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심경경의 心經經義율곡학파의 입장을 잘 대변해주고 있다. 편찬/발간 경위 『심경부주』의 내용 가운데 논란을 많이 빚었던 20개 부분의 내용을 가려 율곡학파의 입장에 서서 변론하고, 주석하면서 『심경경의』를 저술하였다. 서지적 사항 목판본. 총 47쪽 분량으로『녹문집(鹿門集)』권12에 실려 있다. 내용 정민정의 『심경부주...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임성주
- 창작/발표시기 :
- 1728년
- 성격 :
- 유학서, 주석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47쪽)
- 간행/발행 :
- 1795년 간행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서소문집 書巢文集봉했다는 설에 대해 『서경』·『주역』·『논어』 등 경서(經書)를 인용, 사마천(司馬遷)이 『사기(史記)』를 편찬할 때 야사(野史)를 잘못 기록한 것이라고 변론한 글이다. 「태극도설해(太極圖說解)」는 태극을 음양설(陰陽說)에 결부시켜 동정(動靜)으로 나누어 설명한 것이다. 「갑오척화변(甲午斥和辨)」은 1594년...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김종휴
- 창작/발표시기 :
- 1899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6권 3책
- 간행/발행 :
- 김세락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
말 잘하는 철학자, 소크라테스 Socrates유죄 선고를 받았고, 기소자는 사형을 요구했다. 소크라테스는 항소했다. 항소 법원에서 소크라테스는 배심원들 앞에서 자신의 무죄를 주장하고 스스로 변론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결국 501명 중 361명이 그의 사형을 지지했다. 선고를 받고 24시간 이내에 독배를 마심으로써 형을 집행하는 것이 당시 아테네의 법...
- 출생 :
- BC 469
- 사망 :
- BC 399
- 국적 :
- 그리스
-
직권주의 依职权原则, ex officio principle변론주의에 대응하는 개념으로서 심판절차를 진행할 때 심판관이 주도권을 갖는 것뿐만 아니라 심판관이 직권으로 심판사건에 대한 자료를 조사 ・ 수집하여 심판의 기초로 삼는 것을 의미함. 특허법은 특허에 관한 절차 및 특허심판이 민사소송과는 달리 공익적 성격이 강하며 대세적 효력이 있기 때문에 직권주의를...도서 지식재산권 용어사전
-
돈계문집 遯溪文集중용』의 의심난 곳을 여러 학자의 설과 저자의 견해를 결부시켜 문답식으로 해설한 장편의 글이다. 호론(湖論)과 낙론(洛論)의 심성설을 저자의 나름대로 변론했으며, 이단하(李端夏)의 사성론(師聖論)과 복제설(服制說)을 변론하기도 하였다. 이상정과 이광정의 연원으로 유학에 전념한 사람의 문집으로서, 후진을...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김선
- 창작/발표시기 :
- 1879년(고종 16)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8권 4책
- 간행/발행 :
- 이돈우(교정 및 편집), 김필호(간행)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한국국학진흥원 도서관
-
변호사구속취소 또는 보석과 증거보존의 청구, 구속영장실질심사 및 구속적부심의 청구, 피의자·피고인의 변호인으로서 법정에서 당사자를 대리하여 변론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변론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한다. 심급에 따라 항소·상고 등의 절차를 진행하며, 각종 법률에 관하여 상담한다. 이 외에도 증서에 관한...
- 교육수준 :
- 16년 초과(대학원 이상)
- 숙련기간 :
- 4년 초과 ~ 10년 이하
- 작업강도 :
- 가벼운 작업
- 작업장소 :
- 실내
- 육체활동 :
- 언어력
- 직무기능(자료) :
- 조정
- 직무기능(사람) :
- 협의
- 직무기능(사물) :
- 관련없음
- 유사명칭 :
- 사내변호사
- 고용직업분류 :
- [2212]변호사
- 표준직업분류 :
- [2612]변호사
- 자격/면허 :
- 변호사
- 표준산업분류 :
- [M711]법무관련 서비스업
- 조사연도 :
- 2017년
-
-
손해 보지 않고 변호사 선임하는 비법 ‘묻지도 따지지도 않는’ 변호사는 피하라사건도 많다"며 성공을 장담할 수 있는 사건은 많지 않다고 말했다. 법리적으로는 승소할 수 있는 사건이라도 실제 재판에서는 입증에 실패하거나 불성실한 변론으로 패소하는 경우도 종종 볼 수 있다. 양심적인 법률사무소라면 "당신이 재판을 하게 된다면 이러저러한 증거가 유리하게 작용하여 승소할 수 있지만...
-
제국에 맞서 한국 독립을 지원한 일본인들, 가네코 후미코 ・ 후세 다쓰지 金子文子 ・ 布施辰治후세 다쓰지는 조선인대학살에 대한 비난을 모면하려는 일본 정부에 의해 ‘대역사범’의 누명을 쓰고 법정투쟁을 벌이는 박열과 가네코 후미코에 대한 변론을 맡았다. 일본의 국체인 천황제를 송두리째 부정하고 식민 통치를 철저히 비판하는, ‘일본 재판사상 유례가 없는’ 사건의 두 주인공에 대한 변호는 그야말로...
- 출생 :
- 가네코 후미코 1903년, 일본후세 다쓰지 1879년, 일본
- 사망 :
- 가네코 후미코 1926년후세 다쓰지 1953년
- 포상훈격 :
- 가네코 후미코 2018년 건국훈장 애국장후세 다쓰지 2004년 건국훈장 애족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