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
윤세기 중강, 尹世紀무고를 하였을 적에 여기에 동조하지 않고 영흥부사로 좌천되었다. 1687년 예조참의에 이어 우부승지로 재직중 대신에게 엄하게 문책한 비망기(備忘記)의 환수를 청하였다가 파직되었다. 이듬해 다시 승지로 복직되었고, 1689년 장렬왕후(莊烈王后)가 죽자 고부사(告訃使)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같은 해 기사환국으로...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47년(인조 25)
- 사망 :
- 1712년(숙종 38)
- 경력 :
- 예조참의, 우부승지, 우참찬, 한성부판윤, 예조판서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해평(海平, 지금의 경상북도 구미)
-
제210 야전포병여단 第210 野戰砲兵旅團, 210th Field Artillery Br..9월 미국 국방부는 작전상의 이유로 제210야전포병여단과 한미연합군사령부의 기존 위치 잔류를 요청했다. 한국 국방부는 연합 전력과 전시작전통제권의 환수 문제를 조율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 잔류 요청을 거부하지 못했다. 하지만 제210 야전포병여단 주둔지역에 대한 도시개발을 추진 중이던 동두천시 당국에서 이...
-
조현명 치회(稚晦), 趙顯命한 이른바 노소탕평을 주도했던 정치가라 할 수 있다. 아울러 민폐의 근본이 양역에 있다 하여 군문 · 군액의 감축, 양역재정의 통일, 어염세의 국고 환수, 결포제 실시 등을 그 개선책으로 제시한 경세가이기도 하였다. 당색을 초월하여 진신(縉紳) 사이에 교유가 넓었는데 김재로(金在魯) · 송인영 · 박문수(朴文秀...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소상공인 새희망자금 小商工人 ─ 希望資金월평균 대비 감소한 경우에 대상에 포함된다. 2019년 부가세 간이과세자는 매출감소에 대한 확인 없이 우선 지급하며, 후에 2020년 매출액이 증가한 경우에는 환수를 원칙으로 한다. 특별피해업종 특별피해업종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방역 정책에 따른 집합금지업종과 영업제한업종으로 구분된다. 집합금지업종은...
-
박문수 이실(而實), 朴文秀박감(朴堪)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28년(중종 23) 식년시(式年試)에서 진사(進士)에 급제하여 성균관에 들어갔다. 1538년(중종 33) 승려에게 발급한 호패(戶牌)를 환수할 것을 청하는 소를 올렸다. 1546년(명종 1)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뒤 1555년 헌납(獻納)을 거쳐,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에 이르렀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02년(연산군 8)
- 사망 :
- 1592년(선조 25)
- 경력 :
- 헌납, 돈녕부도정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밀양(密陽)
-
분청사기 상감 ‘경태5년명’ 이선제 묘지 粉靑沙器 象嵌 ‘景泰五年銘’ 李先齊 墓誌단종 2)으로, 이선제가 죽은 다음 해에 제작된 것을 알 수 있다. 이 묘지는 1998년 6월 일본으로 밀반출되었다가 2017년 9월 일본인 소장가의 기증으로 환수되었다. 형태 및 특징 분청사기 상감 '경태5년명' 이선제 묘지는 측면이 삼각형이 되도록 두 장의 장방형판을 맞붙인 위패(位牌) 형태로 제작되었다. 장방형판은...
- 시대 :
- 조선 전기
- 유형 :
- 작품/서화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태극연습 太極演習平時作戰統制權)을 이양받은 후 한국군 단독의 전국급 전시 대비 훈련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계획된 훈련이다. 내용 태극연습은 1994년 평시작전통제권 환수에 따른 합동참모본부 주도의 전시 전환 및 전시 작전 수행 능력을 위한 지휘소 연습(指揮所演習)으로, 적 침투 및 국지 도발 대응 능력을 향상시키 위하여...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개념
- 분야 :
- 정치·법제/국방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