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고려 |
---|---|
유형 | 개념용어 |
분야 | 문학/고전시가 |
요약 고려시대에 창작된 민요적 성격의 시가를 총칭하는 국문학용어.
내용
줄여서 ‘여요(麗謠)’라고 하며, ‘고려장가(高麗長歌)’로 불리기도 한다. 협의의 개념으로는 고려시대의 장르적 특수성을 갖는 특정 가요군(歌謠群)을 가리킨다.
‘고려시대의 가요’라는 광의의 의미는 관습상의 용어로 <정과정곡> 같은 향가계 작품, <탐라요> 따위의 민요, <묵책요> 등의 참요(讖謠), <대국> 등의 무가 및 불교가요, <태평곡> 등의 개인 창작가요, 고려말의 시조와 가사작품까지 포괄한다.
그러나 엄밀한 의미의 고려가요는 <한림별곡>류의 경기체가와 <청산별곡> 따위의 시가군(詩歌群)인 속요(俗謠)를 이른다고 하겠다. →속요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고려가요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