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사람이 죽은 지 49일째에 좋은 곳에 태어나길 기원하며 거행하는 불공 의식. 죽은 날을 1일로 하여 7일 마다 7번 불공 의식을 지내는 것을 의미한다. 대승불교의 전승에서 이 기간 동안 죽은 자는 생전의 공덕을 심판받아 내세에 갈 곳이 결정된다고 믿기 때문에, 이 기간 동안 죽은 자가 더 좋은 내세로 갈 수 있도록 불공을 드리는 의식으로, 유교의 장례 전통과는 완전히 다르다. 49재가 끝나면 내세로 떠났다고 보고 탈상한다.
개요
불교식 장례 예법에 따라 지내는 의식. 매 7일마다 7차례 재를 지내므로 칠칠재라고도 한다. 인간은 죽은 후 출생의 조건을 만나지 못하면 다시 수차례 죽고 태어나는 식으로 7일을 여러 번 경과하는데, 그 최대기간은 49일이다. 그 사이에 죽은 자의 공덕이 심판을 받고 그에 따라 내세가 확정되므로 더 좋은 내세를 위해 지내는 의식이다.
기원
49일이라는 숫자는 대승불교의 전통에 바탕을 두고 있다. 불교에서는 사람은 죽어서 7일마다 다시 생사를 반복하다가 마지막 49일째는 반드시 출생의 조건을 얻어 다음에 올 삶의 형태가 결정된다고 믿는다. 불교에서 49재가 사자의 명복을 비는 의식으로 정착되고 중시된 것은 이런 관념에서 연유한다.
이 심판받는 49일 간, 죽은 자는 불교에서 말하는 육도(六道) 환생하여 태어나는 여섯 가지 세상 중 어디에도 태어나지 못하고 '중간에 낀' 것처럼 되는데, 이를 중음(中陰)이라고 한다. 사십구재는 사자의 중유 상태 즉 중음신이 좋은 세계로 재생하도록 최종적으로 결정되길 기원하는 불공 의식이며, 이 날에 이르기까지는 좋은 결정이 이루어지도록 7일마다 경을 읽고 재를 올린다.
방식
49재는 일반적인 유교식 제사가 아닌 불교의 불공 의식을 의미하며 절차와 방식도 유교의 제사와 완전히 다르다. 승려들이 북과 목탁을 두드리며 불경을 읽고 염불을 한다. 현대 한국 사회에서는 7일마다 불공을 드리는 의식이 번거로우므로 대개 49일째 되는 날의 재만 지내고 탈상하는 경우가 많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