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

다른 표기 언어 Friedrich Wilhelm I
요약 테이블
출생 1688. 8. 15, 베를린
사망 1740. 5. 31, 프로이센 포츠담
국적 프로이센

요약 제2대 프로이센의 왕(1713~40 재위).
(영). Frederick William Ⅰ.

이등국인 프로이센을 능률적이고 번영하는 국가로 변모시켰다.

프로이센은 뒤에 그의 아들이자 계승자인 프리드리히 2세에 의해 유럽 대륙의 군사대국으로 성장했다.

훗날 프로이센 왕 프리드리히 1세가 된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프리드리히 3세의 아들로 태어나 화려한 궁정에서 성장했으나 금욕적 기질을 지니고 있어서 궁정의 방탕한 분위기를 좋아하지 않았다. 그는 1706년 하노버 선제후 게오르크 루트비히(나중의 영국 왕 조지 1세)의 딸 조피 도로테아와 결혼했다.

스페인 왕위계승전쟁(1701~14)에서 얻은 경험은 그의 미래를 결정지었다. 그는 군대야말로 자신의 소명임을 깨닫고 평생의 친구이자 핵심 군사고문이 된 안할트데사우 공(公) 레오폴트 1세를 만났다. 프로이센 군대를 유럽 최강의 전투력을 지닌 조직으로 양성해내는 데 여생을 바친 그는 프로이센의 군사적·재정적 허약성이 프로이센을 열강의 상호관계에 의존하게 만든다는 것을 깨닫고 국가의 재정 자립을 이루기로 결심했다.

그가 즉위한 1713년 프로이센의 병력규모는 3만 8,000명으로 상당 부분 외국으로부터의 보조금으로 유지되었다. 1740년 그는 죽으면서 220만 명의 인구에 약 8만 3,000명 병력의 군대와 800만 탈러가 넘는 군자금을 아들에게 남겨줌으로써, 프로이센은 유럽 대륙에서 러시아와 프랑스에 다음 가는 제3의 군사대국이 되어 있었다. 지방행정 구역별로 병력을 보충하고 교체하는 체제는 1733년에 도입된 온건한 형태의 징집제도로서 프리드리히 빌헬름의 군대 병력 절반 정도를 공급했다. 나머지 반은 전 유럽에서 모집되었다.

그는 또한 파당적인 귀족계급으로부터 프로이센의 충성스러운 장교단을 창출했다. 유능하지만 잔혹한 훈련교관인 안할트데사우 공 레오폴트는 돌격과 사격에서 뛰어난 프로이센 보병을 만들어냈다.

자금의 필요성 및 이와 결부된 프리드리히 빌헬름의 국민에 대한 배려는 대대적인 개혁과 쇄신을 가져왔다. 검소하고 실제적인 프로테스탄트였던 그는 왕위에 오르면서 사치스러운 궁정을 거의 해체해버렸다. 1709년 흑사병으로 인구가 줄어든 프로이센 동부 영토는 이주정책에 따라 다시 정착민들이 생겨나면서 부흥하기 시작했으며, 농민의 신분도 개선되었다.

그는 전국토의 1/3을 이루는 자신의 영지에서 농노를 완전히 해방시켰으며(1719), 세습적인 차지(借地)를 폐지했다. 1717년 귀족들이 전쟁에 종사해야 하는 봉건적 의무는 해마다 세금을 납부하는 것으로 대체되었다. 또한 상당한 반대를 무릅쓰고 프로이센과 리투아니아에서 추가세를 징수했다. 프로이센의 상업정책은 엄격한 중상주의로 산업과 제조업, 특히 국왕의 군대에 피복을 공급하는 양모산업을 장려했다. 그는 능률적 국가에서 국민의 문맹은 용납될 수 없다고 확신하고 1717년 초등 의무교육을 실시했다.

1723년에는 집정총괄부서(執政總括部署)를 두고 통치를 중앙집권화했으며 이 부서를 통해 각료들은 왕명을 집행했다. 통치 말년에는 방대한 법전 편찬 작업에 착수했다. 이처럼 그는 자신의 상속자에게 건전한 재정과 우수한 군대를 갖춘 능률적이고 중앙집권화된 국가를 물려주었다.

그의 대외정책은 대내정책보다 훨씬 효과적이지 못했다.

그는 스톡홀름 조약(1719~20)으로 스웨덴령 포메른을 획득했으나 필생의 염원인 니더라인 지역의 이윌리히 공작령과 베르크 공작령의 병합은 이루지 못했다. 오스트리아 및 영국과의 관계는 상당히 냉각되었으며 1739년까지 프랑스가 프로이센의 유일한 동맹국이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왕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