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황허

다른 표기 언어 Huang He , 黃河

요약 중국 문명의 요람이자 중국에서 2번째로 긴 강.
(병). Huang He. (웨). Huang He. (영). Yellow River.

황허 강은 시짱 자치구[西藏自治區]의 동쪽 고지로부터 발원해 5,464km를 흘러 황해 보하이[渤海]로 유입된다.

황허(Huang He)

ⓒ Katoosha/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황허 강은 칭하이 성[靑海省], 간쑤 성[甘肅省], 닝샤후이족 자치구[寧夏回族自治區], 네이멍구 자치구[內蒙古自治區]를 지나 산시 성[陝西省], 산시 성[山西省], 허난 성[河南省], 산둥 성[山東省]으로 들어간다.

실트(silt)를 포함한 황허 강은 상당 부분이 굽이지고 물길이 사나우며 종종 제방을 넘어 화베이[華北] 평원을 범람한다. 이 때문에 황허 강은 '중국의 우환'과 '다스릴 수 없는 강'이라는 별칭이 붙었다. 황(黃)이라는 말은 강물이 운반하는 미세한 황토를 가리킨다.

황허 강 유역은 중국 고대부터 문명의 발상지로 란저우[蘭州], 바오터우[包頭], 시안[西安], 타이위안[太原], 뤄양[洛陽], 정저우[鄭州], 카이펑[開封], 지난[濟南] 등 도시가 발달했다. 유역면적은 74만 5,000㎢이다.

지도
황허

지형

황허 강은 산이 많은 상류의 분지구역과 평원구역의 2구역으로 나뉘며 평원구역은 다시 중부와 하부 분지로 나뉜다. 산지 구역의 넓은 고지는 강과 지류로부터 300~400m의 높이에 있다. 고지는 결정체의 암석을 기반으로 하며 이 암석들은 때로 침식된 노두로 관찰되기도 한다.

평원에서는 이들 암석계가 주로 황토로 구성되어 깨지기 쉬운 퇴적물의 두터운 층들로 덮여 있다. 두께가 49~60m(152m인 곳도 있음)인 황토층은 티베트 고원으로부터 동쪽으로 뻗어 화베이 평원까지 이른다. 이 단단하지 않은 롬(loam)을 지나면서 강은 깊은 골짜기를 형성하고 엄청난 양의 실트를 운반한다. 하상이 불안정한 것은 쉽게 침식되는 황토흙 때문이다.

황허 강의 분지는 화베이 평원을 가로질러 넓어지다가 하류에 이르면 부채꼴 모양으로 되는데, 화베이 평원은 낮은 산둥의 구릉들로 가로막혀 있다. 평원은 강물에 운반된 미세한 실트로 이루어졌으며, 한때 이 지역에 있었던 바다가 후퇴하면서 퇴적된 모래와 자갈을 덮고 있다. 과거의 수많은 하상을 포함하고 있는 평원은 중국의 주요 곡창지대의 하나이다.

자연지리

황허 강은 티베트 동부 고원에 있는 4,572m 높이의 바옌카라 산맥에서 발원하여, 상류에서 2개의 커다란 호수 차링 호와 어링 호를 건넌다. 이 호수들은 수심이 그리 깊지 않아 어류가 풍부하고 겨울에는 결빙한다. 란저우 시의 상부에 있는 아니마칭 남쪽 경사면을 굽이쳐 돌면서 황허는 깊은 협곡으로 들어간다.

급류가 많은 이 지역의 강의 낙차는 1km당 2m를 넘는다. 협곡을 지나면 황허는 티베트 고원을 벗어나 북부 중국의 오르도스 사막을 거쳐 북쪽으로 거대한 고리 모양을 형성했다가 남쪽으로 진로를 바꿔 산시 성[陝西省]과 산시 성[山西省]의 경계를 이루는 긴 도랑을 따라 정저우 시까지 흐르는데 도랑의 길이는 2,880km이 넘는다.

중부분지의 대부분은 914~2,133m 높이의 황투 고원을 가로질러 흐른다. 이 고원에는 충적평원과 간혹 높이 457m를 넘는 봉우리도 있으며 계단식의 경사지도 있다.

이 거대한 고리 안에서 황허 강은 5만 9,800㎢의 지역을 배수한다. 강은 처음에는 북동 방향으로 나무가 없는 황토 언덕들 사이를 880km가량 흐르는데 급류가 많이 발생하고 여러 지역에서는 강폭도 좁아진다. 그 다음 동쪽으로 굽어 충적평원을 지나 또 800km를 유유히 흐른다.

강이 동쪽으로 계속 흐른다면 베이징으로 가겠지만 강은 급격히 남쪽으로 굽어서 좁은 협곡과 몇백m 높이의 경사지 사이를 712km가량 흐른다. 이 구역에서 강의 폭은 보통 46~61m이다. 강은 서서히 넓어지면서 다시 갑자기 동쪽으로 돌아 480km를 흐른다.

