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다루가치

다른 표기 언어 darughachi , 達魯花赤

요약 고려에 파견되었던 몽골 관직 중의 하나.

다루가치는 '진압한다'는 뜻의 daru에 명사어미 gha와 '사람'을 가리키는 chi를 붙여서 '진압에 종사하는 사람'을 뜻하는 몽골어이다.

몽골족은 정복지에 다루가치를 설치하여 통치했다. 고려에도 몽골이 침입한 초기부터 배치되었다. 처음 배치된 것은 제1차 몽골침입이 있었던 1231년(고종 18)이다. 몽골의 총지휘관인 살리타이가 철군하면서 서경(지금의 평양) 등 북계(지금의 평안도)에 배치하였다.

〈원사 元史〉 고려전에 의하면, 이때 72명의 다루가치가 40여 개 성에 배치되었는데 이듬해 모두 고려인에게 사살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다루가치가 배치된 성이 실제로는 14개였고 다루가치의 수도 훨씬 적었을 것으로 보며, 모두 살해되었다는 것도 당시 상황으로 믿기 어렵다고 한다. 이때 배치된 다루가치는 북계의 각 성(城)에 따로 두어졌던 것 같다.

고려가 몽골에 항복하고 개경으로 환도하는 것이 결정되고 난 다음부터 몽골은 고려 왕경에 고려국사 전체에 간여하는 다루가치를 파견했다. 1270년(원종 11) 다루가치는 부(副)다루가치와 함께 파견된 이래 일정한 임기를 두고 계속 파견되었다. 이들은 원나라가 고려를 통제하고 감독하기 위해 파견한 관리였다. 따라서 원나라의 명령에 따라 내정간섭을 했으며, 고려에 나와 있는 원나라 관원과 고려인 사이에 일어나는 분쟁을 해결하기도 했고, 원나라에 죄를 지은 고려인을 처단하기도 했다. 1278년(충렬왕 4)에 폐지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다루가치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