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덕흥대원군 묘 德興大院君 墓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는 조선시대 제14대 선조의 부친 덕흥대원군의 무덤. 시도기념물. 내용 1980년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묘역 규모 112㎡이며, 묘역은 사성(莎城)으로 둘러 쌓여 있으며 봉분은 호석(護石)으로 둘러져 있고 높이 190㎝, 둘레 15.7m의 쌍분이다. 봉분 앞에는 상석(床石)이 있고 그 앞에 장대석...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
도정궁 덕흥대원군의 궁이자 선조의 잠저, 都正宮대왕 묘지문〉에는 하성군이 왕위에 오르게 된 과정을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1552년 11월 11일에 대왕은 한성부 서부 인달방에서 탄생했다. 대왕은 탄생하면서부터 자질이 아름답고 놀이할 때에도 범상치 않았다. 어렸을 적에 명종이 두 형과 함께 불러 어관(御冠)을 벗어주며 차례로 써보라고 했는데, 대왕이...
- 위치 :
- 서부 인달방(조선시대)
- 소재지 :
- 종로구 사직로 7길 등 운경기념관, 주택가 등
-
이초 경패(景伂), 李岹德興君)에 봉하여지고, 1542년에 정인지(鄭麟趾)의 손자인 판중추부사 이세호(李世虎)의 딸과 혼인하였으며, 1559년 병으로 죽었다. 1567년 명종이 후사 없이 죽으니 그의 셋째 아들 하성군(河城君) 이균(李均)이 즉위하여 선조가 되었고, 1570년 덕흥대원군에 추존되었다. 묘는 남양주시 수락산(水落山)에 있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30년(중종 25)
- 사망 :
- 1559년(명종 14)
- 유형 :
- 인물
- 직업 :
- 왕족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전주
-
누동궁 전계대원군의 궁, 樓洞宮다시 정비하고 신도비를 세웠으며, 1856년에는 전계대원군과 완양부대부인의 묘를 포천시 선단동으로 옮겼다. 이후 용성부대부인묘, 회평군묘, 영평군묘가 옮겨...거치면서 왕족의 재산은 모두 국가에 귀속되었지만 덕흥대원군 · 전계대원군 · 흥선대원군 후손의 재산은 개인 재산으로 분류되었다. 그 때문에 고종의...
- 위치 :
- 중부 경행방(조선시대)
- 소재지 :
- 종로구 수표로 28길 한옥주택가
-
전계대원군 묘 및 신도비순조의 양자 자격으로 조선 국왕으로 즉위한 뒤에, 상계군, 풍계군의 군호 돌림을 따라 전계군으로 추봉되었다가, 다시 덕흥대원군과 정원대원군의 전례에 따라 대원군으로 증작되었다. 전계대원군 이광은 사후 바로 경기도 양주군 신혈면 진관리(현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 은언군의 묘 아래인 해좌원에 예장...도서 위키백과
-
홍릉 고종과 명성황후의 능조 대비에게 수렴청정을 맡기고, 흥선대원군에게 국정을 총괄하게 했다. 조선 시대 역사상 살아 있는 왕의 생부는 흥선대원군이 처음이다. 그전에 있었던 덕흥대원군(선조의 생부)과 전계대원군(철종의 생부)은 모두 사후에 추증된 대원군이었다. 1866년 흥선대원군의 부인 민 씨는 민치록의 딸을 고종의 비로 천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