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벼의 생육과 수량

다른 표기 언어

요약 벼과(─科 Poaceae) 벼속(─屬 Oryza)에 속하는 1년생초.

생육

벼는 씨에서 발아해 성숙할 때까지 120~180일이 소요되고 이 기간은 영양생장기와 생식생장기로 나눌 수 있다.

영양생장기는 씨가 싹틀 때부터 어린이삭이 분화될 때까지의 기간으로 잎의 수가 늘어나고, 잎의 면적이 넓어지며, 곁가지치기와 뿌리생육이 왕성한 시기이다. 생식생장기는 어린이삭의 분화 이후부터 성숙기까지의 기간으로 줄기가 신장해 키가 커지고 어린이삭이 자라서 출수·개화·결실이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발아:씨가 껍질을 뚫고나오는 것을 말하는데, 씨는 적당한 수분과 10℃ 이상의 온도조건에서 싹이 트며, 최적온도는 30~34℃이다.

② 모의 생장:싹이 튼 후 새잎·새뿌리·곁가지가 나와서 자라는 것을 말한다. 모는 13℃ 이상의 조건에서 자라며, 최적온도는 25~30℃이고, 수분·광선·산소가 충분해야 한다.

③ 잎의 생장:잎은 적당한 환경조건하에서 영양생장기에는 4~5일, 생식생장기에는 7~8일에 1장씩 나오는데 새잎이 나오면 먼저 나온 잎이 말라죽어 출수기(가지와 잎의 잎집에서 이삭이 나오는 시기)에 남아 있는 잎의 수는 보통 4~5장이다.

④ 줄기의 생장:벼의 줄기는 출수 전 35일경부터 신장절에서 신장하기 시작해 출수 전 20일 전부터 출수기 사이에 급격히 자란다. 줄기의 아랫마디에서 곁가지가 나올 때 그와 동시에 3마디 위에서는 새로운 잎이 나온다.

⑤ 뿌리의 생장:뿌리는 생육초기에는 지표면 가까이 얕게 내리지만 생식생장기에 들어서면 땅속 깊이 신장해 출수기경에는 최대의 생장을 보인다.

⑥ 생육상의 전환:벼는 일정기간의 영양생장기를 거친 다음 단일(短日)과 고온 조건을 갖추면 어린이삭이 분화·생장하는 생식생장기로 접어드는데, 이를 생육상의 전환이라 한다. 품종에 따라 다르지만 일장시간이 9시간까지 짧아질수록, 온도가 36℃까지 높아질수록 생육상의 전환이 빨라진다.

분화된 어린이삭이 35일 가량 자라면 이삭목·이삭가지·작은이삭 등이 생기며, 꽃가루와 배낭세포가 완성된 후 출수한다.

수정:벼는 출수 당일 또는 다음날에 개화해 꽃가루받이와 수정이 이루어지는데 대부분은 제꽃가루받이를 하지만 약 1% 정도는 딴꽃가루받이도 한다. 포기 전체가 개화하는 데 약 7일이 걸리고, 한 포장(3 또는 5마지기) 전체가 개화하는 데는 10~14일이 걸린다.

⑧ 등숙:수정된 씨방이 발달하면서 배젖에 저장물질이 축적되는 과정을 등숙(登熟)이라고 하는데 배(胚)는 수정 후 10일경, 현미의 외형(外形)은 수정 후 25일경에 각각 완성되고 쌀알은 수정 후 35일경이 지나면 영근다.

현미 내부의 수분 감소기간을 포함해 보통 출수에서부터 45일간을 등숙기간이라고 한다. 어린이삭의 발육·출수·개화·수정은 20~35℃, 그리고 등숙기간 중 낮은 25~27℃, 밤은 15~17℃의 온도조건이 이삭 및 열매발육에 좋은 환경이다.

수량의 성립

벼의 수량(收量)은 조곡·현미·백미의 무게로 나타내며 단위면적당 이삭수, 이삭당 평균 영화수, 등숙비율 및 1,000립중(粒重:벼알의 무게) 등 4가지 수량 구성요소에 의해 결정된다.

1포기의 이삭수는 곁가지치기와 관계가 깊은데 모낸 후 10~20일 사이의 영양 및 기상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이삭당 영화수는 분화된 영화수와 퇴화되는 영화수의 차이에서 결정되는데 영화분화 및 퇴화는 출수 전 5~15일, 20~35일 사이의 재배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등숙비율은 총 분화영화수 중 완전현미로 등숙된 벼알의 수(粒數) 비율인데 출수 전 15일경인 감수분열기에서 출수 후 20일경인 등숙성기까지의 생육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고, 현미 1,000립중은 왕겨의 크기와 내용물인 배젖의 충실도에 의해 결정되는데 감수분열기에서 등숙기 사이의 생육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쌀 수량을 높이려면 곁가지를 많이 내어 많은 이삭수를 확보하고, 생식생장 초기에 많은 영화수와 낟알이 충분히 클 수 있는 영화의 크기를 확보해 감수분열기에서 등숙기 사이에 영화가 퇴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쌀알이 충분하게 발육할 수 있도록 물관리[灌漑] 또는 시비(施肥:비료주기) 등의 재배조치를 취해야 한다.

벼의 수량성립과정을 물질생산 측면에서 보면 ① 수량 생산능력 결정, ② 수량 내용물의 생산체제 확립, ③ 수량 내용물의 생산, ④ 수량 내용물의 전류 등 4단계로 나눌 수 있다.

수량생산능력은 단위면적당 이삭수, 이삭당 영화수, 영화의 평균크기이다. 수량내용물이란 쌀을 구성하는 동화산물로, 효과적인 생산을 위해서는 좋은 수광태세(햇볕을 많이 받을 수 있는 형세)와 높은 잎면적의 확보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초형(草型:식물체의 줄기와 잎의 배치형태)이 좋은 품종을 재배하고 재식밀도와 시비를 조절해야 한다.

단위면적당 광합성량이 많고 호흡량이 적어야 식물체 내에 축적되는 녹말이 많아져 현미수량이 증가하므로 이를 위한 여러 가지 조치가 필요하다. 수량 내용물의 전류란 잎에서 만들어진 광합성 산물과 줄기·잎집에 축적되어 있는 동화산물이 벼알의 배젖세포로 이동해가는 것을 뜻하며 이에는 등숙기의 온도가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속씨식물 종류

추천항목


[Daum백과] 벼의 생육과 수량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