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차관 借款
    다른 나라 공용기관이나 민간으로부터 자금 또는 상품을 꾸어들이는 일을 가리키는 경제용어.|내용 좁은 의미로는 외국의 공공기관 또는 민간기업으로부터 3년 이상의 장기차입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차관이라고 할 때에는 좁은 의미로 사용된다. 자금대차의 당사자가 공공기관이냐 민간기업이냐에 따라 공공차관과 상...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경제·산업/경제
  • 차관 次官
    중앙행정기관인 행정부처의 장관 다음의 제2인자인 정무직 공무원.|내용 우리 나라의 5처 중 총무처·국정홍보처·과학기술처는 그 장을 국무위원으로 보하고 그 2인자를 차관으로 하지만, 법제처와 국가보훈처의 경우에는 그 장을 국무위원으로 보하지 아니하고 그 2인자를 차장이라 한다. 그러나 법제처와 국가보훈...
    시대 :
    현대
    성격 :
    관직, 직책
    유형 :
    제도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차관 次官
    외화채권발행, 외국인 직접투자, 기술도입 등과 함께 외자를 조달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외국정부 또는 국제경제협력기구, 외국금융기관으로부터 차입형태로 대외지급수단이나 자본재 ・ 원자재를 도입하는 것을 말한다. 차관은 국내 저축 기반이 취약할 경우 기간산업 건설과 사회간접자본 확충을 통한 경제개발을 수행...
  • 차관 借款, loan
    국내저축량이 부족한 경우 외국으로부터 자금이나 물자를 차용하는 외자도입의 한 형태이다. 외국자본의 성격을 띠면서도 국제수지표상으로는 해외저축의 한 항목으로 나타나게 된다. 공공차관은 공공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상업차관에 비해 그 상환기간이 길고 이자율도 낮다. 상업차관은 정부 및 금융기관의 지불보증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차관 次官, vice-minister
    소속 행정부에서 장관을 보좌하고 그 부의 사무를 처리하며, 소속 공무원을 지휘·감독하며, 장관을 대리할 수 있는 보조기관.|별정직 국가공무원 또는 정무직 공무원으로 임명된다. 한국에서는 정부조직법상 행정각부에 1명의 차관을 두도록 되어 있으며, 정무직으로 한다(정부조직법 제26조 2항). 차관은 장관이 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 차관
    중앙행정기관의 정무직 공무원으로서 소속 장관을 보좌하고 장관의 직무를 대행하여 수행한다.|수행직무 각 원·부·처의 장관을 보좌한다. 장관의 위임을 받아 소속기관의 사무를 처리한다. 소속 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 장관의 부재 시에는 그 직무를 대행한다.
    교육수준 :
    14년 초과 ~ 16년 이하(대졸 정도)
    숙련기간 :
    10년 초과
    작업강도 :
    아주 가벼운 작업
    작업장소 :
    실내
    직무기능(자료) :
    조정
    직무기능(사람) :
    협의
    직무기능(사물) :
    관련없음
    고용직업분류 :
    [0111]의회의원·고위공무원 및 공공단체임원
    표준직업분류 :
    [1110]의회 의원·고위 공무원 및 공공단체 임원
    표준산업분류 :
    [O841]입법 및 일반 정부 행정
    조사연도 :
    2021년
    도서 한국직업사전 | 태그 직업
  • 차관 (관직) Undersecretary, 次官
    차관(次官, 부재시 대행하는 정무공무원이다. 차관은 총비서의 직급 아래에 있는 사람을 가리키는 호칭이다. 이는 정부 행정부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정치 체제에서 다른 의미로 사용되며, 다른 조직 환경에서도 사용된다. 대한민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장관 다음 가는 직위로, 보좌하는 역할을 하며, 장관에게...
    도서 위키백과
  • 차관 借款
    은행 또는 회사 등이 상대국의 정부, 은행 또는 회사에 대하여 장차 필요할 경우에 일정한 융자를 받을 것을 예약 혹은 차입한 신용을 말한다 개인이나 민간기업이 외국으로부터 도입한 자금이다. 국가나 정부에서 보증하고 법인이 들여오는 공공 차관하고는 분명하게 구분된다. 국회의 의결을 통해서만 들여올 수 있는 ...
    도서 위키백과
  • 공공차관 公共借款, Public Loan
    개설 공공차관은 국내기업과 개인이 이윤을 목적으로 자신의 신용으로 외국에서 자본을 빌려오는 상업차관과 달리 정부보증으로 자금을 빌리거나 증여받는 것으로서 대부분 항만이나 교통시설 등 사회간접자본의 조성을 위하여 도입되므로 상업차관(commercial credit)에 비해 상환기간이 길고 이자율도 낮다. 공공차관...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경제·산업/경제
  • 차관 敬差官
    설치 목적 경차관(敬差官)은 조선 초기인 1396년(태조 5)에 처음 등장한 외방 사신으로, 고려시대나 중국에서는 동일한 명칭을 찾아볼 수 없다. 조선시대 경차관은 중국에서 황제가 파견하는 사신을 '흠차관'이라고 지칭한 것에 상응하는 명칭이다. 제후격에 해당하는 조선에서 '흠차관'이라고 명명할 수 없었기 때문에...
    시대 :
    조선
    유형 :
    제도/관직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차관 敬差官
    사용될 선박의 실태와 정비 상황을 점검하는 것이었다. 초기에는 주로 군사적인 임무를 띠고 파견되었다가 태종대 이후 그 임무와 역할이 크게 확대되었다. 경차관에는 국방·외교에 관한 군기점고(軍器點考) 경차관, 군용(軍容) 경차관, 염초(焰硝) 경차관 등과 왜구나 여진에 대한 대비책을 강구하는 임무를 담당한 경...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한-아세안 국방차관회의 韓-ASEAN 國防次官會議
    강화하고, 한국과의 미래지향적 방산 협력을 통해 이들 국가들의 해양안보 역량을 강화해 나가는 데 있어 한국과의 협력 확대를 요청하였다. 한-아세안 국방차관회의(韓-ASEAN 國防次官會議)는 기존 ‘한-아세안 정상회의(韓-ASEAN 頂上會議)’, ‘한-아세안 외교장관회의(韓-ASEAN 外交長官會議)’ 및 ‘한-메콩 외교...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제도/법령·제도
    분야 :
    정치·법제/국방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7건

대출
▲ 차관 도입
▲ 차관 상환
라오서 차관(老舍茶馆)
라오서 차관(老舍茶馆)
김성렬 행정자치부 차관.
대니 필립(Danny Philip) 전 총리와 컴밸 (Campbell) 차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