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다른 표기 언어

요약 부여와 고구려에서 부르던 부족장의 이름 또는 관직명.

대부족의 군장과 왕을 뜻하는 '간'(干 Kan)·'한'(汗 Khan)에서 나온 말이다. 초기부족국가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부족장을 가·간 등으로 불렀다. 부여의 제가(諸加:馬加·牛加·狗加·猪加), 신라의 거서간(居西干)·마립간(麻立干), 고구려의 고추가(古雛加) 등의 가와 간은 수장 또는 부족장 및 고위관직자의 호칭으로 쓰였던 경우이다.

몽골어의 대간(大干)·대한(大汗)도 군장을 뜻하는 말이므로 가·간·한은 동북아시아 공통의 군장을 가리키는 고대어였다고 볼 수 있다. 가를 칭하는 부족장들은 세력의 크고 작음에 따라 지배하는 호(戶)의 수가 달랐는데, 대가는 수천 호를, 소가(小加)는 수백 호를 다스렸다.

부여·고구려의 부족장인 제가·제대가(諸大加)는 자치적으로 부족장회의를 열고 그곳에서 왕을 선출했다. 죄인이 있으면 회의의 결과에 따라 처벌했고, 전쟁을 할 때에는 제가들이 장(長)이 되어 활·칼·창 등으로 무장한 부족민들과 함께 나가 싸웠다. 부족국가에서 연맹왕국으로 발전하면서 부족의 장인 제가·제대가는 왕 아래 높은 관직을 얻게 되었고, 이때부터 가는 관직명으로 전용되기 시작했다.

고구려의 고추가는 관직명이 아니라 왕족·왕비족과 전왕족(소노부) 등이 속했던 부의 장에게 존칭으로 썼던 용어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