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유적 조회순 목록
-
무령왕릉 (송산리고분군 제7호분, 武寧王陵) 충청남도 공주시 송산리 고분군 내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 제25대 무령왕과 왕비의 능. 사적. 무령왕릉은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 산5-1번지에..
-
남한산성 (사적 제57호, 南漢山城) 신라 문무왕 때 처음 성을 쌓고 이름을 주장성이라 했으며, 〈동국여지승람〉에는 일장산성이라 기록되어 있다. 백제 온조왕의 성이라고 전하기도 ..
-
경희궁 (慶熙宮) 서울특별시 종로구 신문로에 있는 조선후기 왕의 피우(避寓)를 위한 이궁으로 건립된 궁궐. 본래 경덕궁(慶德宮)으로 불렸다. 처음 창건 때는 ..
-
서울 숭례문 (남대문, 서울 崇禮門)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조선전기에 축조된 서울도성의 성곽문. 숭례문은 조선시대 도성을 둘러싸고 있던 성곽의 정문으로, 일명 남대문(南大門)이..
-
기자의 대피라미드 (Great Pyramid of Khufu in Egypt) 이집트에는 4000년 이상 된 유적들이 그대로 남아 있어 세계인들의 이목을 집중시키는데 그중에서도 피라미드는 압권이다. 피라미드라는 말은 그..
-
낙성대 (落星垈) 서울특별시 관악구에 있는 고려전기 무신 강감찬의 사당.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 1972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
-
익산 미륵사지 석탑 (益山 彌勒寺址 石塔) 익산 미륵사지 석탑은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금마면 미륵사터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제30대 무왕 관련 불탑이다. 1962년에 국보로 지정되었..
-
경산 팔공산 관봉 석조 여래 좌상 (팔공산 갓바위 불상, 慶山 八公山 冠峰 石造 如來 坐像)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팔공산 관봉에 있는 석조여래좌상. 1965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팔공산(八公山) 관봉(冠峰, ..
-
서울 흥인지문 (동대문(東大門), 서울 興仁之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조선후기에 축조된 한양도성의 동쪽 성곽문. 보물.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흥인지문(興仁之門)은 조선시대 한양..
-
무령왕릉 (송산리고분군 제7호분, 武寧王陵) 1971년 송산리 5, 6호 고분의 배수로 공사 중 우연히 발견되었다. 축조연대와 피장자가 분명하며 부장품이 고스란히 발견되어 삼국시대 고분..
-
강릉 선교장 (선교장, 江陵 船橋莊)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에 있는 조선후기 이내번 관련 주택. 1967년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이 집은 집터가 뱃머..
-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서산 마애삼존불상, 瑞山 龍賢里 磨崖如來三尊像)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마애불. 국보.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2.8m. 서산시 운산면은 중국의 불교 문..
-
고인돌 (지석묘) 고인돌은 지상에 드러나 있는 덮개돌 밑에 받침돌로 널돌이나 자연석을 고이거나, 주검을 안치한 매장 시설이 있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이자..
-
수원 화성행궁 (水原 華城行宮)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에 있는 조선후기 제22대 정조가 능행할 목적으로 건립한 궁궐. 사적. 2007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행궁은 왕이 궁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