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강화군의 인구
    6,830명으로 전입이 306명 더 많으며 전출인구 중 절반 이상이 도외전출이다. 통합시 이후 2023년 현재 인구이동은 전입이 8,206명, 전출이 7,873명으로 전입이 많으며 전출인구 중에는 도외전출이 많다. 강화군의 인구는 인천광역시 전체인구의 2.5%에 불과하며, 강화읍(2만 2,310명)에 군 전체인구의 35%가 집중되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인천
  • 강화향교 江華鄕校
    高麗山) 남쪽 기슭에 창건되었다. 1232년(고종 19)에 지금의 갑곶리(甲串里)로 옮겼다가 몽고군의 침입으로 다시 서도면(西島面)으로 이건하였다. 그 뒤 강화군으로 옮겨왔으며, 1624년(인조 2)에 강화유수 심열(沈悅)이 소동문(小東門) 밖의 송악산(松岳山) 옆에 복원하였다. 1629년에는 강화부윤 이안눌(李安訥)이...
    시대 :
    고려
    유형 :
    유적
    분야 :
    교육
  • 강화도아용타령 아용소리, 江華島─打令
    는 황해도 일대에 널리 퍼진 ‘아용소리(후렴구: ‘아용 아용 에헤용 에히리 에용’)‘와 ‘덩기소리(후렴구: ‘에헤리 덩기야’)‘가 결합된 형태이다. 내용 강화군 교동면 삼선리에 전승되는 아용타령은 이 지역의 농민들이 임진강 하구를 건너 황해도 연백지방으로 일을 하러 다니면서 그 지역의 농요를 듣고 배운 것...
    시대 :
    조선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강화 백련사 철조 아미타여래 좌상 江華 白蓮寺 鐵造 阿彌陀如來 坐像
    개설 1989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왼발을 옷 속에 감싸고 오른발을 드러낸 길상좌(吉祥坐: 왼발을 오른쪽 넓적다리 위에 놓은 다음 오른발을 왼쪽 넓적다리에 놓은 자세)의 모습으로 앉아 선정인(禪定印: 두 손을 가지런히 배 앞에 놓은 손 모양)을 짓고 있는 불상이다. 그리고 고려 후기에 유행했던 단아한 양식적 특징...
    시대 :
    고려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조각
  • 골프스윙 시 파워는 높여주고, 비거리는 늘려주는, 복근 강화시키기 2 Stren..
    골프 컨디셔닝 몸의 중심이 될 수 있는 '코어(Core)'는 모든 부위의 힘을 원활하게 발휘할 수 있게 도와준다. 골프 스윙의 회전력을 만드는 데도 순간적으로 큰 역할을 한다. 코어가 안정적이지 못하다면 골프 스윙의 안정성도 떨어진다. 이 자세는 코어를 발달시키는 자세로, 스윙의 파워를 높여주어 비거리를 늘려준다...
    분류 :
    골프 요가
  • 강화 정수사 법당 江華 淨水寺 法堂
    내용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정면 3칸, 측면 4칸의 겹처마 맞배지붕건물. 1957년 보수공사 때 발견된 1689년(숙종 15) 수리 당시에 만든 상량문에 의하면 1423년(세종 5)에 중창하였음을 알 수 있다. 건물은 원래 정면 3칸, 측면 3칸의 방형평면이었으나 후대에 전면 툇간을 달아내어, 현재 측면 4칸으로 되어 있다...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강화고려궁지 사적 제133호, 江華高麗宮址
    창고·문이 있었으나 1270년 송도환도 때 모두 허물어졌다. 1631년 행궁을 고려 옛 궁터에 건립하면서 장녕전을 지어 조선 태조와 세조의 영정을 모셨고, 강화유수부 건물들과 규장외각을 건립해 많은 장서와 문서를 보관했다. 그러나 병인양요 때 프랑스군이 책과 서류를 약탈해갔으며 많은 건물이 불탔다. 지금 고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물
  • 겐트 강화조약 Pacification of Gent
    자유를 인정받는다는 조항과 가톨릭 주 안에 살고 있는 프로테스탄트들도 박해를 받지 않는다는 조항이 있다. 스페인 왕의 임명을 받은 새 총독은 먼저 강화조약을 인정하고 스페인 군대를 철수시켰으며(1577. 2) 강화조약에 따라 정부기관들을 세웠다. 그러나 스페인 총독은 자신의 권력제한을 참지 못해 곧 적대감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강화 장정리 오층석탑 보물 제10호, 江華長井里五層石塔
    2층 이상의 지붕돌은 파손이 심하여 전각부(轉角部)는 대부분 깨져 있다. 전체적으로 무거운 느낌을 주며, 각 부분에 장식이 많이 생략되었고, 형식적으로 표현된 부분이 많은 탑이다. 이 석탑은 건축 기법으로 보아 고려 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짐작된다. 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 장정리 산193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인천 , 유적
  • 강화인삼식혜
    식재료 수삼 150g, 찹쌀 670g(4컵), 엿기름 460g(4컵), 설탕 1컵, 물 적량, 잣 약간 조리방법 1. 수삼을 푹 달여 놓는다. 2. 엿기름은 따뜻한 물에 불려서 체에 걸러 놓은 다음 가라앉힌다. 3. 찹쌀로 밥을 고슬고슬하게 지어 놓는다. 4. 엿기름물은 따뜻하게 데워 보온밥통에 넣고 3의 찰밥을 넣어 3-4시간 둔다. 5...
    분류 :
    다과류 > 음청류 > 식혜류
    성격 :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끓이는 음식
  • 대일강화조약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對日講和條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혹은 대일평화조약이라고도 한다. 1951년 9월 8일 샌프란시스코에서 서명하여 이듬해 4월 28일부터 발효되었다. 전문과 본문 7장 27개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밖에 몇몇 나라와의 의정서, 국제조약에의 가입 및 전사자의 분묘에 관한 2가지 단독 선언이 덧붙여져 있다. 영토처리문제에 대해서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강화순무밴댕이김치 순무김치
    담는다. 6. 김치 버무린 그릇에 물 1컵을 넣어 양념을 씻은 후 소금을 풀어 김치통 가장자리에 부어 준다. 7. 김치 윗면에 우거지를 덮어 익힌다. 참고사항 ·강화순무는 겨자 과에 속한 채소로서 지중해 연안이 원산이다. ·순무는 토질, 기후 등의 영향으로 경기도 강화 인근에서만 재배할 수 있는 특산품이다. 수분이...
    분류 :
    부식류 > 김치류
    성격 :
    가열하지 않는 음식 > 소금이나 장류에 절이는 음식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9 현재페이지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905건

강화 강화산성
강화 강화산성
강화 강화산성
강화 강화향교
강화 강화향교
강화 강화향교
강화 강화향교
강화 강화향교
강화 강화향교
강화 강화향교
강화 강화향교
강화 강화향교
강화 강화향교 대성전
강화 강화향교 홍살문
강화 강화향교 외삼문
강화 강화산성 서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