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4·13호헌조치 四一三護憲措置
    당시 전두환대통령은 \"평화적인 정부이양과 서울 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소모적인 개헌논의를 지양한다\"는 명분하에 일련의 조치를 취했다. 개헌논의를 빙자해 실정법을 어기는 행위를 엄단한다는 것과 이와 관련한 사범은 구속수사를 원칙으로 하며 법정 최고형을 구형할 것, 이에 따라 모든 시위·농성 등의 ...
  • 호헌 조치 4·13 호헌조치, 護憲措置
    1987년 413일 전두환 대통령이 당시의 대통령 직선제를 위한 개헌 운동과 관련된 논쟁을 종식시키고 기존 헌법을 고수하겠다고 발표한 특별 담화. 같은 시기 1987년 1월 박종철 고문치사사건이 밝혀지면서 사회 각계 각층에서는 호헌철폐와 독재타도를 위한 민주화 운동이 벌어졌고 이는 6월민주화운동으로 이어졌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 , 사건/사고
  • 4·13 호헌 조치 413護憲措施
    4·13 호헌 조치(4·13 護憲 措置)는 1987년 413일, 전두환 대통령이 취한 조치이다. 일종의 특별 선언이기도 하다. 말 그대로 "현행 헌법을 유지한다"(보호한다, 수호한다, 지키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1980년 무력으로 정권을 장악한 전두환 대통령은 제5공화국 헌법을 제정한 뒤 대통령에 취임했다. 이후 대통령...
    도서 위키백과
  • 사일삼호헌조치 4.13護憲措置
    금지하는 조치를 단행했다. 여야 합의가 어려운 상황에서 대통령 간선제인 현행 헌법을 유지하고 1988년 3월에 정부를 이양하겠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4·13 호헌조치는 장기집권을 우려하는 전국민의 저항을 불러일으켰으며, 직선제 개헌과 민주화를 요구하는 6월 항쟁의 도화선이 되었다. 1987년 6월 10일 민주헌법...
    시대 :
    현대
    발생 :
    1987년 4월 13일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현대사
  • 대통령 연임제 大統領 連任制, consecutive terms
    단임제를 규정한 현행 헌법은 1987년 6월 민주화운동의 결과로 그해 10월에 탄생했다. 당시 전두환 전 대통령이 모든 개헌 논의를 금지하는 413 호헌조치를 발표하자 '호헌 철폐, 독재타도'를 주장하는 6월 민주화 항쟁이 벌어졌고, 여야 합의에 따라 대통령 직선제와 5년 단임제를 담은 9차 개헌이 이루어졌다. 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 , 행정 , 선거
  • 전두환 대한민국 제11·12대 대통령, 全斗煥
    특히 1986년 김대중, 김영삼이 신한민주당이 1000만 개헌 서명운동에 돌입하면서 개헌논의가 확대됐다. 이에 민주화 요구가 거세지자 전두환은 같은해 413일 모든 개헌 논의를 금지시키고 1988년 2월 정부를 이양히겠다는 '4.13 호헌조치'를 발표했다. 6월 민주항쟁과 6·29선언 호헌조치는 신군부의 기대와 달리...
    출생 :
    1931. 1. 18, 경남 합천
    사망 :
    2021. 11. 23, 서울
    국적 :
    한국
    직업 :
    군인, 정치인, 제 11·12대 대통령
    호 :
    일해(日海)
  • 6월민주화운동 6·10 민주항쟁, 六月民主化運動
    야권을 포함한 민주세력은 민주헌법쟁취와 직선제개헌을 중심으로 이에 맞섰다. 그러나 내각책임제를 통한 권력의 유지가 불가능해진 제5공화국 정부가 4·13호헌조치로 되돌아가자 이에 분노한 민중들이 직접 시위에 참여하게 되었다. 전개과정 1987년 1월, 서울대생 박종철군이 치안본부 대공수사단에 연행되어 조사...
  • 대한민국 역대 대통령 선거
    대통령 직선제를 요구하는 민주화 운동이 일어났다. 그러나 전두환은 시국 혼란을 이유로 1987년 413일 일체의 개헌논의를 중지하는 사일삼호헌조치(4·13호헌조치)를 발표했으며 각계의 비판이 이어졌다. 5월 18일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의 성명을 통해 박종철 고문치사사건이 은폐되었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6월 10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대통령 , 선거
  • 1980년대 한국문학에 영향을 준 사건, 6·10 국민 대회 결의문
    현행 헌법에 의거한 현 정권과 민정당의 일방적 정치 일정의 진행을 철폐하기 위한 범국민적 운동을 더 한층 가열화할 것임을 결의한다. 사건의 개요 4·13 호헌 조치와 박종철 고문 치사 등 폭압 정치의 폐해가 꼬리를 물면서 5공 타도 운동이 거세게 일어나고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국본)가 결성된다. ‘국본’은...
    시기 :
    1987년
  • 6월 민주 항쟁 전두환 독재를 반대한 반독재 민주화 외침
    당의 공식 입장으로 추인하고, 대통령 전두환은 이틀 뒤 특별 담화 형식으로 이를 대폭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국본은 환영 성명을 냈다. 6월 항쟁이 4·13 호헌 조치를 무효화하고, 직선제 개헌안을 관철시킨 것이다. 이에 따라 1987년 12월 16일, 국민투표로 확정된 직선제 개헌안에 따라 국민의 직접선거로 13대 대선...
    시대 :
    1987년
  • 대한민국의 정치사
    수 없다는 판단을 하게 되었고 1987년 413일 야당과의 개헌협상을 마감하고 현행 헌법 방식에 의해 대통령직을 후임자에게 승계하겠다는 4·13 호헌선언을 했다. 4·13 호헌조치가 발표되자 이에 항의하는 시위의 물결이 거리를 휩쓸었다. 이러는 와중에 박종철 고문치사사건이 조작, 은폐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짐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
  • 6·10민주항쟁 기념일 六十民主抗爭 紀念日
    제기되었다. 그러나 1987년 413일 전두환 정권은 국민의 대통령 직선제 개헌 요구를 거부하고 시국 혼란을 이유로 일체의 개헌 논의를 금지하는 4·13호헌조치를 취했다. 이에 대한 비판이 이어지던 중, 5월 18일 박종철 고문치사사건이 정권에 의해 조작·은폐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서울대 학생 박종철을 불법...
    분류 :
    비공휴일 ⋅ 법정기념일
    시행일 :
    2007년 5월 2일
    주관처 :
    행정안전부
    날짜 :
    6월 10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4·13호헌조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