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행정소송 行政訴訟, administrative litigation
    행정법에 관련한 분쟁이 있을 때 제기되는 소송. 내용에 따라 항고소송, 당사자소송, 민중소송 등으로 구분되며 가장 많은 소송인 항고소송의 경우 다시 취소소송, 무효등확인소송, 부작위위법확인소송으로 나뉜다. 문제가 있음을 안 날부터 90일 이내, 문제가 생긴 날부터는 1년 이내에 제기해야 하며, 기간이 지나면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행정소송 (동의어 행정 소송) 行政訴訟
    행정청의 위법한 처분 그 밖에 공권력의 행사·불행사 등으로 인한 국민의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규제하는 소송절차.|내용 행정소송행정상 쟁송 중에서 약식쟁송인 행정심판에 대하여 정식쟁송이라 할 수 있으며 프랑스 · 독일 등 대륙법계 국가들에서 일반사법법원으로부터 독립된 특별법원으로서의 행정법원...
    시대 :
    현대
    유형 :
    제도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행정소송 行政訴訟
    행정소송은 공법상의 권리에 관한 국민의 권리구제 차원에서 그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규정한 소송이다. 행정소송행정쟁송이라는 점에서 행정심판과 같지만, 위법성만을 쟁송으로 한다는 점과 법원에서 정식의 소송절차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부분에서 행정심판과 구별된다. 행정소송은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
  • 행정소송 行政诉讼, administrative litigation
    행정법규의 적용에 관련된 분쟁이 있는 경우에 법규의 정당한 적용과 개인의 권리구제를 목적으로 하는 소송. 특허제도와 관련해서는 특허법 제186조에 규정된 특허취소결정 또는 심결에 대한 소, 특허취소 신청서에 대한 각하결정에 대한 소 등 특허법원의 전속관할에 속하는 사건만이 특허소송 사건이 되고, 서류불수...
  • 행정소송 行政訴訟
    위키문헌행정소송(行政訴訟)이란 행정 관청의 처분에 의해 권리를 침해 받은 자가 그 처분의 취소나 변경을 요구하는 소송이다. 공법상의 권리관계 또는 법적용에 관한 다툼을 해결함을 목적으로 하여 정식의 소송절차에 의하여 행하는 소송을 말한다. 행정소송은 행정청의 행정처분이 취소됨으로 인하여 법률상 직접적...
    도서 위키백과
  • 사법부의 운영 (관련어 행정소송)
    사법작용은 이해당사자로부터 법적 쟁송을 제기받아 법원이 이에 법을 적용하여 재판함으로써 구현된다. 법원이 다루는 쟁송은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민사소송은 재산관계나 가족관계와 같이 사적인 개인간의 생활관계에 관한 분쟁이나 이익충돌을 법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절차이다. 둘째, 형사소송은 검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공공기관
  • 공권력이 침해한 권리를 찾으려면 행정소송 억울하게 빼앗긴 운전..
    잘못을 바로잡는 일은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이렇게 국가나 공공단체의 처분이 위법하거나 국민의 권리를 침해했을 때 구제하는 수단이 바로 행정소송이다. 행정소송은 일반인들에겐 조금 어려운 분야이긴 하지만,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중요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교통사고 잘못은 상대방이...
  • 행정소송을 하려면
    행정소송을 하려면 행정법원을 찾아야 한다. 하지만 행정법원은 서울에만 있기 때문에 지방에서의 행정소송은 지방법원 행정재판부에 내면 된다. 10년 전만 하더라도 행정소송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행정심판을 거쳐야 했으나 지금은 곧바로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즉 '행정처분 → 행정심판 → 행정소송'의 단계를...
  • 당사자소송 當事者訴訟
    피고로 하는 경우를 말하는데, 실질적으로는 항고소송과 하등 다를 바가 없다. 행정소송법은 당사자소송에 관하여 피고적격, 재판관할, 제소기간과 소의 변경 등을 규정하고 있으나 행정소송법은 항고소송을 중심으로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에는 항고소송에 관한 규정을 준용하도록 하고 있다(제39~44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행정소송 行政訴訟法
    1951년 8월 24일 법률 제213호로 제정·공포된 이래 1984년 12월 15일 전면개정되었으며, 1988년 부분개정이 있었다. 제1장 총칙, 제2장 취소소송, 제3장 취소소송 외의 항고소송, 제4장 당사자소송, 제5장 민중소송 및 기관소송 등 전문 46조와 부칙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근로자 노무상담, 누가 근로자를 도와주나요
    때 그 취소나 무효 확인을 위해 제기하는 소송행정소송이라고 합니다. 행정소송행정법원이라는 특수 법원에서 처리하는데, 노동 사건에서는 행정소송의 비중이 매우 높습니다. 예를 들어 노동위원회가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기각하였거나 근로복지공단이 산재 보상 청구를 불승인했다면 행정법원에 처분을 취소해...
  • 재판 裁判, judgment
    하여금 관할하게 하는 제도를 말한다. 그러나 헌법은 이러한 (행정법원)제도를 인정하지 않고 일체의 법률상의 쟁송의 재판은 물론 행정사건도 포함하여 종국적으로는 법원이 관할하도록 했다. 법제상 행정재판은 행정청의 공권력 행사에 대한 불복 등에 관한 재판을 말하며, 그 절차는 행정소송법이 정한 바에 의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