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여운형

다른 표기 언어 呂運亨 동의어 몽양, 夢陽
요약 테이블
출생 1886. 4. 22, 경기 양평
사망 1947. 7. 19, 서울
국적 한국
본관 함양(咸陽)

요약 일제강점기 조선건국동맹을 조직하고, 조선건국준비위원회를 준비했던 독립운동가 및 정치가. 본관은 함양, 호는 몽양으로 1919년 임시정부를 조직하고 이후 해방에 대비하고자 1944년 조선건국동맹, 1945년 조선건국준비위원회를 조직했다. 1946년 좌우합작운동이 일어났을때 미군정의 지지를 받으며 좌우합작위원회를 정식으로 설립하고 미소공동위원회의 성공을 위해 노력하다가 뜻을 이루지 못한 채 1947년 7월 19일 서울 혜화동 로터리에서 암살되었다.

여운형(呂運亨)

ⓒ Sienic~commonswiki/wikipedia | Public Domain

개요

독립운동가, 정치가. 호는 몽양(夢陽). 조부 여규신의 영향으로 국가와 민족에 대한 충정을 사상의 근본으로 삼았다. 어렸을 때에는 한학을 공부했으나, 성장과정에서 기독교인이 되었으며, 중국 난징의 금릉대학에서 영문학을 공부했다. 그 이후 본격적으로 독립 운동에 나서서 상하이와 중국을 배경으로 활동하면서 점차 독립운동가로서의 명성을 높였다. 해방 후 혼란의 와중에서 박헌영과 연합하여 조선인민공화국을 선포하고 좌우의 대립으로 갈라진 정치세력들을 하나로 규합하려고 노력했으나, 1947년 7월 암살되었다.

초기 생애

1886년 5월 25일 경기도 양근군 서시면에서 아버지 여정현(呂正鉉)과 어머니 경주 이씨(慶州李氏)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몽양'이라는 호는 '꿈속의 해'라는 뜻인데, 그를 임신했을 때, 조부 여규신(呂圭信)이 떠오르는 태양의 꿈을 꾸었다고 하여 지은 것이다. 조선의 발전을 위해 노력했으며 후에 동학교도가 되었던 조부는 후일 여운형이 국가와 민족에 대한 자신의 역할을 꿈꾸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여운형은 1889~90년 고향에서 한문을 수학한 후 1900년 신학문에 뜻을 두고 감리교 교인들과 교제하다가 기독교인이 되었다. 그는 배재학당에 입학했다가 부당한 체벌에 반발하여 자퇴하고 1901년 흥화학교(興化學校)로 전학했다. 하지만 직업을 가져야 한다는 아버지의 권유로 1902년 다시 관립우체학교에 입학했다. 재학 중에 일본인이 우체학교를 인수하자, 졸업한 후에도 취업을 거부했다.

1905년 을사보호조약이 체결되자 1906년 농사를 지으면서 사서삼경을 공부했다. 그는 이 무렵 양평에 교회를 세우고 기독교를 전파하는 한편, 광동학교(光東學校)를 설립하여 교육사업을 펼쳤다. 1908년 국채보상 단연동맹(國債報償斷煙同盟)을 조직하고 각지를 순회하면서 연설했으며, 초당의숙(草堂義塾)에 교사로 초빙되었다. 1911년 평양장로교 신학교에 입학하여 미국 장로교 선교사였던 언더우드를 만나 인연을 맺은 후, 서간도 신흥무관학교와 서간도의 여러 곳을 다니면서 조국 광복의 뜻을 펼치다가 언더우드의 추천으로 중국 난징(南京) 금릉대학(金陵大學) 영문학과에 입학하여 1917년 졸업했다.

주요 활동과 업적

독립운동 시기

여운형은 1918년 결성된 신한청년당의 당수로 취임하면서 본격적인 독립운동을 시작했다. 미국 대통령 특사 크레인에게 조선의 독립청원서 2통을 건네주어 윌슨 대통령에게 파리강화회의에 제출해줄 것을 부탁했다. 1919년 1월 파리강화회의에 신한청년당 대표로 김규식을 파견하여 한국의 완전 자주독립을 호소했다. 4월 상하이(上海)에서 임시의정원을 설치하고 임시정부를 구성한 후, 여운형은 외무부 차장으로 참여했다.

같은 해 11월 일본 정부의 초청으로 도쿄(東京)로 건너가 하라(原敬) 총리 등 정부 요인들과 회담하면서 조선독립의 정당함을 주장했고, 제국 호텔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일제의 대조선정책을 혹독히 비판하여 일본은 물론 전 세계를 놀라게 하기도 했다. 1920년 미국 국회의원 사절단 100여 명이 중국 상하이와 베이징(北京)을 시찰하는 동안 임시정부의 대표로 안창호와 함께 이들을 만나 한국의 독립을 역설했다.

1922년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원동(遠東, 아시아 대륙 동쪽을 이르는 말) 피압박민족대회에서는 5인 주석단의 한 사람으로 선출되었고, 레닌·트로츠키 등과 만나 한국독립에 대한 적극적인 원조를 요청하기도 했다. 또한 11월 김구를 이사장으로 결성된 한국노병회(韓國勞兵會)에 참여하여 군인과 기술자의 양성을 위해 노력했다. 1923년 이동녕·김구 등과 함께 한국독립촉진회를 조직했다.

