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통가와 한국과의 관계

다른 표기 언어

요약 통가와 한국의 외교·경제·문화적 관계. 통가와 한국과의 공식적인 외교관계는 1970년 9월에 시작되었다. 양국 간 교역은 미미하나, 한국은 통가의 경제발전을 돕기 위해 1987년부터 경제적 원조와 투자를 하고 있다.

대한민국과 통가의 국기

ⓒ MZinchenko/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외교

통가는 1970년 9월에 한국과 수교를 맺었으며, 한국은 주 뉴질랜드 대사관이 겸임하고 있다. 1980년 12월에 외무부장관 겸 국방부장관인 투포우 왕세자의 방한으로 우호를 다졌고, 2011년 5월에 총리, 2014년 11월에 외교부차관이 방한했으며, 한국은 2010년 3월에 신임장 제정으로 주 뉴질랜드 대사가 방문했다. 한편 통가는 북한과 미수교 상태이다.

경제·통상·주요 협정

양국 간 교역은 미미하여 2023년 기준 대한국 수출액은 88만 달러이다. 한국은 1981년부터 어업연수생을 초청하여 교육시키고 있다. 한국은 통가에 1976년부터 태풍구호금·어로장비·어구장비를 무상 원조했으며, 1987~2016년 간 통가의 경제발전을 협력하기 위해 377만 달러를 지원했으며, 2006~2016년 간 100만 달러를 투자했다. 2018년 2월에는 태풍 사이클론으로 인해 막대한 피해를 입은 통가에 10만 달러 규모의 인도적 지원을 했다.

문화교류·교민 현황

2023년 기준 통가에는 24명의 재외동포가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오세아니아

오세아니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통가와 한국과의 관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