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의미를 소박하게 정의하자면 언어가 가리키는 사물이라고 할 수 있다. '개'의 의미는 무수히 볼 수 있는 실물의 '개'이다. '용'처럼 언어는 있으나 실물이 없는 경우 가상세계도 포함하면 해결되지만, '금성-개밥바라기-샛별'처럼 동일한 지시물을 가리키는 말이 여러 개 있다면 이러한 정의는 무색해진다. 이런 어려움은 언어의 의미를 지시물이 아닌 인간의 심적 과정에서 생기는 개념으로 보면 피할 수 있다. 그러나 의미를 정의하기 위해 '개념'을 이용하면 다시 개념이란 무엇인가를 정의해야 하므로 의미의 문제는 그대로 남는다. 그래서 미국의 언어학자 L. 블룸필드는 화자의 자극과 청자의 반응과정에서 의미를 파악하고자 했으며, 철학자 L. 비트겐슈타인은 단어의 의미는 단어의 용법이라고 정의한 바 있다.
의미의 문제는 언어학을 비롯하여 철학·심리학 등 여러 학문에서 깊이 관심을 가지는 문제이다.
그러나 의미는 극히 추상적이고 비감각적인 심적 내용이기 때문에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의미에 대해 소박하게 정의하자면 의미는 언어기호가 가리키는 사물(지시물)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의 의미는 무수히 볼 수 있는 실물(實物)의 '개'라는 것이다. '용'(龍)처럼 언어기호는 있으나 실물이 없는 경우는 현실세계 외에 가상세계도 포함하면 해결되지만, '금성-개밥바라기-샛별'처럼 동일한 지시물을 가리키는 말이 여러 개 있는 경우에 이러한 정의는 무색해진다(기호론). 이러한 어려움은 언어기호의 의미를 지시물과 관련시키지 않고 인간의 심적 과정에서 생기는 개념으로 보면 피할 수 있다.
그러나 의미를 정의하기 위해 '개념'을 이용하면 다시 개념이란 무엇인가를 정의해야 하기 때문에 의미의 문제는 그대로 남는 셈이다. 미국의 언어학자 L. 블룸필드는 행동주의의 영향을 받아 화자의 자극과 청자의 반응의 과정에서 의미를 파악하고자 했으며, 철학자 L. 비트겐슈타인은 단어의 의미는 단어의 용법(用法)이라고 정의한 바 있다.
의미는 다시 몇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첫째, 개념적 의미로 어떤 단어에 대해 일반적으로 추론해낼 수 있는 가장 보편적이고 핵심적인 인식 내용이다. 의사소통에서 가장 중심적인 요소이며 고정적이므로 의미연구에 일차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대상이다. 둘째, 연상의미로 구체적인 문맥과 상황에서 연상되는 의미이다. 개념적 의미는 실질적으로 한 언어 사회의 구성원들이 공통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인 데 비해 연상의미는 안정감이 부족하고 개인 경험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연상의미는 다시 내포적(connotative)·문체적(stylistic)·감정적(affective)·반영적(reflective)·배열적(collocative) 의미 등으로 세분될 수 있다. 내포적 의미는 어떤 표현이 순수한 개념적 내용 외에 갖게 되는 전달 가치를 말한다. 예를 들어 '여자'라는 단어에서 '아기를 밸 수 있는', '연약한', '감정적', '비합리적' 등의 속성을 연상할 경우, 그러한 속성들이 그 언어 사회에서 모든 사람이 함께 느낄 수 있는 공통된 인식이 아니라면 그것은 내포적 의미가 된다.
문체적 의미는 언어의 사용에서 사회적 환경이 다르다는 것을 깨달을 때에 나타난다. 즉 화자와 청자 간에 사회적 차원과 계층이 다를 때 이들 사이에는 언어 사용상의 간격이 생기는데, 이 간격을 문체적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감정적 의미는 화자의 개인적 감정, 청자에 대한 화자의 태도, 또는 말하고 있는 대상에 대한 태도에 따라서 발생하는 의미이다. 이 의미는 사용된 단어의 개념적·내포적 의미로 전달될 수도 있으나 화자의 감정을 나타내는 데에는 억양과 음색(音色)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반영적 의미는 한 단어의 의미가 다른 의미에 대한 반응을 반영할 때 나타난다. 예를 들어 '성령'(聖靈)이라는 단어에 대해서는 '유령'(幽靈)이라는 반영적 의미가 간섭한다. 배열적 의미는 어떤 단어가 다른 단어와 배열되어 쓰이면서 연상되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아름다운 남자'와 '아름다운 여자'를 비교하면 전자의 경우는 배열적 의미에 의해 후자와 달리 다른 종류의 매력이 암시된다.
셋째, 의도적 의미로, 이는 화자가 발화할 때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로 특정 상황에 따라 어순·초점·강조 등으로 이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언어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