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위치 | 중국 중동부 양쯔 강 하구 |
---|---|
인구 | 28,400,000명 (2023년 추계) |
면적 | 6,340.5㎢ |
언어 | 중국어 |
대륙 | 아시아 |
국가 | 중국 |
요약 세계에서 가장 큰 항구의 하나이며 중국의 주요 산업·상업의 중심지. 동중국해 연안에 있으며 북으로 양쯔 강 어귀와 남으로 항저우 및 위판 만 사이에 자리잡고 있다. 이곳에서 생산되는 제품은 점차 늘어나는 중국의 국내 수요에 충당되고 있다.
동중국해 연안에 있으며 북으로 양쯔 강[揚子江] 어귀와 남으로 항저우[杭州] 및 위판 만[玉盤灣] 사이에 자리잡고 있다.
전체면적에는 상하이 시뿐 아니라 주변의 교외지역과 내륙의 농업지역도 포함된다. 중국에서 가장 인구가 조밀한 도시지역이기도 하다. 또한 상하이는 중국의 항구 중 서방 무역을 최초로 개방한 항구로 오랫동안 중국의 상권을 독점해왔다.
1949년 공산정권이 들어선 이후로는 거대한 산업도시로 발전했다. 이곳에서 생산되는 제품은 점차 늘어나는 중국의 국내 수요에 충당되고 있다. 교외 공업지구와 주택단지가 세워지고 토목공사도 이루어졌을 뿐만 아니라 공원과 그밖의 오락시설이 마련됨에 따라 도시가 크게 변모했다.
자연과 지리
자연조건
성급(省級) 시이며, 북쪽과 서쪽은 장쑤 성[江蘇省], 남쪽은 저장 성[浙江省]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상하이 시를 비롯해서 바오산[寶山]·자딩[嘉定]·칭푸[淸浦]·쑹장[松江]·진산[金山:주징(洙涇)이라고도 함]·상하이(신좡[辛莊]이라고도 함)·펑셴[奉賢:난차오(南橋)라고도 함]·난후이[南匯]·촨사[川沙] 등 육지에 있는 9개 현(縣)과 양쯔 강 어귀 및 동중국해 남동 해상에 있는 약 30여 개의 섬을 포함한다. 그중 가장 큰 섬인 충밍 섬[崇明島]은 10번째 현으로 면적이 700㎢이며, 양쯔 강 어귀에서 상류로 65km 이상 뻗어 있다.
이 도시의 육지 부분은 대부분 평균해발 3~5m의 평평한 삼각주 평원에 있다.
이곳은 상하이와 서쪽의 타이후 호[太湖] 지역을 연결하는 운하망과 수로망으로 빽빽이 얽혀 있다. 해안에 있기 때문에 계절적 차이가 뚜렷하지 않은 온화한 기후가 조성된다. 연평균기온은 14℃ 정도인데, 7월 최고평균기온은 27℃, 1월최저평균기온은 3℃ 정도이다. 연평균강수량은 약 1,143㎜로 6월에 가장 많은 비가 내리며 12월에 가장 적게 내린다.
시의 구조
중국의 주요 공업 중심지인 상하이는 대기오염·수질오염·소음공해가 심각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1950년대 이래로 공장들이 교외지역으로 옮겨가고 새로 짓는 공장들도 교외지역에 세워짐에 따라 비로소 도심의 공해가 완화되고 있으나, 인구밀도가 높고 공업지구와 거주지역이 혼재하고 있는 것이 여전히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상하이 시를 가로지르는 우쑹 강[吳淞江]과 상하이 시의 주요수원인 황푸 강[黃浦江]은 산업폐기물·생활하수 및 배에서 나온 쓰레기로 심각하게 오염되어 있다.
이 도시는 우쑹 강과 양쯔 강의 지류인 황푸 강이 합류하는 곳에서부터 북쪽·서쪽·남쪽으로 뻗어 있다.
황푸 강 양안에는 부분적으로 도심을 둘러싼 점이지대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부분적으로 약 40㎢의 시골지역을 둘러싸고 있다. 1980년 북쪽의 우쑹과 남쪽의 민항[閔行]에 교외 공업단지가 세워졌다. 내륙의 배후지로 이어지는 중요한 내륙수로인 우쑹 강 양안에는 점이지대 간선도로의 연장도로가 서쪽으로 나 있다. 중앙의 상업지구에서 황푸 강을 동쪽으로 곧장 가로지르면 푸동[浦東]이 나온다.
