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선민립대학설립운동 朝鮮民..
    1923~24년 사회 각계의 민족주의자들이 민족독립을 위한 실력배양과 지도자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민립대학설립하기 위해 전개한 문화운동. 실력양성론을 기반으로 교육운동이 곧 민족운동이라는 인식이 발단이 되었으며, 일본이 교육으로 조선인을 세뇌시키려 했던 당시의 배경도 계기가 되었다. 이에 1922년 조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사건/사고
  • 민립대학설립운동 民立大學設立運動
    초치하여 조선인 자제들의 교육을 위한 관립 종합대학설립에 관한 제1단계로, 경성의학전문학교를 조선의과대학으로 만드는 것이 첩경이라 하면서 민립대학설립운동을 중단할 것을 종용하였다. 만약, 민립대학을 세울 경우 조선인 학생뿐 아니라 일본인 학생도 수용하는 일선공학제(日鮮共學制)로 하자고 강권하기도...
    시대 :
    근대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근대사
  • 민립 대학 설립 운동 民立大學設立運動
    이승훈 등 13명을 지방순회위원으로 파견하여 선전활동을 강화하는 한편, '한민족 1,000만이 한 사람 1원씩'의 구호를 내걸고 전국적인 모금운동을 전개했다. 그러나 일제의 감시와 탄압, 계속된 가뭄과 수해까지 겹치면서 모금 활동이 어려워져 민립 대학 설립 운동은 쇠퇴하여 실패로 끝났다. → 조선민립대학설립운동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제강점기
  • 민립대학설립운동 民立大学設立運動
    미국 하와이 등지에도 지방부가 확산, 조직되었다. 중앙부는 민립대학설립에 대한 선전과 모금운동을 실행하였으며 이승훈, 조만식, 안재홍, 이갑성 등의 유력자들은 지방을 돌아다니며 강연회를 열고 민립대학 설립취지를 천명하였다. 민립대학설립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려는 조짐이 보이자 일제는 교육 운동을 정치...
    도서 위키백과
  • 민립대학설립기성회 民立大學設立期成會
    부산 지역 인사들에 의해 조직되어 민간의 모금으로 대학설립하고자 하였다. [변천] 1945년 10월 9일 오후 1시 도청 회의실에서 부산 시내 유지가 집합하여 민립대학설립기성회 발기인회를 열어 기성회를 조직하고, 위원장 김병규(金秉圭), 부위원장 서상환(徐相煥)·김동산(金東山), 총무부장 김칠성(金七星), 재무...
    분야 :
    문화·교육
    지역 :
    부산광역시 중구
  • 경성제국대학 京城帝國大學
    1924년 '경성제국대학관제'가 공포된 후 1926년에 문을 열었다. 1920~26년에 전개되었던 '조선민립대학설립운동'에 대응하여 일제가 조선사람의 민족대학 설립의 열기를 식히고 회유하려던 의도로 설립했다. 그래서 이 학교에는 조선사람의 독립의식을 고양시킬 수 있는 정치·경제·이공 등의 학부는 설치되지 않았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대학교
  • 고려대학교 고대, 高麗大學校
    58명의 공동 발의로 1921년 재단법인 보성전문학교가 발족하고, 1922년 「조선교육령」에 의거하여 정식으로 보성전문학교로 인가를 받게 되었다. 그 뒤 조선...3·1운동 직후 거국적으로 일어났던 민립대학 설립운동이 일제의 압력으로 실패하자 독자적으로 민립대학설립할 뜻을 품고 구미 각국의 대학을 시찰...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교육
  • 이상재 월남, 李商在
    지지를 표현하였다. 민립대학설립운동조선교육협회와 별도로 추진되었다. 그러나 조선교육협회 건물에 사무실을 두었고, 조선교육협회 임원진 대부분이 민립대학설립기성회에 적극 참여하여 실질적으로는 조선교육협회의 주도로 전개되었다. 1923년 3월 29일 조선민립대학설립기성회 발기총회를 개최되자, 의장으로...
    출생 :
    1851년 10월 26일, 충남 서천(舒川)
    사망 :
    1927년 3월 29일
    관련 사건 :
    신사유람단, 조선민립대학설립운동
    본관 :
    한산(韓山)
    주요활동 :
    1881년 신사유람단 수행원, 1887년 주미공사 서기관, 1895년 학부아문 참의, 1896년 의정부 총무국장, 1902년 개혁당사건으로 수감, 1905년 황성기독청년회 교육부장, 1911년 황성기독청년회 총무, 1920년 조선교육협회 회장, 1923년 조선민립대학설립운동 주도, 1924년 소년척후단조선총연맹 총재, 흥업구락부 회장, 조선일보사 사장, 1927년 신간회 회장
    포상훈격 :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관련 인물/단체 :
    황성기독청년회, 소년척후단조선총연맹, 흥업구락부, 신간회
  • 하와이 한인단체 합성협회 성립의 주역, 안원규 ・ 정원명 安元奎 ・ 鄭元明
    하와이에도 민립대학기성회를 조직하여 회장에는 신홍균, 서기에 염달욱, 재정 모집원에 안원규 ・ 이태성 ・ 김이제가 맡았다. 한편, 태평양회의를 계기로 1925년 7월 16일 서재필의 초대형식으로 이승만 ・ 김영기 ・ 현순 ・ 황사용 ・ 안원규 ・ 박용만 ・ 민찬호 등 하와이의 대표자들이 모두 모여 지나간 일을...
    출생 :
    안원규 1877년 8월 30일, 서울정원명 1881년 11월 20일, 평안남도 평양
    사망 :
    안원규 1947년 5월 22일정원명 1942년 6월 23일
    포상훈격 :
    안원규 1995년 건국훈장 독립장정원명 2014년 건국훈장 애국장
  • 조선교육회 朝鮮敎育會
    작업에 들어갔다. 1922년 1월에는 총독부의 인가를 받아 조선교육협회로 명칭을 변경했다. 같은 해 조선교육령(朝鮮敎育令)의 개정으로 대학설립의 길이 열리자, 민립대학설립운동을 전개하여 1922년 11월 이상재·현상윤·한용운(韓龍雲)·이승훈(李昇薰)·허헌(許憲)·송진우(宋鎭禹)·장덕수(張德秀) 등으로 민립대학...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교육
  • 경성제국대학 京城帝國大學
    연원 및 변천 1923년 이상재(李商在)를 대표로 하는 조선민립대학기성회(朝鮮民立大學期成會)의 발기 총회가 개최되어 거국적인 민립대학 설치운동이 일어나게...한편, 여론을 무마하기 위해 「경성제국대학령」을 공포하고 우리나라에 대학설립하게 되었다. 1924년에 먼저 초기 중등학교 졸업자를 대상으로 2...
    시대 :
    근대
    유형 :
    단체
    분야 :
    교육/교육
  • 조선대학교 조선대, 朝鮮大學校
    최초의 민립대학으로 설립된 종합대학. 1946년 5월 ‘조선대학교설립동지회’의 창립으로 시작되어, 같은 해 9월 광주야간대학원이 개교함에 따라 설립되었다. 1946년 11월 광주야간대학원을 조선대학원으로 교명을 바꾸었다. 1948년 5월 재단법인 조선대학설립되면서 조선대학원이 조선대학으로 개편되었다. 1953년...
    설립 :
    1946년 9월 29일
    유형 :
    사립 종합대학
    소재지 :
    광주광역시 동구 필문대로 309
    사이트 :
    http://www2.chosun.ac.kr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광주 , 대학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동아일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