1924년 이후에는 주로 중국에서 독립을 위해 활동했다. 타스통신사 중국지부에 근무하면서 코민테른 원동부(遠東部)와의 관계도 매우 밀접해져서, 1925년 국내에서 결성된 조선공산당에 대한 코민테른의 승인에도 상당히 기여했다. 1929년에는 상하이복단대학(上海復旦大學) 축구단을 인솔하여 동남아시아 각지를 순회하면서 영국과 미국의 식민지정책을 통렬히 비난했다. 같은 해 7월 상하이 랴오둥(遼東) 운동장에서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본국으로 압송, 1930년 3년의 징역형을 언도받아 복역하다가 1932년 7월 출옥했다.

이후에는 국내에서 활동했는데, 국외에서와는 달리 행동에 제약을 많이 받았다. 1933년 조선중앙일보사 사장에 취임한 후 〈조선중앙일보〉의 본사와 각 지부에 독립운동가들과 사회주의자들을 많이 배치하여 활동하게 했다. 또한 조선체육회장에 취임하여 체육활동을 통한 민족의식의 앙양에도 노력했다. 〈조선중앙일보〉는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대회에서 우승한 손기정 선수의 사진을 보도하면서 일장기를 지웠는데, 〈동아일보〉의 일장기 말소사건이 알려진 후 이 사실이 발각되어 1937년 11월에 폐간되었다(→ 일장기말소사건).

여운형은 1940년 세계 정세도 살펴볼 겸 일본 도쿄로 떠나 유학생을 규합하여 해방될 조국의 인재양성을 위해 활동하다가, 1942년 일본에서 귀국하는 도중 시모노세키(下關)에서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다시 투옥되었다. 그는 1943년 집행유예로 출옥한 후 숨어 지내다가 1944년 조선건국동맹이라는 항일지하조직을 전국에 조직하여 해방에 대비하고자 했다.

1934년 조선중앙일보 사장시절 여운형

ⓒ The Chungang Daily News/wikipedia | Public Domain

해방 정국과 정치 활동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무조건항복 방송이 나가기 전 여운형은 정무총감 엔도오(遠藤)로부터 해방 후 치안을 맡아줄 것을 부탁받았다. 이에 여운형이, ① 전 조선의 정치범·경제범 석방, ② 경성에 8~10월의 3개월분 식량 확보, ③ 치안유지와 건설사업에 불간섭, ④ 학생들의 훈련과 청년의 조직화에 불간섭, ⑤ 일본 노무자들도 건설사업에 협력 등 5가지 조건을 제시하자 엔도오는 주저없이 수락했다. 그는 8·15해방 후 공백기간의 질서유지의 일익을 담당하며 안재홍 등을 비롯한 건국동맹원들을 중심으로 조선건국준비위원회를 조직했다.

같은 해 9월 6일 미군의 남한 진주를 앞두고 박헌영이 이끄는 공산계열과 연대하여 조선인민공화국을 선포하고 스스로 부주석이 되었다. 10월 1일 조선인민공화국 수립경위에 관한 〈매일신보〉 기자의 질문에 응답한 답변내용을 보면, "북한의 소련군처럼 남한의 미군도 행정일체를 조선인에게 넘겨줄 가능성이 있다"라는 희망적 관측을 가졌으나, 조선인민공화국은 우익진영의 반대와 미군정의 승인 거부로 실패하고 말았다. 11월 12일에는 건국동맹세력을 모체로 고려국민동맹·인민동지회·일오회(一五會) 등의 단체를 흡수하여 조선인민당을 창당하고 당수로 취임했다.

건국준비위원회 발족식때 강연하는 여운형

ⓒ Sienic~commonswiki/wikipedia | GFDL

1946년 2월에 결성한 민주주의 민족전선(민전)에 참가하여 의장단에 선출된 이후 3월초에 열린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되자, 좌우합작운동을 전개하여 6월 6일 남조선민주의원을 대표한 김규식과 원세훈, 민전을 대표한 허헌 등과 함께 제1차 회합을 가졌고, 14일 제2차 회합에서 좌우합작 3원칙을 발표했다. 이후 좌우합작운동은 미군정의 지지를 받으며 7월 21일 4개항의 합의사항이 공동명의로 발표됨으로써 좌우합작위원회가 정식으로 성립되었다.이후 좌우합작운동은 미군정의 지지를 받으며 7월 21일 4개항의 합의사항이 공동명의로 발표됨으로써 좌우합작위원회가 정식으로 성립되었다.

같은 해 9월 평양에서 한반도 문제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자 김일성과 회동하기도 했으며, 11월 남조선노동당으로의 합당과정에서 이탈한 세력을 결집하여 사회노동당을 결성했다. 그러나 사회노동당 세력의 남조선노동당으로의 대거 이탈과 사회노동당에 대한 북한의 비판적 입장으로, 1947년 5월 사회노동당을 해체하고 온건좌파 세력을 중심으로 근로인민당을 창당하여 당수를 지내며, 김규식과 함께 좌우합작운동을 적극 추진했고 미소공동위원회의 성공을 위해 계속 노력하다가 뜻을 이루지 못한 채 그해 7월 19일 서울 혜화동 로터리에서 한지근에게 암살당했다.→ 근로인민당, 사회노동당, 조선인민당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정치가

정치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9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여운형의 동경행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여운형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