1870년 최초의 공업지역 가운데 하나로 건설된 푸동은 상하이에서 가장 클 뿐만 아니라 가장 비참한 빈민가로도 유명했다. 1949년 이후에 세워진 몇몇 근로자 주택단지도 이곳에 있다.
우쑹 강과 황푸 강의 합류점에서 동쪽과 서쪽으로 뻗어 있는 상하이 중심부에는 바둑판 모양의 도로가 나 있는데, 원래 영국 조계(租界)에 포함되었던 지역도 여기에 포함된다. 중심부 동쪽에는 황푸 강을 따라 중산둥루[中山東路]가 나 있는데, 이곳에는 상하이의 중앙행정관청과 외국인 선원을 위한 주택, 그리고 몇 개의 호텔이 있다.
동쪽 도로에서 서쪽으로 뻗어 있는 난징둥루[南京東路]는 주요상가로 상하이에서 가장 큰 소매상점인 상하이 제일백화상점이 있으며, 식당·호텔 및 중앙 전신·전화국 건물이 들어서 있다. 우쑹 강 북쪽과 동쪽에 있는 훙커우 구[虹口區]는 원래 미국 및 일본의 조계로 개발되었는데 1863년 남쪽의 영국 조계와 합쳐지면서 국제적인 거류지가 되었다. 이 지구 동쪽 구역에는 황푸 강 기슭을 따라 조선소와 공장들이 들어서 지금은 중요한 공업지역이 되었다.
오늘날 상하이 중심부의 일부를 이루고 있는 구시가지는 도로가 임의적이고 미로처럼 얽혀 있으며, 20세기초까지도 5km나 되는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지금은 원래 성벽이 있던 자리를 따라 런민루[人民路]와 중화루[中華路]가 놓여져 있다. 이 지역은 남북을 잇는 주요동맥인 허난난루[河南南路]에 의해 둘로 나뉜다. 상하이 서부는 기본적으로 주거지역의 성격이 강하며 산업박람회장도 여기에 있다. 남서쪽에 있는 쉬후이 구[徐匯區]는 17세기 중국 그리스도교 포교활동의 중심지였다. 1800년대말 예수회 선교사들이 이곳에 도서관·인쇄소·고아원·기상대 등을 세웠다.
1949년 이래로 상하이의 인구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주택공급도 크게 진척되었다.
공업적·농업적·상업적 발전과 함께 상하이 도시권 및 교외지역에 두루 갖추어진, 자급이 가능한 주거단지가 세워짐에 따라 도심의 인구를 분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아직도 도시지역에 있는 수천 가구가 부적당한 환경에 수용되어 있으며, 몇몇 지역에는 판잣집이 남아 있다. 1951년 상하이 서쪽 근교 공업지역에 신도시 차오양신춘이 세워지면서 '국가지원주택'이 처음 선을 보였다. 그후 수많은 주거단지가 세워졌는데, 그중 몇몇은 고용인들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정부나 기업의 지원을 일부 받아서 건설되었다.
예전에 빈민지역이었던 양수푸에 안산·궁장·창바이·펑청·펑난얼춘 등 5개의 주요주택단지가 들어섰다. 펑푸·전루·이촨·르후이·장완에도 주택단지가 들어섰는데, 그중 펑푸 근로자주택이 전형적이다. 인근의 공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정원(庭園) 아파트 단지에 살고 있는데, 이 단지에는 아파트 건물 외에도 행정관청·작업장·진료소·탁아소 등이 있다. 인근의 밭에서는 단지에 사는 주민들이 소비할 밀·클로버·콩·배추·멜론 및 식용유의 원료로 쓰이는 평지씨를 공급한다.
주민
거대도시 상하이는 주민 거주지역에 따라 인구가 조밀한 시중심부·점이지대·농촌배후지 등의 3개 구역으로 나눌 수 있다. 이중 농촌배후지는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조밀한 농촌지역의 하나로 꼽힌다. 소수민족집단은 거의 없으며, 주민의 대부분이 한족이다.
경제
산업
상하이는 노동력이 광범위할 뿐만 아니라 잘 숙련되어 있고 기술적으로 혁신적이며, 산업을 지원하는 과학연구시설이 잘 뒷받침되어 있다.
또한 생산자간의 협업 전통이 남아 있으며, 시내 및 시외 교통과 편의시설도 잘 갖추어져 있다. 이러한 요인이 특이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이는 중국에서 선도적인 공업·제조업 중심지로 발전했다. 상하이의 철강공장은 중국 최초로 세워진 공장 가운데 하나이다. 1950년대에 이 공장 용광로의 용량이 크게 늘었으며, 철강공업을 기계제조업과 더욱 긴밀히 결합시키려는 시도도 있었다.
