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최저임금제
국가가 근로자들의 생활안정을 위해 매년 물가를 반영해 임금의 최저수준을 정하고 사용자에게 그 수준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도록 법으로 강제하는 제도. 2017년 6470원, 2018년 7530원.
호봉제
근무기간을 기본으로 근속연수나 연령에 따라 일정한 금액을 호봉으로 책정해 임금을 지급하는 방식.
직무급제
직무의 난이도와 책임을 지는 정도에 따라 임금을 지급하는 제도.
연봉제
근로자의 업무성과에 따라 임금을 1년 단위로 계약하는 제도.
임금피크제
정년에 가까울수록 임금이 올라가는 구조 대신 정년 전에 임금이 가장 높고 그 이후부터 정년까진 임금이 줄어드는 구조. 대신 정년은 보장.
기본급
근로자의 최저생활을 보장하는 기본적 임금으로, 본인급 ・ 능력급 ・ 근속급으로 구성.
통상임금
근로자에게 정기적이고 일률적으로 소정 근로 또는 총 근로에 대하여 지급하기로 정한 시간급.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도 통상임금에 해당.
평균임금
평균임금을 측정해야할 일이 발생한 날부터 이전 3개월 동안에 근로자에게 지급된 임금의 총액을 그 기간의 총 일 수로 나눈 금액. 휴업임금, 퇴직금, 연차유급휴가수당, 재해 및 산업재해 보상보험급여, 구직급여 등을 산정할 때 사용.
수당
정상적인 근무 외의 작업에 대해 근무의욕을 북돋우기 위해 일정한 급료 이외에 추가적으로 지급되는 보수. 수당 중에 ‘주휴수당’은 1주일 동안 규정된 근무 일수를 다 채운 근로자에게 주는 유급 주휴일.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조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주요 임금제 및 임금의 종류 – 에듀윌 시사상식, 에듀윌 상식연구소, 에듀윌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