여기에서 강은 친링 산맥의 동쪽 봉우리들 사이에 있는 접근하기 어려운 협곡 사이를 흐른다.

티베트 고원과 화베이 평원 사이에 있는 강의 중류분지에는 2개의 가장 긴 지류가 있다. 하나는 산시 성[陝西省]의 웨이허[渭河]로 859km이고 또 하나는 산시 성[山西省]의 펀허[汾河]로 688km이다.

황허 강의 하류는 길이가 700km이며 평균낙차는 1.6km당 약 7.5cm이다. 이곳은 대홍수가 일어나는 지역인데 그것은 많은 지역의 하상이 주위보다 높기 때문이다.

카이펑 시 위의 구역에서 저수위는 주위보다 1.8~3m 높이에 있고, 중수위는 2.7~7m이며, 최고수위는 종종 10m에 이른다. 카이펑에서 대운하까지 강의 제방은 높이 0.9~1.8m를 거의 넘지 않으며 저습지가 많다. 대운하 아래에서는 제방의 높이가 3.9~4.9m로 높아지며 어떤 곳은 7.6m까지 올라간다.

황허 강의 삼각주는 하구로부터 약 256km 거리에서 시작해 2,470㎢에 이르는 지역으로 전개된다. 강에 의해 운반된 실트로 이루어진 삼각주는 소택지이며 갈대로 덮여 있다. 하구의 사주(砂洲)는 간조 때 2m 이상의 깊이를 요구하는 배들의 운항을 방해한다.

만조 때 사주에서의 깊이는 2.4~2.7m이다.

수문학

지난 4,000년간 황허 강의 수로는 몇 차례의 급격한 변화를 겪어서, 서로 다른 시기에 800km나 떨어진 지점에서 황해로 흘러들기도 했다. BC 3000~602년 황허 강이 최북단의 수로를 지났을 때는 톈진 시[天津市]를 가로질러서 근처의 보하이로 들어갔다. BC 602~AD 70년 강과 하구 모두는 산둥 반도의 남쪽으로 진로를 바꿨다. 70~1048년 황허 강은 다시 북쪽으로 방향을 바꿔 현재의 하상과 근접하는 수로를 취했다. 1048~1194년 수로의 변화는 내륙 안쪽, 강이 화베이 평원으로 들어가는 곳에서 일어났다.

1194년 강이 최남단의 수로를 취하자 하구는 삼각주의 남쪽 가장자리로 위치가 옮겨졌다. 그해에 제방이 무너져 산둥 반도의 남쪽지역에 황허 강의 2번째 하구가 형성되었다. 1289~1324년 강은 궈허[渦河]의 하상과 화이허[淮河]의 상당 지역을 흘러 이전의 하상으로 돌아갔다. 그후 500년 이상은 안정되어 보였다. 그러다 1854년 이후로 산둥 반도의 북쪽으로 더 전진해 마침내 현재의 위치로 정착했다.

제방의 붕괴는 역사를 통해 내내 있어왔다. 960~1048년 38회, 1048~1194년 29회의 붕괴 기록이 있다. 그후에는 제방시설에 대한 체계적인 개선으로 그런 붕괴가 많이 줄었다(→ 홍수). 그러나 태평천국의 난(1850~64) 동안 이런 노력들이 소홀해지자 1852~54년 수로에 변화가 생겼다. 황허 강의 삼각주는 세계에서 가장 활동적인 삼각주 중의 하나로 1870~1970년의 100년 동안 바다 쪽으로 평균 19.2km나 밀고 나갔다. 몇몇 확장부분은 좀더 급속히 팽창해서 한 지역은 1949~51년에 8km나 넓어졌고, 또 한 지역은 1949~52년에 24km가 넘게 확장했다.

황허 강은 연평균 48.2㎦의 물을 바다로 운반하는데 고수량의 해에는 69㎦, 저수량의 해에는 17~25㎦정도이다. 또 평균 유량은 초당 약 1,530㎥이다. 물론 계절에 따라 유량은 상당한 차이가 난다. 분지의 연강수량의 반 이상이 우기인 7~10월 사이에 떨어진다. 분지 전체의 연강수량은 약 470㎜인데 분포량은 시기에 따라 큰 차이가 난다. 어떤 해에는 강물의 대부분이 지류들로부터 오기도 한다. 상류에서의 주요 원천은 산지의 강설로 봄의 최고 수위가 10m에 이른다. 강의 중류와 하류에서의 최고수위(3~7m)는 7월과 8월에 발생한다. 란저우 부근에서의 강물의 최대유량은 1초당 5,350~6,120㎥이고, 룽먼에서는 9,912㎥이며, 하류에서는 35,560㎥이다(1943).

