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외부 구조
자유생활을 하는 와충류는 색깔과 무늬가 다양하며, 기생성 종에는 보통 색소가 없지만 촌충류는 장 속의 먹이(예를 들면 담즙·혈액)에 의해 색깔을 띤다.
전형적인 편형동물의 몸은 등·배가 납작한 나뭇잎 모양 또는 띠 모양이다. 자유생활을 하는 종들에서 앞부분(두부)은 보통 원시적인 눈인 2개의 색소로 된 점에 의해 뒷부분과 구별된다. 촌충류의 두부는 폭의 차이로 명확히 구분되며, 횡간체(몸)는 편절들로 구성되는데 편절의 수는 3개에서 수백 개로 종에 따라 다르다. 두부의 부착기관은 흡반 외에 갈고리·가시 등으로 구성된다.
자유생활을 하는 종들의 외피는 섬모가 나 있는 세포들의 층으로 되어 있으나 기생성 종들의 외피는 기생생활을 하는 경로에 따라 많이 변형되어 있다. 촌충류와 단생류의 몸 표면에는 미세섬모(微細纖毛) 또는 미세융모(微細絨毛)라는 구조물들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아마도 기생성 종들이 숙주의 장에 부착하고 영양물을 흡수하며 다양한 물질을 분비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흡충류에는 미세섬모가 없고 대개 가시가 있다.
내부 구조
와충류에는 2가지 형태의 간충직선(mesenchymal gland)이 있는데, 그 가운데 하나는 이들이 그 위를 기는 끈적끈적한 물질을 만드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먹이를 잡거나 부착할 때, 또는 알집을 적당한 표면에 붙일 때 필요한 부착물질을 분비하는 것이다.
기생성 종들의 유생들은 부착할 때 포낭벽을 만드는 데, 또는 숙주를 뚫고 들어가는 데 필요한 분비물을 내는 분비선들을 가지고 있으며, 흡충류의 성체들은 부착 및 숙주의 조직들을 부드럽게 하고 소화하는 데 필요한 분비선들을 가지고 있다. 간충직은 섬유기질(fibrous matrix)과 고정세포들 및 자유세포들로 구성되며, 작은 공간을 채우고 있는 체액이 영양물질과 배설물을 분배한다. 간충직세포는 성장기간 동안 분화하여 생식세포가 되거나, 무성생식·회복·재생 등에 관여하기도 한다.
신경계의 신경중추와 주요감각기관은 두부에 집중되어 있다.
전형적인 편형동물의 뇌는 2장의 조직 덩어리로 이루어져 있고, 뇌에서 뒤쪽으로 이어지는 종신경색들에 횡신경들이 연결되어 사다리꼴 신경망을 형성하고 있다. 모든 무리에서 감각수용기가 나타난다. 편형동물의 근육계는 중교에서 기원한 환상근과 종주근이 잘 발달하여 몸의 수축과 확장을 원활히 할 수 있다. 와충류와 흡충류의 소화관은 앞쪽 또는 복면의 중간부위에서 시작되는 입으로부터 인두·식도·장 등으로 연결되며 보통 항문이 없다.
장은 소화세포들 및 흡수세포들이 층을 이루고 있으며 연동운동을 하는 근육층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촌충류에는 소화계가 없으며, 배설계는 분지된 관들의 말단들이 불꽃세포를 이루는 원신관(原腎管)으로 구성된다.
영양
자유생활을 하는 와충류의 대부분은 육식성이며, 특히 잘 발달된 인두를 이용하여 환형동물·절지동물·연체동물·피낭동물(被囊動物) 등 자신들보다 큰 생물체들을 잡아먹을 수 있다(섭식행동). 소화는 세포외소화 및 세포내소화를 하며, 장에 소화효소가 있어서 먹이 입자의 크기를 줄인다.
장을 가지고 있는 기생성 편형동물(흡충강·단생강)에서는 먹이에 따라 세포외소화와 세포내소화가 나타난다. 액체성분이 아닌 숙주의 먹이나 조직 조각을 영양소로 섭취할 때는 세포외소화를 하며, 혈액 등을 섭취할 때는 주로 세포내소화에 의존한다. 흡충류는 장이 있으나 외피를 통해 포도당 등을 흡수한다. 장이 없는 촌충류는 모든 먹이를 외피를 통해 흡수하는데, 아미노산 및 작은 분자의 탄수화물 등의 흡수는 능동수송에 의해 이루어진다.
대사
기생성 종들과 자유생활을 하는 종들 모두 가능한 한 산소를 이용하지만, 연구된 기생성 편형동물의 대부분에서 혐기성 대사(代謝)가 우세한 것으로 밝혀졌다.
기생성 종들의 조직은 다른 무척추동물들과 마찬가지로 단백질·탄수화물·지방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비율은 탄수화물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고 단백질 함량이 낮다. 저산소상태에서의 주요 에너지원인 탄수화물은 촌충류의 유생 및 성체에서 주로 동물성 녹말, 즉 글리코겐으로 나타난다. 글리코겐을 비롯한 화학적 구성물들의 수준은 숙주의 먹이나 섭식습성에 따라 수시로 많이 변한다.
어떤 종에서는 건중량(乾重量)의 40%가 글리코겐이다. 촌충류와 흡충류의 주요 단백질은 케라틴(keratin)과 스클레로틴(sclerotin)이다. 케라틴은 촌충류와 흡충류의 갈고리 및 알의 보호층을 형성하며, 미성숙단계에 있는 흡충류의 포낭벽을 형성한다. 스클레로틴은 촌충류와 흡충류의 알껍질을 형성한다.
편형동물의 알은 숙주에 따라 다른 다양한 자극에 반응하여 부화되는데, 대부분은 알이 부착되어 있는 조직을 공격하는 효소의 분비가 빛에 의해 촉진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많은 촌충류, 특히 원엽목(Cyclophylidea)에 속하는 종들은 숙주가 알을 삼켰을 때만 알이 부화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동물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편형동물의 형태와 기능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