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임신의 진단

다른 표기 언어

증상과 징후(생물학적 시험)

겉으로 나타나는 임신 초기증상으로는 무월경, 아침에 일어나는 임신성구역, 유방이 부드러워지고 커지는 현상 등이 있다. 그러나 확실한 징후로는 임신 16~20주에 청진기로 들리는 태아의 심장박동음, 14~16주에 X선 검진상 나타나는 태아의 골격구조, 18~20주에 들리는 태동 등을 들 수 있다.

기초체온법으로 배란일을 측정하는 여성의 경우 배란일이 지난 후에도 기초체온이 계속 상승하면 이것을 임신의 징후로 받아들인다. 임신 초기에는 팽창된 자궁이 방광을 압박하기 때문에 소변을 자주 보게 된다. 피로, 구토, 식성의 변화, 복부의 양쪽으로 당겨지는 통증 등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증상의 대부분은 시간이 지날수록 없어진다.

임신의 생물학적 검사는 난소자극호르몬인 사람융모막고나도트로핀(human chorionic gonadotropin/HCG)의 생성유무로 판정하는데 실제로 이 검사는 95%의 정확도를 가진다. 태반 내의 질병에 의해서 비정상적으로 HCG가 다량생산되거나 정상적으로 HCG가 낮아지는 임신 후기에 검사할 경우 가양성이나 가음성이 생길 수 있다. 면역반응에 의한 임신검사는 여성의 소변이나 혈액을 첨가한 HCG 항혈청(HCG 항체를 가진 토끼의 혈청)을 HCG를 입힌 물질(또는 적혈구)과 섞어서 응괴가 일어나는지를 검사하는 것이다.

만약 임신이 되어 소변 속에 HCG가 있으면 HCG를 입힌 물질과 항체가 결합하는 것을 경쟁적으로 방해하여 응괴가 일어나지 않아 임신으로 판정되며, HCG가 없으면 응괴가 일어나므로 임신이 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다. 임신 초기의 신체적 변화로는 젖무리가 검게 착색되는 것과 유두 주변 기름샘(몽고메리 선)의 돌출, 외음부·질·자궁목의 자주색 착색, 자궁팽창 등이 있으나 이러한 증상들이 반드시 임신의 직접적인 증거는 아니다.

임신으로 오인할 수 있는 상태

임신으로 착각하게 하는 여러 가지 상태가 있을 수 있다. 만성질환, 정서장애, 내분비계 장애, 임신공포, 임신욕구 등에 의해 월경이 없을 수도 있으며, 구역질과 구토는 위장질환이나 심리적 요인에 의해, 유방팽대는 호르몬 이상에 의해 일어날 수도 있다. 골반종양으로 생식기관의 조직이 착색되기도 하며 자궁 내의 연종양은 임신과 유사한 징후를 나타낼 수 있다.

아기를 갖고 싶은 욕망이 매우 강한 여성은 가성임신이 생길 수 있는데, 월경중단·구역질·복부팽창(실제로는 지방 및 장내 가스에 의해 생김) 등 실제로 임신이 되었을 때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며 심지어는 출산시의 고통까지도 겪게 되는데 정신치료에 의해 치료된다.

임신기간

임신기간은 배란에서 출생 때까지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266~270일 정도이지만 드물게는 250~285일이 될 수도 있다. 분만예정일은 마지막 월경이 시작된 날에 7을 더하고 여기에다 9개월을 더한 것으로 산출하는데, 예를 들어 마지막 월경이 1월 10일에 시작되었다면 분만예정일은 10월 17일이 된다. 그러나 마지막 월경일로부터 221일이 지난 후에 완전히 발육한 아기가 태어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대부분이 정확한 배란일을 잘 모르므로 분만예정일을 정확히 계산하기는 힘들다.

위의 계산에 따른 분만예정일에 태어날 확률은 5%, 5일의 차이를 두고 태어날 확률은 25%, 7일의 차이를 두고 태어날 확률은 50%, 14일의 차이를 두고 태어날 확률은 95%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Daum백과] 임신의 진단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