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뱀의 자연사

다른 표기 언어

환경과의 상호작용

뱀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은 고도와 위도에 따라 다양하다.

그 예로 1년 내내 비교적 최적에 가까운 일정한 온도와 충분한 습도를 유지하는 아프리카의 덥고 습한 열대지역에 서식하는 뱀들은 먹이를 얻기 위해 다른 많은 뱀들과 경쟁을 해야 하며, 생태적으로 알맞는 서식장소를 차지하기 위해서 수많은 다른 종류의 동물들로부터 도전을 받으며 포식자들에 의한 위협 등을 포함한 환경적 문제에 대처해야 한다. 그러나 유럽의 북극지역에 서식하는 유럽북살모사는 이 지역에 서식하는 유일한 뱀으로, 다른 종과는 경쟁없이 살 수 있으나 뱀이 서식하기에 힘든 냉혹한 더위·추위 또는 탈수 등으로 생존의 위협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이 세계 여러 지역의 다양한 환경조건에 따라 이들의 생활양상도 다양하게 나타나므로 특정지역에 살고 있는 어떤 특정한 종에 대한 생활사를 설명할 수는 있어도 뱀 전체의 일반적 생활사를 설명하기는 어렵다.

열대지역에서는 건조기에 짧은 기간 동안 휴식에 들어가는데 이 현상은 아열대지역의 뱀들이 겨울 동안 동면을 하는 것과 유사한 것으로 이 기간중의 생리적 변화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높은 위도와 고도에 사는 뱀들은 날이 추워지면 위험을 피할 수 있는 장소에서 동면에 들어가며 동면시에는 체온이 낮아지며 심장박동·호흡·근육운동이 거의 없어 에너지의 손실이 최소가 된다.

추운 시기가 끝날 무렵이면 동면에서 깨어나 다시 활동을 하기 위해 동면장소에서 나와 환경과 접하게 된다. 일부 종은 태양빛을 충분히 받은 후 곧바로 짝짓기가 이루어지기도 하며 어떤 종은 동면에 들어가기 전에 마지막 행동으로 짝짓기를 해 정자가 동면하는 암컷의 몸속에서 동면상태로 있는 경우도 있다. 대개 수정이 곧바로 일어나나 소수 일부 종에서는 암컷이 여러 해 동안 정자를 보관했다가 수정에 이용하기도 한다.

행동

열대·온대 지역의 뱀들은 단독생활을 한다.

동면이나 교미시에 집단을 이루는 것은 그 시기에만 국한된 사회행동이다. 그러나 물뱀 암컷들이 출산 시기에 안벽(岸壁)동굴에 모여드는 행동은 어린새끼가 태어나는 데 보다 안전한 장소를 찾기 위한 것이므로 사회적 중요성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먹이사냥은 전적으로 혼자서 하며 포유류·조류 등에서처럼 서로 도와주는 경우는 보고된 바가 없으며, 사회적인 계급·텃세·우위성 등도 없다. 같은 종 내의 수컷들의 싸움은 몸을 휘감고 몸을 땅에서 높게 들어올려 우세한 개체가 다른 개체를 무너뜨릴 때까지 계속되는데 이것은 짝짓기를 위해 동성간의 우위성을 정하는 행동으로 보여진다.

동면에서 깨어난 직후에 암컷은 서로 모여 있으며 수컷을 받아들이기 쉬운 상태이다.

수컷 또한 모여 있어서 자연스럽게 짝짓기가 일어난다. 어떤 종의 수컷들은 그들 몸의 여러 부분에 혼인혹(nuptial tubercle)들을 가지고 있어 이것으로 암컷을 문지르거나 비벼서 암컷의 성적 흥분을 유발시키며 또 어떤 종은 물결같은 근육을 움직여 암컷을 애무하며 자극시킨다. 짝짓기는 암컷의 총배설강 안으로 수컷의 반음경(半陰莖) 1개가 삽입되어 이루어진다.

반음경은 수컷의 꼬리 밑부분에 있는 삽입기관으로 1쌍이 있다. 삽입기관은 정자가 완전히 암컷 몸 안에 축적될 때까지 암컷에게서 떨어지지 않기 위해 돌기, 작은 돌기, 주름 등과 다른 여러 장식기를 가지고 있다. 이 반음경을 통해 방출된 정자는 암컷의 수란관을 따라올라가 알과 수정된다. 알을 산란하는 종의 암컷은 보통 따뜻하고 어두운 안전한 장소에 알을 낳으며 어떤 종은 난태생으로서 알을 낳는 대신 알이 부화될 때까지 수란관에 알을 보유하고 있다가 새끼뱀을 출산하기도 한다.

