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조선대학교

다른 표기 언어 朝鮮大學校 동의어 조선대, 조대
요약 테이블
설립 1946년 9월 29일
유형 사립 종합대학
소재지 광주광역시 동구 필문대로 309
사이트 http://www2.chosun.ac.kr

요약 광주광역시 동구에 소재한 사립 종합대학. 1946년 9월 대한민국 최초로 민립 고등교육기관인 광주야간대학원으로 개교했고, 1953년 지금의 조선대학교로 교명을 바꾸었다. ‘영재교육·생산교육·개성교육’을 건학이념으로 삼아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캠퍼스는 광주광역시 동구 서석동에 있다.

개요

한국 최초의 민립대학으로 설립된 종합대학. 1946년 5월 ‘조선대학교설립동지회’의 창립으로 시작되어, 같은 해 9월 광주야간대학원이 개교함에 따라 설립되었다. 1946년 11월 광주야간대학원을 조선대학원으로 교명을 바꾸었다. 1948년 5월 재단법인 조선대학이 설립되면서 조선대학원이 조선대학으로 개편되었다. 1953년 조선대학이 종합대학으로 개편되면서 조선대학교로 교명을 바꾸었다.

조선대학교(朝鮮大學校)

ⓒ 조선대학교 홍보팀/wikipedia | CC BY-SA 3.0

설립 이념

조선대학교는 개성을 중시하는 창조적 인재·정보화 시대를 선도하는 기술 인재·봉사 정신이 투철한 사회 지도자·국제적 식견을 겸비한 전문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건학이념은 ‘영재교육·생산교육·개성교육’이다.

연혁 및 변천

조선대학교는 1946년 4월 조선대학 설립동지회 창립준비위원회가 결성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같은 해 9월 조선대학설립동지회의 요청에 의해 광주야간 대학원이 설립인가를 받으면서 개교했다. 당시 개설된 학부는 4개 학부 12개 학과, 입학정원은 1,194명이었다. 1948년 5월에는 재단법인 조선대학이 설립허가를 받았다. 1953년 3월 조선대학이 종합대학교로 승격하면서 지금의 조선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했고, 문리과, 법정, 공과대학 3개의 단과대학을 설치하고 대학원을 설립했다.

1959년 9월에는 약학대학을 설립했다. 1965년 1월 사범대학, 1966년 12월 의과대학, 1971년 12월 체육대학, 1973년 12월 치과대학, 1978년 10월 경상대학, 1979년 9월 외국어대학, 1980년 10월 미술대학을 설립했고, 1978년 12월 교육대학원, 1979년 12월 산업대학원을 설치했다. 한편, 1980년 5·18 광주민주화운동 시기에 학생들은 조선대민주투쟁위원회를 조직하여 전남대학교 총학생회와 공동으로 시국 선언을 발표하였고 시민군 지도부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후 1995년 10월에는 지방정책대학원을 설립하면서 대학과 대학원의 구성을 갖추어 나갔다.

1971년 4월에는 부속병원을 개원하고, 1978년 10월에는 치과대학 부속치과병원도 개원했다. 1995년 5월 사회교육원을 설립했다. 2001년 3월에는 조선대학교부속병원이 ‘2002 FIFA월드컵 지정병원’으로 선정되면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2003년 7월 교육인적자원부로부터 지방대학육성사업에 선정되었고, 2004년 4월에는 사회교육원을 평생교육원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산학협력단을 설치했다. 같은 해 6월에는 지방대학 혁신역량 강화사업, 2008년 3월 지방기업주문형 인력양성사업에 선정되어 지방대학 양성 사업을 진행했다.

2011년 10월 조선대학교 주식회사 기술지주회사 제1호 자회사인 주식회사 티비엠을 설립해 대학 산하의 기업 사업을 시작했다. 2012년 3월에는 산학협력선도대학 육성 사업에 선정되어 4월 사업단을 신설했고, 2014년 8월에는 특별사업기구 학부교육선도사업단을 신설했다. 2017년 2월 대학창조일자리센터지원사업, 4월 창업선도대학육성사업 등에 선정되면서 학생들의 진로와 취업에 관해 도움을 주고 협장실습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2020년 11월 지역혁신플랫폼지원센터를 신설했다. 2023년 4월 웰에이징 메디케어연구소를 신설했다. 2024년 2월 대학 행정조직을 개편했다.

대학 조직

2025년 기준 대학은 글로벌인문대학과 자연과학/공공보건안전대학, 법사회대학, 경상대학, 공과대학, IT융합대학, 사범대학, 미술대학, 체육대학, 의과대학, 치과대학, 약학대학, 자유전공학부, 미래사회융합대학으로 나누어져 있다. 대학원 과정으로는 일반대학원을 비롯하여 의학전문대학원·치의학전문대학원·교육대학원·산업기술창업대학원·보건대학원·경영대학원·정책대학원·디자인대학원·임상약학대학원의 전문 과정을 갖추고 있다.

부속기관으로는 의료원, 중앙도서관과 정보전산원 등이 있다. 부설연구기관으로는 인문학연구원·기초과학연구원·법학연구원·사회과학연구원·지식경영연구원·공학기술연구원·국제문화연구원·의학연구원·약학연구소 등이 있다.

현황

조선대학교 캠퍼스는 광주광역시 동구 조선대길 146에 소재한다. 법인관계기관으로는 조선간호대학교·조선이공대학교·조선대학교 부속고등학교·조선대학교여자고등학교·조선대학교 부속중학교·조선대학교 여자중학교·조선대학교 병원·조선대학교 치과병원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조선대학교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