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비잔티움 전례

다른 표기 언어 Byzantine rite

요약 동방정교회와 대부분의 동방전례교회(로마교회와 유대를 맺고 있음)가 지키는 전례의식과 계율.

이 전례는 가장 오래되고 유명한 그리스도교 중심지 가운데 하나인 그리스의 도시 안티오키아(지금의 터키 최남단에 위치)에서 시작되어 동로마 제국에서 발전하고 완성되었다. 주로 콘스탄티노폴리스 대교회와 관련이 있으며 그리스어를 사용했다. 그러나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영향력이 확대되자 이 전례는 그리스적 특성에서 벗어나 여러 민족의 말로 번역되어 비잔틴화되었다.

원래의 비잔티움 전례로부터 알바니아 전례(즉 더이상 그것이 기원한 지역 고유의 것이 아님), 벨라루스 전례(흩어짐, 그러나 런던에 이 전례를 사용하는 주교 한 사람이 있음), 불가리아 전례, 그리스 전례, 헝가리 전례, 이탈리아계 알바니아 전례, 멜키트 전례, 루마니아 전례(1948년 정부로부터 탄압을 받음), 러시아 전례(흩어짐), 루테니아 전례, 슬로바키아 전례(1950년 정부로부터 탄압을 받았으나 1968년 복원됨), 우크라니아 전례, 유고슬라비아 전례 등 13개의 표준 전례들이 유래했다.

흩어지거나 탄압을 받은 전례를 따르는 교회는 다른 나라, 특히 미국에 많이 있다. 초기 그리스도교 교회에서 전례는 점진적으로 발전하여 기본적인 틀이 이미 6세기에 형성되었지만 그 이후에도 계속 발전했다.

비잔티움 전례 교회에는 3가지 종류가 있으며 그중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스 성찬예배가 가장 많이 사용되며 교회전례의 표준으로 인정되고 있다. 성 대 바실리오스 성찬예배는 더 길며, 매년 10회 정도 특별 행사에 쓰인다. 그레고리오 대교황의 '미리 축성된 성찬예배'(Liturgy of the Preconsecrated Offerings)는 사순절 기간 동안 수요일과 금요일에 거행한다.

이밖에 성 야고보 성찬예배가 있으나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전례에 쓰는 언어는 나라마다 다르지만, 미국에 있는 비잔티움 전례 교회들은 대체로 모교회의 언어를 그대로 사용해왔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세계사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비잔티움 전례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