황허 강은 세계에서 가장 진흙이 많은 강으로 1yd3(1㎥)의 강물에 26kg(34kg)의 실트를 운반하는데, 이에 비교해 나일 강은 0.9kg, 아무다리야(고대의 옥서스 강)는 3kg, 콜로라도 강은 7.7kg이다. 홍수시의 강물은 물 1yd3당 544kg의 실트를 함유하기도 한다. 강은 매년 15.2억t의 실트를 바다로 운반하는데, 그 부분적인 원인은 분지의 대부분이 쉽게 부서지고 운반이 용이한 황토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른 요인들로는 급한 경사지, 빠른 유속, 침식을 막고 실트가 침전하도록 하는 저수지와 식수 지역의 부족 등이 있다. 평원의 관개시설은 강물의 흐름을 완화시킬 만큼은 충분하지 못하다.

경제

4,000년이 된 황허 강의 관개시설은 1950년 이후 건설된 관개와 운항용의 운하로 증가되어 2만 6,000㎢에 이르는 지역에 물을 공급한다. 강의 하류지역을 횡단하는 대운하는 수(隋)의 양제가 건설하기 시작했으며 북쪽의 베이징으로부터 남쪽의 항저우[杭州]까지 1,760kg에 이른다.

1953년 완공된 성리운하[勝利渠]는 약 48km가량 베이징-한커우 철도선과 평행하게 달리며 정저우 북쪽의 황허와 신샹[新鄕]의 웨이허 강을 잇는다. 이 운하는 웨이허강의 수면을 높임으로써 신샹과 톈진 사이의 운항을 개선했으며 또한 신샹과 황허 사이의 관개수로망을 제공했다.

정저우에서 서쪽으로 208km 지점, 허난-산시 경계에 있는 싼먼샤 시의 싼먼샤[三門峽]에는 100만kW의 발전소와 댐이 있으며 그 저수지는 길이가 182km이다(→ 싼먼댐). 이 저수지의 건설 전에 하류에서 배의 운항거리는 160km 정도로 제한되어 있었다.

현재 새로운 댐과 저수지의 건설을 구상하고 있으며 그것이 완공되면 약 3000만kW로 예상되는 잠재 수력전기를 이용할 수 있고 강과 지류의 운항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포장수력).

연구와 탐사

BC 6세기 이후로 황허 강의 주요 홍수와 수로의 변화에 대한 정규적인 기록이 보관되어 왔으며 1736년 이후로는 수위도 조사되어 왔다. 황허 강의 상류지역을 탐험한 첫번째 유럽인은 러시아의 여행가 니콜라이 M. 프르제발스키로서 1879년과 1884년 2회 있었다. 1950년 이후에는 중국과 소련 과학자들에 의해 집중적으로 연구되었는데 소련의 참여는 1960년 이후 격감했다.

황허 문명

황허의 중·하류와 그 지류유역에서 발생한 문명을 황허 문명이라 하는데, 황허의 본류 유역은 잦은 홍수로 거주가 거의 불가능했으므로 처음 문명이 일어난 곳은 황허의 지류에 임한 구릉지였다. 현재 중국의 최고 인류로 알려진 란톈원인[藍田原人]은 웨이허 강의 남쪽, 산시 성[陝西省] 란톈 현에서 발견되었다.

구석기시대 초기의 유적은 주로 시안[西安]의 동쪽, 뤄양의 서쪽에 있는 웨이허 강으로부터 황허 강에 이르는 지역에 걸쳐 있고, 중기의 유적은 펀허 강 유역에 집중되어 있으며, 후기의 유적은 윈난[雲南], 광시[廣西]에 비교적 많으나 웨이허 강 유역과 황허 본류로부터 산둥의 구릉에 걸친 지역에서도 함께 발견된다.

신석기시대 초기에는 허난 성의 페이리강[裴李崗] 문화와 허베이 성[河北省]의 츠산[磁山] 문화가 있었고 후기에는 황허 강 중류역을 중심으로 양사오[仰韶] 문화가 일어났다. 이 문화는 BC 5000~BC 2500년에 걸쳐 있으며 산시 성[陝西省]의 반포[半坡] 유적과 허난 성의 먀오디거우[廟低溝] 유적이 대표적이다.

BC 2500~1700년에는 양사오 문화를 대신해 룽산 문화가 번성했고 그후 룽산 문화에서 하(夏)문화가 나타나 청동기시대가 시작되었다. 17대 걸(桀) 왕에서 끝난 하왕조는 은(殷)나라가 이어받았으며 뒤이어 주(周),진(秦),한(漢) 등으로 계속 이어지면서 황허 유역은 중국문명의 주요 활동무대가 되었다(→ 룽산 문화, 양사오 문화, 중국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아시아

아시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황허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