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남석우

다른 표기 언어 南錫佑 동의어 천뢰, 天賚, 주노, 周老
툴바 메뉴
요약 테이블
출생 1869년 5월 12일, 경상북도 청송(靑松)
사망 1906년 6월 10일
관련 사건 1896년 감은리전투
본관 영양(英陽)
주요활동 1896년 청송의진 참여하고 한말 화적 토벌 약포장, 1906년 산남의진 우익장으로 활동
포상훈격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관련 인물/단체 청송의진, 산남의진

1869년 5월 12일 경상북도 청송군(靑松郡) 현동면(縣東面) 개일동(開日洞)에서 아버지 남경하(南慶夏)와 어머니 함안조씨(咸安趙氏) 사이에서 2남 3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본관은 영양(英陽)이며, 자는 천뢰(天賚) 혹 주노(周老)이다. 전기의병기인 1896년 청송 의병부대에 참여하여 항일전투를 전개하였다.

1896년 3월 12일 청송 의병부대에 참여하여 족친 남석구(南錫球) ・ 남석술(南錫述) ・ 남석인(南錫仁) ・ 남승하(南昇夏) 등과 함께 감은리전투(感隱里戰鬪)를 치르는 등 의병 활동을 전개하였다. 을미의병 이후에는 화적(火賊)을 토벌하는 약포장(約炮將)으로 활동하였다.

1906년 3월 경북 영천(永川)에서 정용기(鄭鏞基)가 아버지 정환직(鄭煥直)의 명을 받고 산남의진(山南義陣)을 결성하자, 청송 출신의 서종락(徐鍾洛) ・ 남석인 ・ 김태언(金泰彦) ・ 오상영(吳相泳) 등과 함께 참여하여 우익장(右翼將)으로 활동하던 중 붙잡혔다. 1906년 6월 10일 대구감옥에서 사망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1980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집필자 : 권대웅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산남창의지』 상 ・ 하, 1946
  • ・ 윤보현, 『영남출신독립운동약전』 제1집, 1961
  • ・ 산남의진유사간행위원회 편, 『산남의진유사』, 1970
  • ・ 김희곤 외, 『청송의 독립운동사』, 청송군, 2004

출처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독립운동가의 업적을 인명사전으로> 3.1운동,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하여 그동안 축적된 연구기반 위에서 독립운동가의 업적을 사전적으로 종합, 정리하기 ..펼쳐보기

독립기념관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남석우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독립기념관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