상하이의 기계 및 공작기계 공업은 중국의 근대화계획에서 특히 중요하다. 이곳에서 생산되는 산업설비 가운데는 다각적으로 이용되는 선반, 철사를 뽑는 틀, 컴퓨터 조립 및 다른 전자장치의 제조설비, 정밀부품 등이 있다. 화학 및 석유화학 공업은 거의 완전히 결합되어 있다. 플라스틱·합성섬유·염료·페인트·약품·농약·화학비료·합성세제 및 정유의 화학원료 등을 생산·공급하는 데 있어 개별 공장간의 협업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1970년대 후반까지만 해도 중공업, 특히 야금과 화학공업이 주도적이었으나 지금은 공해를 줄이고 교통체증을 완화시키며 중공업과 관련된 에너지와 원료의 부족을 메우기 위한 노력으로 인해 경공업이 발전하고 있다.
제조과정의 모든 단계에서 공장 생산력의 효율적 이용을 보장하기 위해 섬유산업이 재조직되었다. 직물공장은 고무신, 타이어, 지퍼 및 산업용 연마제, 콘베이어 벨트 등을 제조하는 공장과 원료 사용을 서로 협력하며, 협업관계도 세워놓고 있다. 상하이는 시계·사진기·라디오·만년필·유리제품·문구류·가죽제품·철물 등과 같은 다양한 소비재 상품의 주요공급처이다.
금융과 무역
상하이에는 런민젠스[人民建設]은행과 중궈[中國]은행의 2개 주요은행이 있는데, 이들이 재무부의 행정기관과 같은 역할을 하며 국가계획에 사용된 투자금의 지출과 운영도 맡고 있다.
영국 은행인 홍콩-상하이 은행법인과 챠터드은행에서는 다른 외국은행들과 함께 상하이 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이들 지점에서는 대외무역 거래의 지불을 맡으며, 무역과 관련된 외국 화폐를 교환해준다. 외국(주로 홍콩이나 동남 아시아의 여러 나라)에 사는 화교들이 송금하는 돈은 해외에 있는 몇몇 중국 은행에서 취급하고 관리한다. 공산품은 상하이에서 중국 각지로 수출된다.
수입품은 주로 가공되지 않은 곡물과 석유·석탄·건축자재·선철·소금·면화·담배·기름 등의 산업원료이다. 국내무역에서 상하이는 수출보다 수입을 더 많이 하고 있다. 그러나 대외무역에서는 상품수출액이 수입액을 능가하며, 제품수출의 비율이 꾸준히 늘고 있다.
교통
상하이는 중국의 주요 교통 중심지이기도 하다.
황푸 강이 빼어난 항구 구실을 하고 있는 상하이 시는 해항인 동시에 하항이다. 조수가 높을 때는 원양항해용 선박이 강을 거슬러 시로 들어올 수 있다. 1950년대초에 이 항구는 여러 개의 특별지구로 나누어졌다. 황푸 강의 동안에 있으며 황푸 지구에 속했던 푸동은 적하(積荷)상품 저장소와 수송기관의 검사 및 수선 시설로 사용되었다. 반면 서안에 있으면서 난스 구[南市區]에 속하는 푸시[浦西]와 푸싱 섬[復興島]에는 일반화물용 선창이 있다. 가오양루 선창과 이후이에는 일반화물용 및 적하화물용 선창이 있다.
우쑹 강의 강변에는 소형선박용 터미널과 화물취급시설이 있다. 1952년 이후 시 남쪽의 르후이 강과 북쪽의 우쑹에 있는 장화펑에 외항선 터미널이 들어섰다. 1982년에는 양쯔 강과 해안의 교통에 이용될 제3여객화물 터미널이 문을 열었다. 내륙수로로는 우쑹 강과 광범한 운하망을 거쳐 장쑤 성[江蘇省]의 쑤저우[蘇州]·우시[無錫]·양저우[揚州] 및 저장 성[浙江省]의 항저우[杭州]와 연결된다. 이 수로는 이용률이 매우 높다.
제2차 세계대전 이전에 상하이는 양쯔 강 이남지역에 있는 2개의 주요철도노선, 즉 난징[南京]에서 상하이까지 이어진 후닝[滬寧] 노선 남쪽 구간과, 상하이에서 저장 성 닝보 항[寧波港]까지 이어진 후항[滬抗] 노선의 종착역이었다.
