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케랄라

다른 표기 언어 Kerala
요약 테이블
위치 인도 남서단
인구 37,961,280명 (2020년 추계)
면적 38,863㎢
언어 말라얄람어
대륙 아시아
국가 인도

요약 인도 반도 남서쪽의 말라바르 해안을 따라 약 567km에 걸쳐 있다. 북쪽은 카르나타카 주, 동쪽과 남쪽은 타밀나두 주, 서쪽은 아라비아 해와 접해 있다. BC 3세기 이 지역은 케랄라푸트라라는 독립 왕국이었다. 이 시기에 아리아인들이 이주해 와서 힌두교를 전했고, 7~8세기 아랍 상인들이 이슬람교를 전파한 것으로 보인다. 이 지역은 1790년 영국의 속령이 되었으며, 1947년 독립 후에는 트라방코르코친 주로 알려졌다. 지금의 케랄라는 1956년 말라얄람어를 쓰는 여러 지역을 포함해서 주로 설정되었다.
케랄라는 인도에서 인구밀도가 가장 높은 주이며, 주민의 대부분이 드라비다족에 속한다. 경제는 농업이 중심을 이루고 있으며, 주민 대부분이 공업화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주도인 트리반드룸에 국제공항이 있다.

케랄라, 트리반드룸(Kerala, Trivandrum)

ⓒ Ajayptp/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인도 반도 서쪽의 말라바르 해안을 따라 약 567km에 걸쳐 있으며, 너비는 32~120km이다. 북쪽은 카르나타카(옛 이름은 마이소르) 주, 동쪽과 남쪽은 타밀나두(옛 이름은 마드라스) 주, 서쪽은 아라비아 해와 접해 있다. 면적은 인도 전체국토의 1%밖에 안 되지만, 인구는 전체인구의 4%가량이다.

케랄라에 관한 최초의 언급은 BC 3세기에 인도의 황제 아소카가 남긴 암석 비문 가운데 하나에 나타나는데, 당시 이 지역은 케랄라푸트라로 알려진 독립 왕국이었다. 이 시기에 아리아인들이 케랄라로 이주해 와서 힌두교를 전했다. 7~8세기에는 아랍 상인들이 이슬람교를 전파한 듯하다. 그후의 2세기는 철학·교육·미술의 황금기였다. 이 시기는 말라얄람어가 독립적인 언어로 쓰이기 시작한 때이기도 했다.

한동안 케랄라는 호전적인 족장들의 난립 지대였다. 그러다가 1498년에 포르투갈인들이 캘리컷에 상륙하면서 인도에서 최초로 유럽의 간섭을 받는 지역이 되었다. 17세기에 네덜란드인들이 포르투갈인들을 몰아낸 후 케랄라는 마이소르 군대의 침략을 받았다. 이어 1790년 영국의 속령이 되었으며, 19세기초 영국에 대항하는 반란이 일어났으나 실패했다.

1947년 인도가 독립한 후 이 지역은 트라방코르코친 주로 알려졌다. 지금의 케랄라는 1956년에 언어를 바탕으로 말라얄람어를 쓰는 여러 지역을 포함해서 주(州)로 설정되었다.

케랄라는 자연경관이 매우 아름다운 지역이다. 웅장한 서고츠 산맥의 고지에서부터 짙푸른 숲으로 뒤덮인 강유역이 끝없이 펼쳐지는 가운데 지형이 서쪽으로 기복을 이루며 뻗어 있다. 페리야르·팜바·바라타푸자 강 등 많은 하천이 흐른다.

기후는 온화한 편이며 계절적인 차이가 적다. 기온은 평야에서는 보통 27~32℃이지만, 고지에서는 21℃로 떨어진다. 인도의 다른 지역들과 마찬가지로 남서계절풍과 북동계절풍이 불며, 강우량이 풍부해서 연평균 3,000㎜에 이른다.

인도에서 인구밀도가 가장 높은 주인 케랄라는 인도아 대륙의 역사를 반영하는 인종분포를 나타낸다. 산악부족들 가운데 몇몇 부족은 니그로 인종의 특징을 나타내는 반면 다른 부족들은 스리랑카 삼림의 유랑민인 베다족과 관련이 있는 듯하다. 주민의 태반이 드라비다족(고대 인도 종족)에 속하며, 북쪽에서 온 후기 아리아인 이주민의 후손도 조금 있다. 말라얄족의 대다수는 힌두 사회에 속하며, 그리스도교도와 이슬람교도도 소수 집단으로서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경제는 농업이 중심을 이루고 있으며, 주민 대부분이 지금까지 공업화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전체 경작지의 40%를 차지하는 고무·커피·차·후추·카르다몸·카슈 등의 상품작물을 통해 외화를 벌어들이지만, 이러한 작물들을 집중적으로 경작함으로써 국내 소비용 식량이 부족하게 되었다. 가축은 질이 나쁘지만 상업적 가금사육이 인도에서 가장 발달했으며 달걀을 수출한다. 또한 인도 어획량 가운데 큰 몫을 차지하고 있다.

삼림에서는 레이온 산업에 사용되는 대나무, 목재 펄프, 숯, 고무, 수지뿐 아니라 티크와 자단(紫檀) 같은 중요한 산업 원료들이 생산된다. 코코야자 섬유와 카슈 가공 또는 직조 같은 가내공업에는 산업 노동자 가운데 3/5이 고용되어 있다. 대기업에 고용된 노동자들은 대부분 식품과 섬유 가공 분야에서 일한다. 케랄라 주는 대부분의 공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비료, 화학제품, 전기기구, 티타늄, 알루미늄 전선, 합판, 합성섬유 등을 생산한다.

3대 항구인 코친·알레피·캘리컷 항이 모두 연안 해운과 원양 해운을 취급하고 있다. 주도인 트리반드룸에는 국제공항이 있으며, 코친에는 국내선 공항이 있다.

케랄라는 인도에서 교육수준이 가장 높은 주로서 문자 해독률이 남성 75%, 여성 65%에 이른다. 여성은 높은 사회적인 지위를 누리고 있으며 모든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약 50개의 공예·산업 기술훈련기관이 있으며 4개의 종합대학교와 100개 이상의 예술·과학대학교, 약 30개의 전문대학교가 있다.

여러 세기 동안 동·서양과 접촉함으로써 더욱 풍부해진 고대 힌두 문화의 요소들이 문화유산에 포함되어 있다. 2세기부터 지금까지 계속해서 문학과 학문이 번창하고 있다. 최근에는 시·음악·춤을 종합한 케랄라 양식의 연극이 전통민속에 등장하게 되었으며, 문화단체 칼라만달람에서는 전통예술의 부흥·발전을 위해 힘쓰고 있다. 또한 케랄라의 주요축제인 '오남' 기간에는 다양한 시각예술 전시회가 열리며, 궁전·사원·교회의 벽을 장식한 화려한 벽화들을 통해 고대 인도 회화와는 전혀 다른 전통과 양식을 볼 수 있다.

지도
케랄라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아시아

아시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케랄라


[Daum백과] 케랄라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