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 政黨名簿式 比例代表制정당이 사전에 후보 명부를 작성해 제출하고, 유권자가 정당명부 또는 정당명부의 후보자에 투표하면, 각 정당의 투표율에 따라 의석을 배분하는 선거제도. 명부 순위의 변동 가능성에 따라 종류가 나뉘며, 한국에는 17대 총선부터 1인 2표제가 도입됨에 따라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가 시작됐다. 비례대표제 VS 다수대...
-
정당 명부식 비례대표제 (관련어 정당명부..) Party-list proportional representation, 政党..출처 필요 정당 명부식 비례대표제(政黨名簿式比例代表制)는 정당에서 제출한 목록에 따라 비례대표를 선출하는 선거 방식이다. 정당 명부식 방법은 다시 구속 명부식(혹은 폐쇄형)과 비구속 명부식(혹은 개방형)으로 나뉜다. 구속 명부식의 경우에는 유권자가 각 정당에 대해서만 유권자가 선호표시를 할 수 있을 뿐, ...도서 위키백과
-
Party-list proportional representation 정당 명부식 비례대..Party-list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s are a family of voting systems emphasizing proportional representation (PR) in elections in which multiple candidates are elected (e.g. elections to parliament) through allocations to an electoral list. They can also be used as part of mixed addition...출처 영어 위키백과
-
구속명부식 비례대표제 拘束名簿式 比例代表制, bin..덴마크, 스웨덴 등은 비례대표제가 기본이며, 독일은 한국과 같은 혼합형 비례대표제인데 지역구 299석 정당명부 299석이다. 2020년 기준 1인2표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는 2001년 헌법재판소가 1인1표의 지역구투표를 통한 비례대표 의원 선출은 위헌이라고 판단하면서 만들어진 제도로, 2020년 개정되어 비례대표 의석...
-
비구속명부식 비례대표제 자유명부식 비례대표제, 非拘..정당에만 투표하는 게 아니라 후보자까지 선택할 수 있는 비례대표제의 한 방식. 자유명부식이라고도 한다. 높은 비례도(득표율과 의석률의 일치율)를 유지하면서 인물까지 선택할 수 있어 비례대표제의 장점을 가장 잘 반영할 수 있는 제도이다. 유권자의 의사를 의회에 전달하는 수단으로서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
비례대표제 比例代表制, The Proportional Repre..공직선거법」 개정으로 국회의원총선거에서도 지역구의원선거와 비례대표의원선거에 각각 1인 1표씩 투표하는 1인 2표제를 도입함으로써 전형적인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를 채택하였다. 2005년 들어서는 자치구·시·군 단위에도 비례대표제를 채택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2020년 4월 15일 치러진 제21대 국회의원...
- 시대 :
- 현대
- 성격 :
- 선거제도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2002년(1차), 2004년(2차)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semi-linked proportional..논의가 급물살을 타기 시작했다. 2004년부터 시행해 온 기존 국회의원 선거제도는 지역구 국회의원은 소선거구 단순다수제로 선출함과 함께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에 따라 비례대표국회의원을 독립적으로 선출하는 선거제도이다. 기존 선거제도에서 정당 득표율과 의석 점유율 사이의 불일치가 큰 폭으로 나타나고 지역...
-
단기이양식 비례대표제 영국식 비례대표제, 單記移讓式 比例代表制투표제도. 명부식 비례대표제에 상대되는 개념이다. 1821년 영국의 수학자 토마스 힐(Thomas Hill)에 의해 연구된 뒤 1856년 덴마크 의회선거에서 처음 시행되었다. 영국의 사상가 존 스튜어트 밀(John Stuart Mill)은 최고의 선거제도라며 칭찬했으나 영국의 경제학자 월터 배저트(Walter Bagehot)는 군소후보의 당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