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메뉴
목록
-
BEST 01
오순절
오순절은 그리스어로는 50이라는 서수로 표현하고 있는데 주간절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구약에서 주간절은 의무적으로 지내야 하는 세 가지 연중 절기 축제 가운데 하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본래 농업과 관련된 축..
출처
신약성경 용어사전
-
BEST 02
성령 강림 대축일
부활절로부터 50일째에 오는 일요일에 거행한다. 예수 그리스도가 죽은 뒤 부활하여 승천한 다음, 유대교의..
출처
다음백과
-
BEST 03
위구르족
위구르족은 주로 신강위구르자치구에 분포해 있다. 2000년도 중국 인구조사통계에 따르면, 위구르족은 총 ..
출처
중국민족지
-
BEST 04
장산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장산 일대에 출몰한다고 알려진 괴생명체. 온몸이 흰털로 덮여 있고 매우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것이 특징이다. 실존 가능성은 없으나 현대 한국에서 드물게 만들어진 민간전설로 관심을 끌고 있다. ..
출처
다음백과
-
가니메데스
그리스 신화에서 가장 뛰어난 용모를 가졌던 인물. 트로이의 왕 트로스의 아들로, 독수리로 변한 제우스에게..
출처
다음백과
-
-
여학생
1965년 여학생사에서 10대의 여성생활에 필요한 지혜를 제공한 잡지. 여학생잡지. 1965년 11월 서..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조문하는 방법
장례식에 가서 조문할 때의 예의와 방법. 조문 시기는 가까운 친지의 경우 가능한 빨리 가는 것이 예의이고..
출처
다음백과
-
삼재
수재·화재·풍재 등 사람에게 닥치는 3가지 재해를 뜻하는 민간용어. 삼재액·삼재운. 도병재(刀兵災) · 질역재(疾疫災) · 기근재(飢饉災)와 세계를 파계(破戒)하는 수재(水災) · 화재(火災) · 풍재(風災)가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삼우제
장사를 지낸 뒤 죽은 이의 혼백을 평안하게 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를 말한다. 장사 당일날 지내는 제사는..
출처
우리말 1000가지
-
가스라이팅
상황을 조작해 상대방이 스스로를 의심하게 만들어 판단력을 잃게 하는 정서적 학대 행위. '심리 지배'라고..
출처
다음백과
-
빙부·빙모
빙부(聘父)는 다른 사람의 장인을, 빙모(聘母)는 다른 사람의 장모를 일컫는 말이다. 결혼한 남성을 기준으로 한 말로, 빙부는 아내의 아버지(장인)를 이르는 말로도 쓰인다. 빙부와 빙모 모두 현대 한국에서는 주로..
출처
다음백과
-
견진성사
세례에서 맺어진 하느님과 인간의 관계가 견진성사를 통해 믿음 안에서 강해지고 견고해진다고 믿어진다. 로마 가톨릭 교회는 견진성사를 예수 그리스도가 제정한 성례전의 하나로 본다. 보통은 주교가 의식을 집전하며, 견..
출처
다음백과
-
조운
삼국 시대 촉나라의 무장. 자는 자룡으로, 흔히 조자룡이라고 불린다. 초기에는 북평 태수 공손찬 휘하에서..
출처
중국사를 움직인 100인
-
버킷리스트
죽기 전에 하고 싶은 일들을 적은 목록 평생 한 번쯤 해보고 싶은 일, 혹은 죽기 전에 해야 할 일들을 ..
출처
다음백과
-
49재
사람이 죽은 지 49일째에 좋은 곳에 태어나길 기원하며 거행하는 불공 의식. 죽은 날을 1일로 하여 7일 마다 7번 불공 의식을 지내는 것을 의미한다. 대승불교의 전승에서 이 기간 동안 죽은 자는 생전의 공덕을 ..
출처
다음백과
-
장유사
경상남도 김해시 불모산(佛母山)에 있는 삼국시대 승려 장유가 창건한 사찰. 대한불교조계종 제14교구 본사..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보리암
경상남도 남해군 상주면 금산(錦山) 남쪽 봉우리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원효가 창건한 암자.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직계비속
직계비속은 자신으로부터 아래로 이어 내려가는 혈족(血族)을 말하며 자녀, 손자, 증손 등이 이에 해당한다.
출처
에듀윌 시사상식
-
드래드록
라스타파리안 운동의 상징이다. 땋아 내리거나 헝클어뜨린 머리모양을 한 사람은 신에 대한 공포 또는 두려움..
출처
1% 위한 상식백과
더보기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