또한 상하이에서 우쑹까지는 짧은 지선이 가설되어 있었다. 1949년 이래 추가로 건설된 여러 지선이 산업지구와 주요간선도로들을 연결해준다. 상하이에는 공항이 2개 있다. 좀더 일찍 세워진 룽화[龍華] 공항은 시에서 남쪽으로 수km 떨어져 있으며, 주로 국내항공에 이용된다. 상하이 남서쪽에 있는 훙차오[虹橋] 국제공항은 중국에서 가장 이용률이 높은 공항에 속한다.
무궤도 전차, 노면(路面) 전차, 버스 등을 이용한 시내 수송은 1949년 이래 꾸준히 개선되고 있다.
행정과 사회
성급 행정단위인 상하이 시는 원칙적으로 베이징[北京] 중앙정부로부터 직접 통제를 받는다. 그러나 이러한 관계의 성격을 정확하게 파악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1960년대말의 문화대혁명 이후로 통치조직을 정치적 실체와 일치시키기 위해 중국 행정기관은 모든 단계에 걸쳐 재조정되고 있다. 문화대혁명 초기인 1967년 대중에 기반을 둔 수많은 혁명조직들이 한동안 시 통치권을 장악했던 혼란기가 지난 뒤, 시의 최고 통치기관으로 상하이 시 혁명위원회가 들어섰다. 당시 혁명위원회는 군대 및 대중혁명조직들의 대표자들과 몇몇 구공산당 관리들로 구성되었다. 1970년대 중반에 이르러 혁명위원회는 선출된 기관으로서 상하이 인민의회를 책임지는 위원회·사무국·부서 등으로 구성된 시 정부로 대치되었다. 이들 기관은 정책자문과 행정적 기능을 맡고 있으며, 지방 통치기관들뿐 아니라 베이징 중앙정부와 행정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최근에 배수 및 하수 처리시설, 공공 상수공급체계, 가로등, 공공 쓰레기처리장을 설치하고 개선하는 등의 공공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도로는 확장·보수되었으며 조수의 피해를 입는 낮은 지역에는 제방이 세워졌다. 공공주택도 건설되었으며, 상하이를 에워싸고 있는 방조제 역시 튼튼하고 넓어졌다. 황푸 강 동쪽에 있는 방조벽 2개는 전체길이 21km가 넘는다. 상하이는 중국의 주요전력발전 중심지 가운데 하나이기도 하다. 석탄을 이용하는 화력발전소에서 전기를 발전시키고 있는데, 상하이 지역은 주요송전망을 통해 북서쪽의 난징, 남서쪽의 저장 성 항저우 및 신안장[新安江]과 연결된다. 이들 중 신안장에는 수력발전소가 있다.
중국에서 가장 큰 가스 공장은 룽화에 있는데, 1980년대초에 산업용 및 가정용 에너지 수요가 증가하자 정부에서는 중국 최초의 원자력발전소 2개 중 하나를 상하이에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상하이에는 공장·학교·관청과 결합된 수천 개의 작은 진료소에서부터 수많은 교육연구병원에 이르기까지 보건시설이 다양하게 갖추어져 있다. 대부분의 병원에는 전통적인 한의학과 양의학을 모두 실습하고 가르칠 수 있는 시설이 있다. 의과대학에서는 농촌지역에 사는 사람들에게 기초 진료를 할 수 있는 충분한 의학적 기술을 갖춘 개업의와 의료보조원을 훈련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상하이는 중국에서 으뜸 가는 고등교육 및 과학연구의 중심지이다. 푸단[復旦]대학교·자오퉁[交通]대학교·퉁지[同濟]대학교·화둥[華東]사범대학 등 수많은 대학교와 여러 고등교육기관들이 있다. 또한 기술교육과 고등교육을 담당하는 전문학교도 있다. 많은 공장에는 근로학습대학이 부설되어 있다. 1960년 1,000개가 넘는 산업기관들의 협력하에 상하이 시 반궁반두[半工半讀]산업대학이 세워졌다. 상하이 시 전체 노동력의 대부분이 이들 학교 중 하나에 등록되어 있다.
