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분류 | 연체동물 > 복족강 > 병안목 > 달팽이과 |
---|---|
원산지 | 아시아 (중국) |
크기 | 약 0.1cm ~ 38cm |
식성 | 초식 |
천적 | 딱정벌레 |
요약
주로 육지나 민물에서 살면서 배를 발로 사용하는 복족류를 일컫는 통용어. 평지달팽이아재비과, 달팽이과, 평탑달팽이과의 종들은 패각을 가지고 있으나 민달팽이과의 종들은 패각이 완전히 퇴화되어 없으며 외투막이 몸 전체를 덮고 있다. 나선형의 껍데기가 있으며 자웅동체이지만 짝짓기를 통해 알을 낳아서 번식한다. 피부호흡을 하기 때문에 햇빛이 있는 낮 동안에는 껍데기 속에 들어가 돌 밑 등에 숨어있다.
개요
복족강 병안목 달팽이과를 통칭. 주로 육상 또는 담수산 복족류(gastropods)를 일컫는 통용어로서 자주 사용된다. 한자어로는 와우(蝸牛)라고 쓰인다. 세상이 좁다는 것을 비유하는 와우각상(蝸牛角上)이라는 사자성어를 직역하면 달팽이의 뿔 위를 의미한다.
형태
머리에는 2쌍의 더듬이가 있는데 큰 더듬이 끝에는 눈이 있다. 눈은 시력은 거의 없지만 명암을 판별할 수는 있다. 몸에서는 점액이 분비되는데, 이는 이동할 때 생기는 마찰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몸 전체의 신축성이 매우 좋다.
생태
연체동물의 한 무리로 몸은 좌우대칭이며, 껍데기 표면에 나사모양의 줄무늬가 있다. 피부호흡을 하기 때문에 햇빛이 있는 낮 동안에는 수분손실을 막기 위해 껍데기 속에서 다른 데 붙어 있거나 돌 밑 등에 숨어있다. 습기가 많은 때나 밤에 나무나 풀 위에 기어올라가 풀이나 나뭇잎을 갉아먹는다.
종류
달팽이는 정확한 의미로서의 분류학적 용어는 아니다. 복족강 유폐아강 병안목에 속하는 평지달팽이아재비과, 달팽이과(Bradybaenidae), 평탑달팽이과의 종들은 패각을 가지고 있으나 민달팽이과의 종들은 패각이 완전히 퇴화되어 없으며 외투막이 몸 전체를 덮고 있다. 이밖에 연못이나 유수지의 수초에 붙어사는 또아리물달팽이과와 중복족목의 깨알달팽이과, 혹달팽이과(Alycaeidae)의 종들이 있다. 달팽이라는 용어는 달팽이과 동물들, 또는 달팽이과의 한 종만을 가리켜 쓰일 때도 있다.
활용
달팽이 무리 중에는 식용할 수 있는 것도 있다. 프랑스에서는 에스카르고라는 달팽이 요리가 특별요리로 이름이 나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