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의 여행 아메리칸 드림의 상징
자유의 여신상
세계를 밝히는 자유, Statue of Liberty in New York, USA아메리칸 드림의 상징인, 높이 46미터의 자유의 여신상은 정확한 이름이 ‘세계에 빛을 비추는 횃불을 든 자유의 신상’인데 그 밑의 기단까지 포함하면 키가 93미터이다. 발밑에는 노예해방을 뜻하는 부서진 족쇄가 놓여 있고 치켜든 오른손에는 횃불, 왼손에는 ‘1776년 7월 4일’ 날짜가 새겨진 독립선언서를 들고 있다.
20세기 초 뉴욕에서 처음 미국 땅을 밟았던 수많은 유럽이민자들을 환영한 자유의 여신상의 고향은 미국이 아니라 프랑스 파리이다. 프랑스의 조각가 프레데리크 오귀스트 바르톨디(Frederic Aguste Bartholdi)가 자유의 여신상을 설계했는데 그는 구상부터 시공까지를 모두 담당한 기획자라고 할 수 있다. 여신상은 1876년 미국 독립 100주년을 기념해 프랑스가 미국에 선물한 것이다.
처음에 바르톨디는 필론의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였던 알렉산드리아의 거대한 파로스등대를 능가할 만한 등대를 수에즈운하 입구에 세울 계획이었다. 이집트의 거대한 기념물들에 견줄 수 있는 작품으로 이집트 여인 모습의 여인상을 계획했던 것이다. 이 계획은 자본금 문제로 진행되지 못했는데 마침 프랑스 정부에서 미국 독립 100주년 기념으로 무엇인가를 선물하려고 한다는 소식을 접한 바르톨디는 방향을 바꿔 미국에 여신상을 세우는 게 더 좋겠다고 판단했다.
1871년 바르톨디는 미국 대통령 율리시스 그랜트(Ulysees Grant)에게 자신의 계획을 설명했고 미국 정부는 독립 100주년을 기념해 1876년 7월 4일 여신상을 공개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알렉산드리아의 파로스등대를 염두에 두고 수에즈운하의 등대를 계획했기 때문에 그 모습이 이집트 풍이었지만 당초 계획을 변경해 여인상의 머리에 왕관을 씌우고 얼굴을 덮은 베일을 없앴으며 발밑에는 끊어진 족쇄를 추가했고 왼손은 독립선언서를, 오른손은 횃불을 든 조상으로 변경했다.
여신상이 쓴 왕관에 있는 일곱 개의 가시는 북극해 · 남극해 · 북대서양 · 남대서양 · 북태평양 · 남태평양 · 인도양의 7대양을 상징한다고 하는 반면 북아메리카 · 남아메리카 · 유럽 · 아시아 · 아프리카 · 오스트레일리아 · 남극의 7대륙을 상징한다고도 한다. 여신상이 입고 있는 토가는 역사상 최초로 민주주의를 주창한 로마공화국을 기리기 위한 것이다. 발 주변의 부서진 쇠사슬은 노예제에 대한 승리를 상징한다.
바르톨디가 참고한 모델은 자신의 어머니였는데 제작과정에서 나이 많은 어머니가 오래도록 같은 포즈를 취하는 데 쉽게 피로를 느끼자 어머니를 닮은 젊은 여자를 모델로 채용했다고 한다. 그녀의 이름은 잔 에밀리 바뇌 드 퓌시외(Jenne Emilie Baneux de Puysieux)로 작업이 끝난 후 바르톨디와 결혼했다. 헨드릭 케르스텐은 여신상이 진지한 표정의 아테나를 닮았다고 평했다.
바르톨디는 작품을 진행하면서 뉴욕을 방문해 기념물을 세울 이상적인 장소를 물색했는데 최종적으로 선정한 곳은 맨해튼 남부 끝자락에 있는 인공섬이다. 배가 뉴욕 항구로 들어가기 전에 내려놓은 밸러스트(배를 안정시키기 위해 배 바닥에 싣는 돌, 쇠덩이 등을 말함) 더미로 조성된 곳이다.
처음에는 자금 문제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고 완공도 지체되었다. 하지만 조지프 퓰리처가 프랑스와 미국에서 모금 운동을 벌여 자금을 확보한 후 프랑스에서의 제작은 순조로웠다. 여신상은 모든 부품을 조립식으로 만들었는데 프랑스 프리깃함 이세르(Isere)호가 상자 200개에 포장한 여신상 부품을 싣고 프랑스를 떠나 뉴욕에 도착해 하적했다. 조립식 부품은 하적 되자마자 현장에서 바로 조립되었다.
계획보다 10년 늦은 1886년 10월 28일 그로버 클리블랜드(Grover Cleveland)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여신상은 제막되었고 1903년 미국 작가 에머 래저러스의 〈새로운 거상〉이란 시가 기단에 새겨졌다.
자유롭게 숨쉬길 갈망하는
너의 지치고 가난한 무리들을 내게 보내다오.
네 풍요로운 해안의 가엾은 찌꺼기를
집 없고 세파에 시달린 이들을 내게 보내다오.