중국에서 으뜸 가는 과학 연구 및 개발 기관인 중국과학원 상하이 지부가 상하이에 있다. 문화대혁명 기간에 농업과 공업에 과학적 작업을 실제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장려되었다. 1970년대 이래로는 핵 에너지, 컴퓨터, 반도체, 인공위성 및 레이저, 적외선 기술과 같은 첨단기술분야에도 광범위한 연구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문화생활
상하이에는 박물관, 역사적 유적지, 아름다운 정원 등 문화적으로 뛰어난 곳이 많다. 상하이 미술·역사 박물관에는 수천 년 전의 청동기·도자기 및 그밖의 인공유물이 광범위하게 소장되어 있다. 상하이 혁명사기념관에서는 이 도시의 발전을 추적하는 사진과 물건들이 전시되어 있다. 1920년대에 세워진 다스제[大世界]는 상하이에서 으뜸가는 연극 센터로 전통가극·무용·연극·이야기극 및 중국의 소수민족을 대표하는 특수화된 오락 등을 공연한다. 노동자들과 어린이들을 위한 레크리에이션 클럽도 많이 있으며, 광밍[光明] 극장을 포함해 규모가 큰 영화관도 몇 개 있다. 옛 중국 도시를 보여주는 유물로는 명말의 정원 건축양식을 대표하는 16세기 위위안[豫苑]과 옛 공자묘가 있다. 그밖에 발길을 끄는 곳으로는 청대 룽화 탑[龍華塔], 산업전시관 및 20세기의 혁명작가인 루쉰[魯迅]의 무덤과 예전에 그가 살던 집 등이 있다.
상하이의 주요출판사는 베이징에 본사를 둔 런민문학인서관[人民文學印書官]과 런민교육인서관의 지부이다. 규모가 큰 중국과학원 도서관의 분관 외에도 수많은 도서관이 있다. 예술학교·음악학교로는 톈진에 있는 중양 음악학교의 분교, 상하이 음악학교, 상하이 희극학교 등이 있다. 발레단·오페라단·교향악단·인형극단 등을 포함한 직업적인 공연예술단도 다양하게 있다. 1949년 이후 공원·야외공간·경기장 등이 상당히 늘어났다. 상하이 중심부에 있는 런민 공원과 황푸 강 기슭에 있는 황푸 공원은 대중이 이용하는 공간으로 맨 처음 세워진 것이다. 시의 모든 구역마다 넓은 공원과 경기장이 있다. 그중 넓은 곳으로는 북쪽에 있는 훙커우 수목원과 경기장, 북동쪽에 있는 허핑[和平] 공원과 경기장, 상하이 동부에 있는 푸동 공원, 남쪽에 있는 후난[滬南]·푸싱[復興] 공원, 시 중심부의 서쪽 외곽에 있는 중산[中山] 공원 등이 있다.
역사
5세기, 늦게는 7세기까지도 상하이 지역은 인구가 아주 적었으며 개발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당시에 이 지역은 신(申) 혹은 호독이라고 알려져 있었다. 한족 주민들이 남쪽으로 꾸준히 진출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은 삼각주에 노출되어 있었기 때문에 경제적 성장이 느렸다.
송대(960~1126)에 상하이는 작고 고립된 어촌이라는 낙후된 상태에서 벗어났다. 서쪽의 타이후 호 주변지역에서는 제방으로 보호된 개간지에서 자립 농업경제가 발달했다. 한편 북쪽에서 몽골족의 침략을 피해 한족들이 남쪽으로 이주해옴에 따라 인구가 증가한 것도 자극이 되었다.
해안과 내지로의 수송량이 급증함에 따라 수심이 깊은 항구가 있을 뿐만 아니라 교통 중심지인 상하이가 천연적 이점을 갖고 있음이 인정되었다. 11세기초에 세관이 들어섰고, 13세기말에는 현청소재지가 되었으며 장쑤 성의 관할하에 들어갔다. 명대(1368~1644)에 상하이 주변에 있는 경작 면적의 약 70%가 목화생산에 이용되었다. 여기에서 생산된 목화는 상하이 시의 면·견 방적업에 공급되었다. 18세기 중엽에 면방적공으로 고용된 사람이 2만 명이 넘었다.
1850년대 이후로 현저하게 농업중심적이던 경제가 빠른 속도로 변화되었다.
당시 상하이는 서유럽 열강들에 의해 중국에서의 상업제국주의를 위한 주요기지가 되었다. 1842년 영국에 치욕스러운 패배를 당한 뒤, 중국은 상하이를 양도했으며 난징 조약에 조인했다. 이 조약에 따라 상하이는 모든 대외무역에 무제한 개방되었다. 영국인·프랑스인·미국인 들은 이 도시의 특정지역을 점유했으며, 그 지역 안에서의 특권과 면책을 인정받았다. 일본도 1895년 시모노세키 조약에 따라 조계를 확보했다.
