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식민지배 하의 민족항쟁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일제의 세력이 더욱 확장되며 식민 지배가 지속되자 현실을 인정하고 민족의 역량을 향상시켜 자주 독립의 기초를 이루자는 민족실력양성론이 청년, 여성, 소년, 농민, 노동계 등 각 방면에 걸쳐 나타나기 시작했다. 실력양성론은 조선청년총동맹, 조선여자청년회, 조선소년연합회 등을 결성하여...
- 시대 :
- 1919년~1945년
-
안창호 독립운동가전쟁이 시작되기 9일 전인 1937년 6월 28일 수양동우회사건으로 다시 일본경찰에 체포되었다가 1937년 12월 24일 병보석으로 나왔으나, 경성대학 병원에 입원해 있다가 이듬해 3월 10일 사망했다. 망우리에 안장했다가 1973년 11월 도산공원으로 이장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실력양성론, 흥사단
- 출생 :
- 1878(고종 15). 11. 9, 평남 강서
- 사망 :
- 1938. 3. 10, 서울
- 국적 :
- 한국
- 본관 :
- 순흥(順興, 지금의 경북 영주 순흥면)
- 호 :
- 도산(島山)
-
-
서우학회 西友學會하였다. 기관지로 『서우(西友)』를 간행하였다. 『서우』는 1906년 12월부터 매달 발행되어 14호까지 발행되었다. 핵심사상은 국권회복을 목표로 한 실력양성론을 기반으로 삼고 있었다. 계몽강연활동을 통해 일반 민중의 지식을 계발하고 애국심을 고취시키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민중 계몽을 위해 내놓은 이론은...
- 시대 :
- 근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역사/근대사
-
민족개량주의 民族改良主義장기간에 걸쳐 실력을 양성해야 한다는 입장으로 현실의 정치적인 문제를 외면한 결과이기도 하였다. 계몽운동에 참여했던 사람들은 합방을 전후하여 실력양성론 · 준비론을 계속 견지하던 집단과 이러한 논의의 한계성을 지적하고 무장항쟁노선을 추구하던 집단으로 갈리게 되었다. 전자는 일제에 대한 대응에 따라...
- 시대 :
- 근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역사/근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