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연합연감

2007년도 학력별 임금격차가 늘고, 고학력화 지속

2008년 연감 보러가기 / 사회 / 노동
툴바 메뉴

‘임금구조기본통조사’ 결과, 2007년 6월 기준으로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에 종사하는 상용근로자의 월급여액은 213만 원으로 2006년(201만 원)보다 5.6%가 상승했다. 아울러 전체 상용근로자 중 대졸 이상 근로자는 34.0%로 2006년(32.9%)보다 1.1%p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졸 이상’ 근로자와 ‘고졸’ 근로자 간의 월급여액의 격차도 늘어나 ‘대졸 이상’ 근로자의 월급여액은 281만 원으로 고졸 근로자(178만 원)의 157.7%였다. 이러한 양자 간의 격차는 2006년(152.2%)보다 5.5%p가 증가한 것이다. 특히 학력별 초임을 추측해 볼 수 있는 1년 미만 경력자의 월급여액의 경우 ‘대졸 이상’ 근로자는 190만 원으로 ‘고졸’ (129만 원)의 147.0%로 나타났다. 2006년도는 ‘대졸 이상’ 1년 미만 경력자(173만 원)의 월급여액은 ‘고졸’ 1년 미만 경력자(127만 원)의 136.7%로 1년 사이에 격차가 10.3%p나 늘어난 것이다. 반면에 경력에 따른 임금격차는 10년 이상의 경력에서는 증가했으나 1~9년 경력에서는 격차가 다소 감소하였다. 10년 이상 경력자의 경우 2006년은 1년 미만 경력자의 월급여액의 191.3%였으나 2007년은 195.0%로 3.7%p 증가했다.

여성근로자의 월급여액은 158만 원으로 남성근로자(238만 원)의 66.4% 수준이었다. 남성과 여성 간의 임금격차는 20대의 경우 여성이 남성의 90% 이상이나 40대와 50대는 60%에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체 규모별 근로자의 월급여액은 2006년보다 격차가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500인 이상’ 규모 사업체의 월급여액(270만 원)은 ‘5~9인’ 규모 사업체(176만 원)의 153.4%로 2006년(500인 이상은 249만 원, 5~9인은 168만 원) 148.1%보다 5.3%p 늘어났다.

산업별로는 ‘금융보험업’의 월급여액이 289만 원으로 가장 많았다. ‘금융보험업’은 2006년 대비 상승률도 가장 높은 9.8%였다. 금융보험업의 월급여액은 ‘숙박 및 음식업’ (150만 원)의 1.94배, ‘운수업’ (192만 원)의 1.5배, ‘제조업’ (205만 원)의 1.4배였다.

직종별 근로자 비중의 경우 ‘사무종사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해 28.1%로 가장 컸다. 반면에 ‘기능종사자’는 2001년 10.7% 이래 2007년 8.2%로, ‘단순노무종사자’는 2004년 9.3% 이래 2007년 6.8%로 지속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단순노무직(47.8세)이 가장 많으며 판매직은 가장 적은 34.4세였다. 근속연수는 전 직종 평균 5.9년이었다.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는 9.5년으로 가장 길고 서비스직은 3.6년으로 가장 짧았다. 반면에 서비스직의 경우 2006년과 비교해 대졸 이상 비중은 가장 많이 상승해 2006년 10.1%에서 2007년은 12.0%로 1.9%p 상승했다.

직종 간 월급여액의 격차가 심해 관리자(417만 원)는 단순노무직(125만 원)의 3.3배, 서비스직(146만 원)의 2.9배로 나타났다. 관리자, 전문가(278만 원), 준전문가(226만 원)를 제외한 직종은 전직종 평균(213만 원)에도 미치지 못했다.

동일한 직종이라도 사무직원 및 판매근로자는 상대적으로 사업체 규모에 따른 월급여액 격차는 심하지 않았다. 반면에 기능원 및 관련 기능근로자, 장치ㆍ기계조작 및 조립근로자, 단순노무직은 500인 이상 규모 사업체의 월급여액이 10~29인 규모 사업체의 1.5배 이상이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TOP으로 이동

관련연감

노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