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위디오니시오스 Pseudo-Dionysius the Areopagite
    인문주의자인 존 스코투스 에리게나는 그의 저서들을 라틴어로 번역했고, 12~13세기 스콜라 철학자 생빅토르(파리)의 위그,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토마스 아퀴나스는 그 저서들에 대한 주석을 썼다. 14~15세기의 라인란트 및 플랑드르의 신비주의자들과 16세기 스페인의 신비주의자들은 모두 디오니시오스의 사상에 영향...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시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페트루스 Petrus Lombardus
    견해를 수집해 체계적으로 정리한 논문으로 오랜 전통의 신학적 교육이 축적된 것이었고, 16세기까지 대학의 공식적인 교재로 쓰였다. 유명한 철학자 토마스 아퀴나스를 비롯해 수백 명의 학자들이 그것에 대한 주석을 썼다. 〈신학명제집〉 제1권은 신(神), 삼위일체, 신의 인도, 악(惡), 예정론을, 제2권은 천사, 악령...
    출생 :
    1100경, 롬바르디아 노바라
    사망 :
    1160. 8. 21/22, 파리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카를슈타트 Andreas Rudolf Bodenstein von Karlstadt
    견해에 반대하여, 특히 성찬식에 관해 루터보다 더 철저한 교회개혁조치들을 주장했다. 에르푸르트와 쾰른에서 공부한 뒤 1505년 비텐베르크대학교에서 토마스 아퀴나스의 철학을 가르치는 교수가 되었고, 이 대학교에서 마르틴 루터가 아우구스티누스와 로마 가톨릭 전통의 '고대 교부들'에 관한 신학연구를 재계획하는...
    출생 :
    1480경, 뷔르츠부르크 주교구 카를슈타트
    사망 :
    1541. 12. 24, 스위스 바젤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중세 후기 서양철학
    개요 중세 후기에도 이전의 철학하는 방식들이 계속되었고 특정의 사상학파들로 형성되었다. 도미니코 수도회에서는 토마스주의(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과 철학)를 항상 엄격하게 신봉하지는 않았지만 토마스주의가 공식 가르침이 되었다. 프란치스코 수도회는 중세 후기 내내 토마스주의와 경쟁한 새로운 양식의 신학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중세 , 서양철학
  • 불가지론의 역사적 배경
    이해를 너무 멀리 벗어나 있으므로 신은 무한하다, 비교할 수 없다는 등 대략적·간접적으로만 묘사할 수 있다. 가령 13세기 최고의 스콜라 철학자인 토마스 아퀴나스의 사상도 불가지론의 계기를 갖고 있었다. 하지만 그는 비유적 술어원리를 통해 어떻게 유한한 피조물이 신에 관해서 긍정적인 점을 말하고 이해할 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이븐 가비롤의 철학
    철학자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유대 비교 신비주의의 추종자들인 카발라주의자에게 영감을 주었다. 또 개념과 실재를 동일시한다고 해서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공격을 받았으나, 이 책은 그리스도교 스콜라주의에 뚜렷한 영향을 미쳤다. 플로티노스 등 신플라톤주의작가들 및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과 형이상학...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알베르투스 자연주의자
    파도바 대학에서 수학하였는데 아랍어에서 라틴어로 번역된 아리스토텔레스의 책을 읽고, 학문적으로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그는 스콜라철학을 집대성한 토마스 아퀴나스를 가르쳤고, 새와 물고기의 발생에 관하여 직접 관찰하고 몇 가지 설명을 남겼다. 알베르투스는 13세기 무렵에 과학적으로 크게 주목받고 있지...
  • 아비센나 의사, 철학자, 『의학규범』
    나이에 과로로 사망했으며, 하마단에 안장되었다. 아비센나는 중세시대 의학자로 큰 명성을 얻었고, 철학적인 관점에서도 동방 아랍의 최고봉이었으며, 토마스 아퀴나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에 플라톤의 사고를 받아들여 이슬람 신앙을 새로운 철학적 개념으로 해석하였는데, ‘개인의...
  • 자연사상법이란 무엇인가?
    주장했다. 나중에 이 개념을 이어받은 기독교 사상가들은 자연법이 이성적 존재들에게만 알려질 수 있는 인간 행실에 관한 자명한 원리로 보았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우리가 공동선(common good) 혹은 공동체의 선을 지키기 위해 항상 실행해야 하는 방법에 관한 하느님의 의도를 인간의 이성이 드러낼 수 있다고 생각...
  • 아이테르니 파트리스 Aeterni Patris
    이것으로 인해 중세 스콜라 철학자이자 신학자인 토마스 아퀴나스의 철학 체계가 지니는 위상이 강화되었고, 곧이어 토마스주의가 로마 가톨릭 교회를 지배하는 철학적 관점이 되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스콜라철학 ~哲學, Scholasticism
    즉 숱한 강의에서는 수많은 주해서(註解書)들이 생겨났고, 또 주해서에서는 총집(總集) 혹은 대전(大全, summa)들로 발전하였다. 그 대표적인 예가 토마스 아퀴나스(Tomas Aquinas)의 ≪신학 대전≫(神學大全, Summa theologiae)이다. 이렇게 학문은 대체적으로 탐구되었으며 발전하여 갔다. 토론에서는 문제집이...
  • 중세철학 Medieval philosophy, 中世哲学
    기독교 신학에 의하여 강하게 영향을 받고는 있지만 철학적 발전이 일어났던 시기의 하나라고 생각했다. 이 시기의 가장 주목해야 할 사상가의 한 명은 토마스 아퀴나스이지만 그는 자신을 철학자로 간주하지 않았으며, 항상 철학자들은 '그리스도의 계시에서 보이는 진정한, 엄밀한 지식에 도달할 수 없다'고 하면서...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9 현재페이지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30건

토마스 아슬란
토마스 맬서스
토마스 탈리스
샹탈 토마스
토마스 모렐
토마스 퍼시
토마스 모렐
토마스 영
토마스(William Thomas)
발데리즈, 토마스 에스테반
토마스 고스, 메를로
토마스 트란스트뢰메르
토마스 고스, 쉬라즈
토마스 헨리 헉슬리
토마스 앨바 에디슨
 토마스 아퀴나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