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선교육령 朝鮮敎育令일제강점기의 한국인에 대한 일제의 교육방침과 교육에 관한 법령. 내용 1910년 8월 초대 총독 데라우치[寺內正毅]의 교육방침은 우리 민족에게 이성이 발달할 수 있는 교육기회를 주지 않는 데 있었다. 일본신민화(日本臣民化)의 토대가 되는 일본어의 보급, 이른바 충량(忠良)한 제국 신민과 그들의 부림을 잘 받는 ...
- 시대 :
- 근대
- 성격 :
- 법령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911년 8월
- 분야 :
- 교육/교육
-
-
제3차 조선교육령기사 원문 개정 조선교육령 금일 추부(樞府)에서 가결 4월 1일부터 실시 [동경 전화] 4월 1일 실시 조선 교육제도에 획기적 대개정을 행하려는 조선교육령 개정 칙령안(勅令案)은 23일 추밀원(樞密院) 정례 본회의에서 원안대로 가결되었는데 정부는 안(案)의 어하도(御下渡)를 기다려 25일 각의에 부의(附議) 정식 결정...
- 간행/발행 :
- 매일신보 호외(1938년 02월 23일)
-
조선교육령의 발표 '일본에 충성하는 선량한 백성'을 목표로 삼다8월, 일본이 조선교육령을 발표했다. '천황에게 충성하는 선량한 백성'을 만드는 것이 목표였다. 이를 위해 일본은 '국어(일본어)'를 가르치는 보통 교육을 강화하고, 한국인이 세운 사립 학교를 탄압 했다. 또한 이른바 '민도(民度)', 즉 한국인의 수준에 맞는 교육이 필요하다며 기술 위주의 실업 교육을 강제하고...
- 시대 :
- 1911년 8월
- 국가/대륙 :
- 한국
-
총독부의 조선어 과목 삭제 조선교육령을 개정해 정규 과목에서 조선어를 삭제하다3월, 조선총독부가 내선일체를 강조하는 새 조선교육령을 공포했다. 개정안의 핵심은 학교 정규 과목에서 '조선어'를 뺀 것이었다. 이로써 학교에서 한국어 교육이 사실상 금지됐다. 이와 함께 새 조선교육령에는 일본과 한국의 학제를 통일하는 내용도 담겼다. 참조
- 시대 :
- 1938년 3월
- 국가/대륙 :
- 한국
-
조선민립대학설립운동 朝鮮民立大學設立運動金秉圭) 등이 창립한 교육개선회는 한국 고유의 민족성을 존중하고 계승하는 한국인 본위의 교육을 시행할 것을 총독부에 촉구했다. 그러나 조선총독부는 1922년 2월 조선교육령을 발표하고 모든 교육정책의 입안과 운영, 전문학교·대학 그리고 예과(豫科) 설립자격은 총독부에서 관장한다는 안을 확정했다. 이를 위해...
-
학교 學校우리 민족의 정신을 말살하고, ‘충량한 황국신민’으로 개조하려 한 것이 특징이었다. 그 정책실현의 가장 큰 방편이 학교교육이었다. 이에 수차례 조선교육령의 개정을 통하여 단계적으로 ‘친일우민화교육’에서 끝내는 ‘황민화교육’으로 나아갔다. 1911년에 8월 제1차 조선교육령으로 초등교육기관인 보통학교에서...
- 유형 :
- 제도
- 분야 :
-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