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용안현

다른 표기 언어 龍安縣

요약 전라북도 익산시 용안면 일대에 있던 옛 고을.

본래 함열현의 도내산은소 또는 창산소였다. 고려 후기인 1321년(충숙왕 8)에 이 고장 사람 백안부개가 원나라에서 고려를 위해 공을 세웠다 하여 용안현으로 승격되었으며, 1391년(공양왕 3)에 전주의 속현이었던 풍제현(풍저 또는 풍성이라고도 함)을 병합했다.

조선초인 1409년(태종 9)에 함열현과 합해 안열현이 되었다가 1416년에 다시 두 현을 분리해 조선시대 동안 유지되었다. 조선초에는 이곳 금두포에 남원 등 19개 군현의 조세를 수납하던 조창인 득성창이 설치되었던 조운의 요충지였으나, 1487년(성종 18)에 함열의 성당창과 옥구의 군산창으로 조창이 분산되었다.

용안의 별호는 칠성이었다. 지방제도 개정에 의해 군이 되어 1895년에 전주부 용안군, 1896년에 전라북도 용안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용안군이 폐지되고, 북면·군내면·일동면·이동면·남면이 용안면으로 통합되어 익산군에 편입되었다.→ 익산시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전라북도

전라북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전라북도 익산시


[Daum백과] 용안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