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형식교육의 첫번째 단계.
한국의 초등교육은 6년제로 되어 있으며 학제상 명칭은 초등학교이다.
1996년 현재 전국의 초등학교수는 5,732개로서, 6,535개교로 학교수가 가장 많았던 1986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데, 이는 농어촌 지역의 인구감소에 따른 폐교와 초등학령 인구의 전반적인 감소현상 때문이다.
학생수도 1996년 현재 380만 540명으로 1970~80년대 550만 명 수준에서 1995년 처음으로 400만 명 미만으로 줄어든 후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다. 이에 따라 초등학교의 고질적 문제가 되어왔던 과밀현상은 점차 해소되어가고 있어서 1970년 2,672개에 달했던 2부제 실시 학교수는 1996년 현재 전국 209개교로 줄어들었으며, 인천광역시, 경기도, 경상남도 등과 같이 인구유입이 많은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반면에 농어촌 지역 학교는 소규모화와 통폐합에 따른 진통이 따르고 있다.
1970년 62.1명에 달했던 학급당 학생수는 1996년 현재 35.7명으로 줄고 교원수는 10만 1,095명에서 13만 7,912명으로 늘어나 교원당 학생수는 56.9명에서 27.6명으로 줄었다. 초등학교 취학률은 97.1%이며, 중학교 진학률은 99.0%로 초·중등교육이 보편화되었다. 교육과정은 제6차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19921-16호, 1992. 9. 30)이 1992년부터 연차적으로 적용되었으며, '건강한 사람, 자주적인 사람, 창의적인 사람, 도덕적인 사람'을 기르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교육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