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수신제 隧神祭
    한다. 수신제는 고구려의 나라굿인 동맹과 마찬가지로 나라의 수호신을 모시고 수확을 기념하며 풍요를 기원하는 공동제의였을 것이다. 이는 수신제가 수확기인 10월에 거행된다는 사실로 알 수 있다. 수신제의 절차는 신맞이를 하는 청신과 그 신을 되돌려보내는 송신의 제의로 이루어졌다고 하는데, 이러한 굿의 절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구려
  • 밀국수
    장국을 말아 올리는 것이 상례였는데 이것은 장수를 비는 뜻에서였다. 이 밖에도 더위를 쫓는다고 하여 유두일에 먹기도 하였는데, 이것은 이때가 밀의 수확기였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밀로 국수를 만들 때는 우선 맷돌에 밀을 곱게 갈아 체에 쳐서 밀가루를 만든 다음, 이것을 물로 반죽하여 국수틀에 눌러서 국수...
    성격 :
    음식, 국수
    유형 :
    물품
    용도 :
    주식용, 잔치용
    관련 의례 :
    회갑
    분야 :
    생활/식생활
  • 중국의 연대기
    중국인들은 음력으로 왕조의 사건을 기술했고 수확기를 그해의 마지막으로 삼았다. 연호는 BC 163년 한나라의 문제가 처음으로 도입했다. 그후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선포되어 그레고리력을 채택할 때까지 중국의 모든 황제나 국가 원수는 자신의 통치가 시작될 때 새로운 연호를 선포했다.
    도서 다음백과
  • 양곡관리제도 糧穀管理制度
    현상이 국민경제 내에서 발생할 수 있다는 이유로 정당화되고 또 기정사실로 인정되어왔다. 정부의 양곡관리사업은 군량 및 기타 관수양곡의 충분한 확보, 수확기 수매를 통해 부당한 곡가하락을 방지함으로써 농가소득을 안정시키고 한편으로 시중거래량이 부족하여 양곡가격이 급격히 상승할 때는 보관 중인 양곡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행정
  • 금양잡록 衿陽雜錄
    나누어져 있다. 「농가곡품」에서는 각 작물(쌀 · 맥류 · 서속류 · 두류 등)의 품종(합계 80종)별로 이삭과 열매의 형상 · 색깔, 환경에 대한 적응성, 수확기, 밥을 지었을 때의 맛까지 일일이 설명하고 있는데, 한자명과 아울러 이두식 표기에는 그 아래 국문명까지 병기되어 있다. 그 중 벼의 품종 이름이 거의...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경제·산업/산업
  • 수확 및 저장
    되면 수확한다. 촉성재배용 치커리인 치콘의 수확은 뿌리를 생산시설에 치상 후 20일 전후로 하는데 종근 생육 및 저장 조건에 따라 1~2일 정도 달라진다. 수확기가 너무 빠르면 치콘의 무게가 적게 나가고, 너무 늦으면 치콘의 끝부분이 열려 결구가 불량해진다. 수량은 40kg/㎡/bed 내외로 수확작업 시 조그만 충격...
    도서 양채류 | 태그 식물 , 산업
  • 맥주보리 육성 품종
    생산되고 있다. 1. 맥주보리의 품종 개량 ▶ 2022년 기준 24품종의 맥주보리가 보급되어 있다. ▶ 우리나라 맥주보리는 벼 재배 시기에 지장을 주지 않게 수확기를 빠르게 하고, 수량이 많으며 병해에 강한 성질로 품종을 개량하여 세계적으로 손색이 없는 맥주보리를 생산하고 있다. 2. 주요 육성 품종의 특성 ▶ 백호...
    도서 맥주보리 | 태그 산업
  • 농경지, 제때에 적량의 물주기
    고추: 30~50 ○ 참외: 생육 초기 20∼30, 영양생장기 30∼50, 과실비대기 이후 50∼100 ○ 멜론: 활착기 20∼30, 개화기 30, 착과기 50, 과실비대기 20∼30, 수확기 80∼100 물주는 시점에 대한 연구결과를 이용할 때 조심해야 할 것은 일본의 자료를 활용하는 것이다. 일본의 경우 화산회토이기 때문에 대공극이 많아...
  • 시장격리제도 市場隔離制度
    시장격리제도는 수확기 생산량이 수요량을 초과할 경우 쌀의 수급조절을 위하여 예상되는 초과 공급량을 매입을 통해 시장에서 격리하는 제도를 의미한다. 현재(2022년 기준)는 농협중앙회 경제지주가 정부의 업무를 대행하고 있다. 공공비축용 외 추가적인 시장격리용 매입을 정부가 직접 하게 되면 세계무역기구(WTO...
    도서 에듀윌 시사상식 | 태그 경제
  • 아니고잔서스
    25㎏, 화분용토 1L당 2.5g을 준다. 주간온도 30℃∼야간온도 25℃ 정도의 고온에 두면 기형화되고 꽃색이 변한다. 라. 재배 유의사항 • 인산의 과잉증상이 풀케림스종에 특히 뚜렷하게 나온다. 잎끝이 자색으로 변해점점 아래로 말라 들어가 증상이 확대된다. • 종(種)과 일장을 조합해 수확기를 분산할 수 있다. 참고
    도서 숙근화훼류 | 태그 식물 , 산업
  • 고착제 固着劑, binder
    바인더는 벼·보리를 연속적으로 베어서 묶는 끈으로 자동적으로 묶고, 이것을 기외에 방출하는 수확기이다. 바인더에는 1850년대에 미국에서 개발된 베는 폭 1.5~3m 직경 약 30cm의 큰다발로 묶는 큰 다발 바인더와, 1950년대에 일본에서 개발된 베는 폭 0.3~0.8m며, 직경 약 10cm의 작은 다발로 묶늘 작은 다발 바인더...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양송이 버섯의 생육 환경
    환기 양송이 균은 생활 중 다량의 산소를 소모하고 탄산가스를 방출한다. 재배사 내의 탄산가스 농도가 0.08% 이상 되면 수확이 지연되며 0.2∼0.3%가 되면 갓이 작고 버섯대가 길어지는 현상이 일어난다. 그러나 균사생장기에는 탄산가스의 영향이 비교적 적으며 수확기보다 환기를 많이 시킬 필요가 없다. 참고
    도서 식용버섯 | 태그 식물 , 균류
이전페이지 현재페이지11 12 13 14 15 16 17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8건

곡물 수확기
곡물수확기
봉지재배 수확기
원목재배 수확기
팽이버섯 수확기
수확기의 버섯
수확기의 버섯
수확기의 버섯
감자 수확기(potato harvester)
옥수수 수확기(corn harvester)
곡물수확기 작용 원리
(그림 14-12) 수확기 모습
(그림 8-5) 적채 수확기 모습
(그림 7-2) 수확기 기상재해
(그림 9) 수확기의 감초 뿌리
(그림 8-1) 수확기의 적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