상하이가 외국 사업체에 개방되자 곧 유럽의 주요은행과 다목적 상사들이 들어섰다.
광둥 성[廣東省] 남동 해안에 있으며 상하이와 어깨를 나란히 하던 항구인 광저우[廣州]가 태평천국운동(1850~64)으로 인해 배후지와 단절되자 상하이는 으뜸가는 대외무역 중심지로서의 전망이 더욱 높아졌다. 태평천국운동은 영국이 중국에서의 무역을 끊임없이 확장하는 데 잠재적인 위협이 되었지만, 1857년 영국은 양쯔 강에서의 항행권을 얻어냈다. 상하이는 양쯔 강 하류의 광대한 배후지에 대한 자연적 출구로서 급성장해 중국에서 으뜸가는 항구가 되었다.
1860년에는 중국 전체 선적량의 약 25%를 떠맡았다. 그러나 1890년대까지만 해도 상하이는 주요 산업 중심지가 될 전망이 보이지 않았다. 1860년대초 청(1644~1911) 정부에 의해 세워진 강남병기창(江南兵器廠)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기업이 대규모 외국 무역업체에 딸린 소규모 사업체였다. 청일전쟁(1894~95) 이후로 외국자본의 유입이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조계 안에 경공업 공장들이 들어섰다.
이들 공장들은 상하이의 값싸고 풍부한 노동력과 그 지역에서 나는 원자재 및 값싼 전력을 이용했다.
이와 대조적으로 외국자본을 중국에서 철수시킨 제1차 세계대전까지 상하이의 산업에 대한 중국인의 투자는 미미했다. 그러나 1914년부터 시작해 1920년대초를 거치는 동안 중국인 투자가들은 산업경제를 발전시키고자 하는 투쟁을 하면서 작은 발판을 마련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초기의 성과는 오래 가지 않았다. 왜냐하면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서유럽 및 일본의 경제제국주의가 되살아나 새로 건설된 중국 기업체의 상당수를 압도해버렸기 때문이다. 값싼 외국상품들이 상하이 시장에 쏟아져 들어오고 노동력은 비교적 고임금의 외국인소유 공장으로 몰려감에 따라 경쟁이 어려워졌다. 중일전쟁(1937~45) 이전에 일본은 상하이 방적·직조 능력의 절반 이상을 장악하고 있었다.
1920년대는 상하이에서 정치 의식이 성장한 시기이기도 하다.
이 도시의 경제적·정치적 생활에 대한 외국의 지배가 이전보다도 한층 더 억압적으로 되자, 노동자계급·학생·지식인 들이 점차로 정치활동에 참여하게 되었다. 1922년의 워싱턴 회의에서 영국·미국·일본이 서명한 동의서가 중국인들을 만족시키지 못하자 외국상품 불매운동이 실시되었다. 1921년 중국공산당이 상하이에서 창당되었으며, 4년 뒤에 공산당은 학생들과 노동자들이 일으킨 5·30사건을 이끌었다.
이 대규모 정치적 시위운동은 봉건주의·자본주의를 반대하고 외국 열강의 제국주의적 모험을 공식적으로 묵인하는 데 반대했다. 학생노동자연합은 장제스[蔣介石]가 지휘하는 국부군(國府軍)을 지지했지만, 1927년 국민당은 학생노동자연합과 공산당을 폭력적으로 탄압했다. 중일전쟁 동안 상하이는 일본에 점령되었으며, 이 도시에 있던 공장들은 심각한 전화(戰禍)를 입었다. 1949년 상하이가 인민해방군에 의해 점령되기 전의 짧은 기간 동안에 이 도시의 경제는, 비효율적인 소규모 가계업의 이상 증식, 인플레이션의 만연, 산업재건을 위한 전반적 계획의 결여 등으로 인한 대혼란 때문에 고통을 당했다.
1949년 이후로 내지의 발전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상하이의 발전은 잠시 늦어졌다. 특히 소련과 긴밀한 협조관계가 유지되던 1960년까지의 기간에 발전이 둔화되었다. 1960년 이후 중·소 관계가 냉각되면서 상하이는 중국에서 가장 숙련된 노동력을 가진 도시로서 뿐만 아니라 중국에서 으뜸가는 과학·기술 연구 중심지로서의 핵심적 지위를 되찾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