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초등교육 初等敎育, elementary education
    형식교육의 첫번째 단계. primary education이라고도 함.|통상 5~7세에 시작하여 11~13세에 끝난다(→ 아동기). 영국과 일부 국가에서는 elementary라는 용어 대신 primary라는 용어를 쓴다. 미국에서 primary라는 용어는 관례적으로 초등교육의 처음 3년을 말한다. 초등교육은 때때로 3~6세의 학령전 교육에 이어 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교육
  • 초등교육 初等敎育
    취학 후 최초 단계의 교육.|개설 중등교육·고등교육에 대한 개념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초등학교 교육을 뜻한다. 초등교육은 국가에 따라 입학연령·수업연한·교육내용 등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대체로 공교육 제도상 기초 단계의 교육으로 의무교육화되어 있다. 초등교육 대상 아동의 연령을 과학적 근거에 의하...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교육/교육
  • 초등교육 (관련어 초등 교육) Primary education, 初等教育
    초등 교육(初等敎育, 중등 교육의 이전 단계이다. 대한민국에서의 초등 교육 기관은 초등학교에 해당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일본의 경우 소학교에 해당한다. 대한민국에서 초등교육 기간에는 의무 교육을 실시하며, 현재 6년제이다. 대한민국에서 초등교육을 가르치는 초등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각 도에 위치한...
    도서 위키백과
  • 한국의 초등교육
    한국의 초등교육은 6년제로 되어 있으며 학제상 명칭은 초등학교이다. 1996년 현재 전국의 초등학교수는 5,732개로서, 6,535개교로 학교수가 가장 많았던 1986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데, 이는 농어촌 지역의 인구감소에 따른 폐교와 초등학령 인구의 전반적인 감소현상 때문이다. 학생수도 1996년 현재 380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교육
  • 대한민국의 교육
    수 있는 '열린 교육 사회, 평생 학습 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 구축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학교 교육 현행 학교 제도는 6-3-3-4제로서 초등교육을 실시하는 초등학교 6년, 전기 중등교육기관인 중학교 3년, 후기 중등교육기관인 고등학교 3년, 후기 중등교육 이후 단계인 고등교육기관으로 구성되었다. 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
  • 젊어서 슬픈 대륙과 빈곤의 덫
    바꿀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인재를 육성하는 것이다. 유엔 새천년개발계획의 여러 목표 가운데 지난 10년간 가장 탁월한 성과를 거둔 것은 초등교육의 보급으로, 초등학생이 4,000만 명 증가하면서 전체 아동 중 70퍼센트에 가까운 아동들이 학교에 다니고 있다. 초등학교 취학률이 100퍼센트에 가까운 우리의 현실과...
  • 초등학교 初等學校
    이수하게 된다. 우리나라에서도 1948년 「헌법」제16조에서 ‘모든 국민은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와 의무가 있다.’고 규정하여, 1950년 6월부터 초등교육을 의무교육으로 실시하게 되었다. 따라서 보호자는 자녀가 만 6세가 되면 초등학교에 취학시켜야 하며, 지방공공단체는 학교설치의 의무가, 제삼자에게는 교육...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
    분야 :
    교육
  • 초등학교 初等學校, primary school
    8월에 발표된 '제1차 조선교육령'에도 그대로 사용되었으나 4년제 보통학교와 4년제 고등보통학교(남학교와 여학교로 구분)로 나뉘게 되어, 보통학교만이 초등교육 단계에 해당되었다. 또한 일본인 자녀들은 조선인들이 다니는 보통학교와 구분하여 소학교라 불리는 초등학교에 입학했는데, 1919년에는 보통학교수 482...
  • 서당 書堂
    사설 초등교육기구의 연원은 고려시대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그러나 조선 전기까지 초등교육은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학생들은 가정에서 한문 해독 능력을 갖춘 다음 서재류(書齋類)의 사설 교육기구나 관학인 향교를 통해 과거시험을 준비하는 교육과정을 밟았다. 조선 후기에 보편적인 초등교육...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교육 , 교육기관
  • 미국의 정치와 사회
    그밖에도 학교급식계획을 지원하고, 아메리카 인디언 교육을 관할하며, 대학에 연구비를 지급하고, 대학생에게 학자금을 융자해주며, 퇴역군인 교육의 재정을 지원한다. 초등교육은 여전히 일차적으로 지역정부의 소관이지만, 주정부와 연방정부의 영향력이 증대되고 있다. 예를 들어 1964년의 민권법은 인종차별이 존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북아메리카
  • 모든 사람이 최소한 초등학교 졸업장을 받게 한다 교육 불평등
    초등학교 전 과정을 무사히 마치는 개발도상국 아동 비율이 약 84%라고 추정한다. 이는 1990년보다는 4%가 높아진 수치다. 물론 '모든 사람에게 완전한 초등교육 제공'이라는 밀레니엄개발목표(Millennium Development Goals) 달성은 아직 요원하기만 하다. 특히 최빈국 아동이 모두 초등학교를 온전히 마칠 수 있는...
  • 예체능 교육, 꼭 시켜야 하나요?
    초등학교 1학년 엄마들의 강박 중 하나가 '예체능은 저학년 때 마쳐야 한다'는 것입니다. 고학년이 되면 공부량이 늘기 때문에 따로 예체능을 배울 시간이...하나는 필수적으로 배워야 하는 초등학교 1학년 아이들. 만일 아이에게 예체능 교육을 하고 싶다면, 무엇을 위한 것인지 먼저 잘 생각해보세요. 왜 예체능 교육...
    시기 :
    초등학교 1학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8건

경원보통학교 / 개화기 초등학교
과학실습 / 리라국민학교
초등교육 현황과 밀레니엄개발목표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초등교육기관인 서울교동초등학교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초등교육기관 인성학교 교사와 학생들
초등학교 예능교육
초등학교 안전교육 계획서
초등학교안전교육 계획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