉
경주 성덕왕릉
성덕대왕신종 (에밀레종)
상원사 동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