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법원 판결로 본 사형제도 논란 흉악범의 사형은 당연한 수순?정도와 죄형의 균형, 사회방위 및 범죄의 일반 예방적 견지에서 피고인을 영원히 이 사회로부터 격리시키지 않을 수 없다"는 취지로 사형을 선고했다. 대법원 "사형은 문명국가의 예외적 형벌" 사형을 둘러싼 법원의 판례는 일관되게 정립되어 있다. 대법원은 사형이 "인간의 생명 자체를 영원히 박탈하는 냉엄한 궁극의...
-
출퇴근길 사고, 산재처리될까? 자가용은 안 되고 회사차는 된다?유족 보상금과 장례비를 청구했다. 하지만 근로복지공단은 업무상 재해로 인정하지 않았다. 출근길 교통사고는 업무가 아니라는 이유에서였다. 이 사건은 대법원까지 갔다. 대법관 12명이 치열한 격론을 벌였으나, 결국 유족의 패소로 끝났다. 정말로 출퇴근 자체는 업무 수행 중으로 인정될 수 없을까. 법원은 '업무상...
-
-
-
펜타곤 기밀문서' 사건은 언론 자유의 승리였나?, 사전 억제 prior restraint검찰이 이 신문의 발행 금지를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한 데에서 비롯되었다. 주 법원은 미네소타주의 공중도덕 보호법에 근거해 이 청구를 받아들였으나 연방대법원은 5대 4로 원심을 파기하면서 공중도덕 보호법을 위헌이라고 판결했다. 판결 요지는 다음과 같다. 양건, 「표현의 자유」, 김동민 편저, 『언론법제의...
-
돈과 예금통장에 얽힌 재판 이야기 당신의 통장에 들어온 의문의 4억 원반면, 〈사례 1〉에서 이씨는 생판 모르는 사람으로부터 입금을 받았기 때문에 '보관자'로서 볼 수 없다는 것이다. 검찰의 상고로 사건은 대법원까지 왔다. 2010년 12월 대법원은 이렇게 정리를 했다. "어떤 예금 계좌에 돈이 착오로 잘못 송금되어 입금된 경우에는 그 예금주와 송금인 사이에 신의성실의 원칙에 따라...
-
-
법원이 남성과 여성을 결정하는 기준 성전환자를 성폭행했다면 처벌은?등록부 정정 등 성적 소수자 문제가 사법적인 판단 대상이 되는 것은 일단 환영할 만한 일이다. 법원 "성별, 생물학 요소와 정신적 요소 함께 고려" 2009년 대법원의 판결은 성 소수자를 바라보는 사법부의 현주소를 보여 주고 있다. 사건 속으로 들어가 보자. 여성으로 살아가는 허씨였지만 그는 주민등록번호 뒷자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