성장

태생이든 난생이든 간에 어린 새끼뱀은 윗입술 위에 날카로운 유치가 있어 이것으로 알을 깨고 나오며 갓 태어난 어린 개체는 그들의 눈보다는 끝이 갈라진 긴 혀와 입 주위에 있는 감각기관인 야콥슨 기관(Jacobson's organ)이 화학적 정보를 전달한다.

어린개체는 부화 후 곧 먹이를 먹기 시작해 먹이사냥에 탁월한 능력을 보인다. 독사류는 태어나면서부터 선(毒腺)과 독아(毒牙)를 가지며, 그들의 무기인 독아를 이용해 먹이를 잡아먹는다. 태어난 후 짧은 시간 내에 첫번째 탈피를 하며 동시에 유치를 간다. 성장률은 먹이의 양과 온도에 크게 좌우되어 이런 요소들이 최적의 상태일 경우 뱀의 성장은 놀라울 정도로 빠르다. 캘리포니아 '장미보아'(rosy boas)는 태어난 지 9개월만에 2배 이상 자라 거의 이 종의 최대성장치에 도달한다.

모든 뱀은 성적 성숙에 도달할 때까지 빠르게 성장하며 그후에는 성장이 매우 느려지나 죽을 때까지 성장이 완전히 멈추는 일은 없다(무한생장). 대부분의 뱀은 약 2년 내에 성적 성숙이 이루어지나 큰 뱀들은 4~5년 이상 걸린다.

탈피는 모든 뱀의 활동기간 동안 규칙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으로서 동면상태의 개체는 탈피를 하지 않으나, 동면이 끝난 후에 일어나는 최초의 사건 중의 하나이다.

동물의 피부는 환경과 내부기관 사이에서 완충작용을 하며, 충격을 받았을 때는 피를 응고시키고 딱지를 형성해서 회복하는 방법과 새로운 세포로 피부를 대체하는 방법이 있다. 뱀의 경우, 이러한 대체방법들이 수정되었는데, 각 기관에 따라 독립적으로 대체세포를 생산하는 대신 모든 세포를 주기에 맞추어서 함께 바꾸는 단위체로 만들었던 것이다.

이러한 단위체가 기능을 발휘하기 시작하면 오래된 피부는 방해가 되므로 탈피하게 된다. 이때에 호르몬 작용에 의해 눈이 젖빛이 도는 푸른색으로 변하는데 이것은 눈덮개 피부가 생리적으로 약화된 것을 의미한다. 반투명한 상피가 입 주위부터 헐거워지기 시작해 완전 탈피 후 뱀은 밝은 색의 새로운 표피를 갖게 된다.

이동운동

뱀은 사지가 없는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독특한 방법을 발전시켰다.

첫번째 방법은 흔히 사지가 없는 동물들의 운동방법인 사행운동(蛇行運動)으로 몸이 S자형을 만들면서 앞쪽으로 미끄러져 가는 것처럼 보이는 이동방식이다. 많은 뱀류에서 사용되며 많은 종의 뱀들이 이 방법 외의 이동법이 없다. 2번째 방법으로 아코디언 운동이 있는데 마치 아코디언이 접혔다 펴졌다하는 모양 같아 만들어진 용어로, 먼저 꼬리와 몸의 뒷부분으로 물체를 단단히 잡은 후 머리 부분을 가능한한 멀리 뻗어서 물체를 잡게 되면 몸의 뒷부분을 목 가까운 곳까지 끌어올리는 동작을 되풀이함으로써 이동을 한다.

나무뱀인 이만토데스속(―屬 Imantodes)과 옥시벨리스속의 뱀들은 이 방법을 변형해 나뭇가지 사이를 이동한다. 3번째 방법인 직진운동은 커다란 배비늘들의 움직임을 이용한 것으로 일부 배비늘은 지면 뒤쪽으로 밀어붙이고 다른 일부는 앞쪽으로 미끄러지게 하며 똑바로 천천히 앞으로 이동한다.

이 방법은 몸이 크고 무거운 뱀들인 보아류·살모사류가 흔히 사용하는 방식이다. 4번째 방법은 가로기기방법(sidewinding)으로 모래가 있는 사막지역에 서식하는 뱀들의 특징적인 이동방법이다. 뿔방울뱀은 이동할 때 앞을 향해 전진하는 것이 아니라 옆으로 이동하는데, 몸으로 계속 고리 모양을 만들면서 이동해 마치 스프링이 굴러가는 것처럼 보이는 이동방법이다.

물에서 서식하는 뱀의 이동방법은 수영법이다. 특히 바다뱀의 경우는 형태학적인 적응에 의해 꼬리를 노처럼 만들어서 수영 효율을 높였을 뿐만 아니라 예술의 경지에까지 이르게 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파충류

파충류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뱀의 자연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