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중요성
편형동물은 사람의 실제생활과 관련된 매우 중요한 무리로서, 많은 종류의 흡충류(디스토마류)와 촌충류가 사람과 가축에 기생하고 있다.
유럽 및 아메리카 등지에서는 일상적으로 육류검사를 함으로써 촌충감염률이 매우 감소되었으나 공중위생이 불량한 곳에서는 아직도 촌충감염률이 높다. 발트 해 연안국가에서는 많은 집단들이 넓은마디촌충에 감염되어 있으며, 미국의 남부지역에서는 낮은 비율이지만 꼬마촌충 감염이 나타난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덜 익은 스테이크나 그밖의 쇠고기 제품을 먹는 습관 때문에 민촌충(Taenia saginata)이 드물지 않다. 미성숙단계에 있는 기생충(유생)들은 숙주에 심각한 손상을 일으킨다. 다두조충은 유생단계를 숙주(양)의 뇌에서 보내며, 포낭충의 액체로 찬 포충(胞蟲:유충단계의 촌충을 감싸고 있는 주머니)은 숙주의 몸전체에 부위를 가리지 않고 나타난다.
사람의 간이나 뇌 또는 폐에 포충이 있으면 대개 치명적이다(포낭충증).
사람에 기생하는 종류로 36종 이상의 간흡충류가 보고되었다. 감염은 전세계 각지에서 나타나고 있는데 특히 극동아시아, 아프리카, 아메리카 열대지역 등지에 흔하다. 많은 종류는 가재·게·어류 등의 음식물을 날것으로 먹을 때 메타세르카리아(metacercaria)라는 포낭상태로 사람의 몸 속으로 들어가며, 혈액흡충류의 자유유영을 하는 유생(cercaria)은 직접 사람의 피부를 뚫고 들어간다.
크기 및 구조의 다양성
대부분의 와충류가 5㎜ 이내의 크기를 가지고 있으나, 와충류 가운데 가장 큰 플라나리아류 중에는 길이가 0.5m에 달하는 것도 있다.
흡충류는 길이가 대부분 5~100㎜ 정도이지만 수 cm로 자라는 종도 있다. 크기가 작은 촌충류는 1㎜ 정도이지만 어떤 종은 15m 이상의 길이를 갖는다. 단생강의 종들은 0.5~30㎜, 순흡충강의 종들은 수㎜에서 100㎜의 몸길이를 갖는다.
분포 및 풍부도
일반적으로 자유생활을 하는 편형동물들은 습기가 있는 곳이면 어디에서든지 발견된다.
절두목(截頭目 Temnocephalida)에 속하는 종들을 제외한 와충류들은 범세계적 분포를 보이는 편형동물로서, 담수와 해수 모두에서 나타나며 때때로 열대·아열대 지역의 습기가 있는 육상 서식지에서도 나타난다. 담수 갑각류에 기생하는 절두류는 중앙 아메리카, 마다가스카르,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및 남태평양의 섬들에서 나타난다. 와충류의 기라트릭스 헤르마프로디투스라는 종은 여러 생태적 조건을 가장 잘 견뎌내는 범세계적 분포를 보이는 종으로서, 염호(鹽湖)뿐만 아니라 깊이 2,000m까지의 담수에서도 나타난다.
기생성 종들의 성체는 특정 척추동물 숙주들에 제한되어 나타나지만, 유생들은 중간숙주가 되는 연체동물·절지동물(예를 들면 게류)·환형동물(예를 들면 갯지렁이류) 등의 무척추동물들에서도 나타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동물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