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할리카르나소스 Halicarnassos
    케라메이코스 만(지금의 터키 케르메 만) 연안에 있던 카리아 지방의 고대 그리스 도시. (영). Halicarnassus.|전설에 따르면 이 도시를 세운 것은 펠로폰네소스 반도에서 온 도리아인 트로이젠이라고 한다. 할리카르나소스 출신의 역사가 헤로도토스는 옛날에는 이 도시가 트리오피온에서 열린 도리아인의 아폴론 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할리카르나소스 Halicarnassus, ハリカルナッソス
    문화재 정보 할리카르나소스는 아나톨리아(소아시아) 카리아의 남서부 해안에 있던 고대 그리스의 도시이다. 현재 튀르키예 보드룸에 해당한다. 세계 불가사의 중 하나인 할리카르나소스의 마우솔레움의 유적지가 남아 있는 지역으로 유명하다. 알렉산드로스 3세가 페르시아 제국 아케메네스 왕조와 싸운 곳이기도 하다....
    도서 위키백과
  • 할리카르나소스의 마우솔레움 Mausoleum of Halikarnassos
    제국에 속한 카리아의 사트라프(사트라프는 페르시아의 관직명이었으나 독립국의 군주와 같았다) 마우솔로스(기원전 377~353 재위)를 위해 그리스 할리카르나소스(지금은 터키의 보드룸)에 건조한 무덤이다. 가로 · 세로의 길이는 각각 32 · 38미터, 높이는 거의 50미터로 당시의 무덤으로서는 이집트 피라미드를 제외...
  • 할리카르나소스의 마우솔레움 Mausoleum of Halicarnassos
    소아시아의 남서부에 있던 카리아의 폭군 마우솔로스의 영묘. 마우솔로스의 누이이며 미망인인 아르테미시아가 BC 353경~351년경에 지었다. 건축가는 피티우스(또는 피테오스)였고 4명의 뛰어난 그리스 예술가 스코파스·브리악시스·레오카레스·티모테오스 등이 조각을 맡았다. 로마의 저술가인 대플리니우스(23~79)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대 , 유적 , 역사 일반
  • 세계 7대 불가사의 世界七大不可思議, Seven Wonders of the World
    아르테미스 여신에게 바쳐진 신전으로 지금의 터키 셀추크 부근에 건축되었다. 기원후 401년까제 세번에 걸쳐 재건되었으나 현재는 폐허만 남아있다. ⑤ 할리카르나소스의 마우솔레움 왕비 아르테미시아가 지었다고 하는 아나톨리아의 왕 마우솔로스의 거대한 무덤이다. 지금의 이스탄불에 폐허가 남아 있다. ⑥ 로도스...
  • 할리카르나소스의 마우솔레움 Mausoleum at Halicarnassus,..
    마우솔로스의 영묘 또는 마우솔로스의 능묘는 할리카르나소스(현재 터키의 남서쪽 해안 도시 보드룸)에 있는 고대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이다. 약 기원전 353년에서 350년 사이에 건립되었다. 마우솔레움에는 페르시아 제국의 사트라프(군사, 내정 양권을 장악한 태수)였던 마우솔로스와 그의 아내이자 누이인...
    도서 위키백과
  • 뉴턴 Sir Charles Thomas Newton
    터키 남서부의 여러 유적을 발굴하고 고대세계 7대 불가사의의 하나인 할리카르나소스(지금의 보드룸)의 마우솔레움 유적을 발굴했다. 고고학 방법론의 체계화에도 이바지했고 런던 영국박물관 고대 그리스 로마 유물의 초대 관리인으로서 뛰어난 자료를 수집하며 박물관 소장품을 크게 늘렸다. 영국박물관 유물부의...
    출생 :
    1816. 9. 16, 잉글랜드 헤리퍼드셔 브레드워다인
    사망 :
    1894. 11. 28, 켄트 마게이트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헤로도토스 Herodotos
    Historiae〉(〈페르시아 전쟁사〉라고도 함)를 썼다(→ 역사편찬). 헤로도토스는 당시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고 있던 소아시아 남서부의 그리스 도시인 할리카르나소스에서 태어났다. 그러나 그가 태어난 해와 죽은 해는 모두 확실하지 않다. 그는 아테네에 살았고, 거기서 소포클레스를 만났으며, 그후 아테네가 중심이...
    출생 :
    BC 484(?), 소아시아 할리카르나소스(지금의 터키 보드룸)
    사망 :
    BC 430(~420)
    국적 :
    그리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마우솔레움 mausoleum
    말은 카리아의 왕 마우솔로스의 이름을 딴 것으로, 죽은 왕을 기리기 위해 왕비 아르테미시아가 BC 353~350년경 할리카르나소스에 화려하게 무덤을 세운 것에서 유래했다(→ 할리카르나소스의 마우솔레움). 이 기념물의 유적 몇 점이 영국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가장 장려한 영묘는 인도 무굴 제국의 황제 샤 자한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적
  • 학교 學校, school
    고대 유럽의 자유민들이 음악장이나 체육장에서 교양을 습득하고 즐기는 것을 뜻했다. 이 말을 처음으로 학교라는 뜻으로 사용한 사람은 디오니시오스 할리카르나소스(BC 30경)였다고 한다. 그후 종교·문학을 위주로 한 인문교육 중심의 교육기관이 설립되기 시작해, 근대 이후 급속하게 발달했다. 첫째, 상공업의 발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교육
  • 마우솔로스 Mausolos
    기념비적인 그의 무덤으로 유명하다. 현재 마우솔레움(영묘)이라는 용어는 규모가 크고 훌륭한 무덤들을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말이 되었다(→ 할리카르나소스의 마우솔레움). 마우솔로스가 수도를 내륙지역인 밀라사에서 해안지역인 할리카르나소스로 옮긴 것으로 보아 팽창정책을 추진했음이 확실하다. BC 362...
    출생 :
    미상
    사망 :
    BC 353/352
    국적 :
    페르시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스코파스 Scopas
    고대의 저술에 따르면, 그는 BC 4세기에 3개의 주요기념물을 만들었다. 아르카디아의 테게아에 있는 아테나 알레아 신전, 에베소스에 있는 아르테미스 신전, 할리카르나소스에 있는 마우솔레움이 바로 그것들이다. 아테나 알레아 신전은 BC 394년이 조금 지나서 짓기 시작한 새로운 신전이었다. AD 2세기의 그리스...
    출생 :
    ?,
    사망 :
    미상
    국적 :
    그리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5건

할리카르나소스의 마우솔레움
할리카르나소스의 마우솔레움 모형
할리카르나소스의 마우솔레움 터
할리카르나소스 무덤의 거대한 동상(Colossal statue of a man from the Mausoleum at Halikarnassos)
할리카르나소스 원형경기장에서 여자 검투사 두 명이 혈투를 벌이는 장면을 조각한 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