내 황금의 문 옆으로 등불을 들어 올리리니.
자유의 여신상의 뼈대는 에펠탑을 만든 귀스타브 에펠의 회사가 만들었다. 바르톨디는 이 거대한 구조물을 완성하는 데 구조적인 어려움을 겪게 되자 교량설계에 탁월한 능력을 갖고 있던 에펠에게 내부의 지지 설비를 설계해달라고 요청했다. 여신상은 덩치에 비해 가벼웠으므로 수직하중을 지탱하는 데 문제가 있었던 게 아니라 표면면적이 넓은데도 불구하고 속이 텅 비어 있어 바람에 약한 게 문제였다.
에펠은 여신상 내부에 철골 구조물을 넣자고 제안했다. 뼈대를 놓는 원칙은 간단했다. 에펠탑에도 적용한 방법인 격자형 마스트를 이용하는 것인데 네 개의 수직 기둥으로 된 중심 탑에다 반듯하거나 구부러진 막대로 이루어진 전체 틀이 삼각형 구조 안에서 서로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신상의 중심 탑은 당시 많이 사용하던 연철로 1350개의 리브와 세로축을 연결하여 만들었다. 그런 다음 구리판과 구리 리벳을 이용하여 그 중심 탑을 구리로 된 여신상의 외피에 부착했다. 여신상 겉면은 2.37밀리미터에 불과한 300여 개의 동판들로 되어 있으며 이들은 일일이 망치로 두드려 성형한 것이다. 이런 기법을 르푸세(repousse)라고 하는데 이 기법 덕분에 표면을 섬세하게 다듬으면서 동시에 더 단단하게 만들 수 있었다. 또한 겹쳐진 옷 주름도 여신상의 압력을 분산시켜 아래로 쳐지는 것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었다.
철근콘크리트로 속을 만들고 화강암으로 표면을 장식한 기단은 당시 세계 최대의 콘크리트 구조물로, 미국의 건축가 리처드 모리스 헌트가 설계했다. 그 아래에 펼쳐진 별 모양의 받침은 80여 년 전에 해상 침략으로부터 뉴욕을 방어하기 위해 세운 요새였다.
자유의 여신상은 처음에 그다지 환영받지 못했다. 특히 뉴욕의 여성들은 자유의 여신상을 ‘철 지난 드레스를 입은 시대에 뒤진 주부’라며 냉대했는데 독립한 지 100년이 지났는데도 여전히 미국 여성들에게는 선거권이 없다는 이유에서였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자유의 여신상은 세계인들의 마음을 사로잡았고 미국과 동일시되었다. 1889년 작은 크기의 여신상이 파리에도 세워졌다. 그것은 프랑스에 거주하는 미국인들의 선물이었다.
자유의 여신상이 서 있는 기단에서 가시관까지는 354개의 계단으로 연결되어 있어 걸어서 올라갈 수 있고 엘리베이터를 이용해 머리 부분의 전망대까지 오를 수도 있다. 계단을 오르면 복잡한 골조 위에 붙은 300여 개의 동판을 볼 수 있다. 전망대는 10여 명이 들어갈 정도로 좁고 서 있기 힘들 정도로 천장이 낮지만 이곳에서 뉴욕 주변의 전경을 볼 수 있다. 대좌 내부에 있는 박물관에서는 여신상의 역사, 건설 모습, 제작 기법 등을 전시하고 있다.
세월이 지나면서 여신상에도 수많은 변화가 있었다. 구리에 금박을 입혀 만든 횃불에 구멍이 많이 뚫린 탓에 유리를 이용해서 불타는 횃불의 모양을 만들었다. 또한 불과 횃대에 물이 많이 스며들고 골조에 틈이 생기는 등 손상된 부분이 많았기 때문에 자유의 여신상을 보수해야 한다는 여론이 일었고 1983년에 보수 작업을 시작했다. 외피와 내부의 골조를 연결하는 부분이 손상되어 있는 것을 전면 보수했고 리브도 스테인리스강으로 바꾸었으며 구리판과 리벳도 새로 교체했다. 당초 시공할 때부터 잘못되어 있던 부분도 시정했다. 횃불 부분은 거의 새로 만들었다. 새로 단장한 여신상의 공식 제막식은 1986년 7월 4일에 열렸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베텔스만, 2003
-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생각의나무, 2006
- ・ 《세상을 바꾼 건축》, 클라우스 라이홀트 외, 예담, 2006
- ・ 《세계사의 100대 사건》, 리더스다이제스트, 1995
- ・ 《우리 세계의 70가지 경이로운 건축물》, 닐 파킨, 오늘의책, 2004
- ・ 《클락시커 50 서양건축》, 롤프 H. 요한젠, 해냄, 2004
글
출처
인간의 열정이 남긴 불멸의 흔적을 따라 시공간을 초월한 세계여행을 떠난다! 필론이 선택한 세계 7대 불가사의부터 최근 선정된 세계 신 7대 불가사의, 그리고 그 후보 ..펼쳐보기
전체목차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자유의 여신상 – 세계 불가사의 여행, 현암사 편집부, 북카라반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