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경차관

다른 표기 언어 敬差官

요약 조선시대 중앙집권적 지방통치체제의 강화과정에서 국가의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특정한 임무를 띠고 지방에 파견된 중앙 관원의 하나.

임명과 파견에 대해 특별히 선발 관청이나 관직에 관한 법제적 규정은 없었고, 대개 관련 사무에 밝은 관원 가운데 골라 정했다.

주로 7품 이상의 전직·현직 관리가 임명되는데, 사안이 중요할 경우에는 정3품 이상의 관리가 파견되기도 했다.

1396년(태조 5)을 전후해서 충청도·전라도·경상도·강원도 지방에 왜구 소탕을 위해 중앙 관원을 파견한 것이 처음이다. 당시 주된 임무는 왜구 소탕과 관련한 전황을 파악하고 해상 전투에 사용될 선박의 실태와 정비 상황을 점검하는 것이었다. 초기에는 주로 군사적인 임무를 띠고 파견되었다가 태종대 이후 그 임무와 역할이 크게 확대되었다.

경차관에는 국방·외교에 관한 군기점고(軍器點考) 경차관, 군용(軍容) 경차관, 염초(焰硝) 경차관 등과 왜구나 여진에 대한 대비책을 강구하는 임무를 담당한 경차관 등이 있었다.

이들은 왜구의 침입에 대한 대비책의 강구, 군기의 점검, 군사들에 대한 위문과 사기 진작, 군사 진영의 순시, 연변·연해 지역의 비상연락 시설체계인 연대(煙臺)검사 등을 주요임무로 했다. 한편 재정 및 산업에 관한 경차관의 임무가 가장 중요시되었는데 그 가운데서도 손실(損實) 경차관과 재상(災傷) 경차관은 연례적으로 파견되었고, 그 역할도 매우 컸다.

이들은 매년 국가의 부세(賦稅) 수입기반을 이루는 농사작황의 파악, 전답재해 상황의 조사, 농민들의 도망과 유리로 야기되는 호구 및 인구의 이동과 증감, 변동상황을 파악해서, 이들을 원거주지로 돌려보내는 등 농민통제에 관한 일들을 맡고 있었다.

이와 아울러 토지에 대한 측량을 통해 새로운 토지의 개간, 재해와 기근, 농민의 유망 등으로 인한 진황지(陳荒地)의 발생 등과 관련해 전세 부과의 대상이 되는 경작지 결수의 증감·변동의 파악을 주요임무로 하는 양전 경차관, 농민들로부터 거둔 전세를 해상교통로를 통해 선박으로 중앙에 운송하는 일과 관련한 임무를 맡은 조전(漕轉) 경차관, 국가에서 필요로 하는 금·은·동·철 등 공물의 생산을 감독하는 경차관, 제언(堤堰)을 보수하고 신축하여 수리(水利)를 위해 파견되는 경차관 등이 있었다.

한편 자연재해 및 기근을 당한 농민의 구휼을 통한 유리 방지, 토지에의 안착을 위해 파견되어 수령을 지휘·감독하면서 관련사무를 관장한 진제(賑濟)·구황(救荒) 경차관도 있었다.

뿐만 아니라 전세·요역·군역·신역·공물 등 국가에 부세 부담을 진 농민이나 공노비 등의 기피와 유리를 규제하고 추쇄(推刷)하여, 이를 기초로 호적·군적·노비적 등 신역부담자의 장부를 작성하여 이들에 대한 파악의 강화를 주요임무로 한 경차관도 파견되었다.

호구의 증대, 새로운 토지의 개간, 농업의 제고 등을 통해 국방의 강화를 도모하기 위해 인구밀도가 높은 남부지방으로부터 인구밀도가 낮은 북부 연변지방으로 백성들을 강제로 이주시키는 것과 관련된 임무를 담당한 사민(徙民) 경차관이 파견되기도 했다. 국가의 필요에 따라서는 수령권의 남용, 수취체제 운영과정에서 수령·향리 등의 부정과 침탈로 야기되는 민원(民怨)의 파악을 전담하는 문민질고(問民疾苦) 경차관, 문폐(問弊) 경차관 등이 파견되기도 했다.

이밖에도 도적을 소탕하기 위해 파견된 경차관, 범죄사실의 조사와 범죄인의 신문·압송을 위해 파견된 경차관, 명나라와의 말무역을 위해 파견된 쇄마(刷馬) 경차관, 명나라에 진헌(進獻)할 매를 잡기 위해 파견된 경차관 등도 있었다.

이렇게 여러 부문에 걸쳐 파견된 경차관들은 각기 특정한 임무와 역할을 띠고 있었지만, 때로는 그들의 임무와 관련된 사무를 집행하는 과정에서 수령의 직무에 크게 관여하기도 했다. 이들은 수령의 집무 태도를 규찰하고 수령과 원악향리의 부정을 적발하여 처벌함과 더불어 민원사항의 파악, 유이민의 추쇄, 기민(飢民)의 진휼 등의 임무를 겸하기도 했다.→ 사신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조선

조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경차관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