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마우솔로스

다른 표기 언어 Mausolos
요약 테이블
출생 미상
사망 BC 353/352
국적 페르시아

요약 페르시아의 사트라프(총독).
(영). Mausolus.

마우솔로스(Mausolos)

페르시아의 총독

ⓒ Guillaume Rouille / wikipedia | Public Domain

BC 377(376)~353년에는 아나톨리아 남서부 카리아의 독립군주나 다름없었다. 고대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여겨지는 마우솔레움이라는 기념비적인 그의 무덤으로 유명하다. 현재 마우솔레움(영묘)이라는 용어는 규모가 크고 훌륭한 무덤들을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말이 되었다(→ 할리카르나소스의 마우솔레움).

마우솔로스가 수도를 내륙지역인 밀라사에서 해안지역인 할리카르나소스로 옮긴 것으로 보아 팽창정책을 추진했음이 확실하다.

BC 362년 페르시아 왕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BC 404~359/358 재위)에 대항하는 아나톨리아 사트라프들의 반란에 참여했으나, 패배로 몰락하지 않기 위해 적절한 시기에 빠져나왔다. 그뒤 남동쪽에 인접한 리키아를 차지하고, 카리아 북서쪽을 다스리는 몇몇 지배자 가운데 한 사람이 되었다. 로도스·코스·키오스 섬(모두 아나톨리아 서해안 쪽에 있음)들과 그 동맹세력이 아테네와 벌인 전쟁(사회전쟁, BC 357~355)을 지원하여 동맹세력이 승리하자 로도스와 코스는 자연히 마우솔로스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그의 거대한 무덤건축은 그가 시작했으나 그가 죽자 누이이자 부인인 아르테미시아가 그 일을 지휘했다.

지금은 폐허가 되었지만 이 무덤은 거대한 규모의 구조물로 그 안에 카리아 왕과 왕비의 커다란 동상이 있었다. 유명한 그리스의 건축가 피테오스가 설계를 맡았고, 그리스의 조각가 스코파스·브리악시스·티모테오스·레오카레스 등이 장식을 맡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세계사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마우솔로스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