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관련어 ..) ..위키문헌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은 대한민국의 법률이다. 일제강점하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에관한특별법이 2003년 8월 14일 국회의원 155명이 발의해 11월 국회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에 회부되었으나 2004년 2월에 법제 사법 위원회에서 반려되었다가 3월 2일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되어서 3월 2...도서 위키백과
-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親日反民族行..2004년 3월 22일 공포된 '일제강점하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에 근거하여 2005년 5월 31일부터 2009년 11월 30일까지 활동한 대통령 소속 행정위원회이다. 위원장 1인, 상임위원 1인을 포함한 11인으로 구성되었고 주요 활동은 일제 강점하의 친일 반민족행위 관련 국내외 자료 수집, 친일...
-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親日反民族行..개설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는 「일제강점하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2004.3.22 공포) 및 「일제강점하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2004.10.29 공포, 대통령령 제18571호)에 의거하여 2005년 5월 31일 설립되었다. 위원회의 주요 업무는 친일반민족행위 조사대상자 선정...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역사/현대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親..행위를 인정했다.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일제강점하 강제동원피해 진상규명 등에 관한 특별법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의 국가귀속에 관한 특별법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친일반민족행위 106인 명단...도서 위키백과
-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의 국가귀속에 관한 특별법공격을 명령한 행위, 독립운동 또는 항일운동에 참여한 자 및 그 가족을 살상·처형·학대 또는 체포하거나 이를 지시 또는 명령한 행위 등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제6호·제8호·제9호의 행위를 한 자와 같은 법 제3조에 따른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결정한 친일반민족...
-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결정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4부 25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1,000여 쪽에 달한다. 1부: 위원회 활동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의 출범 배경과 설치 과정,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및 시행령 제정 과정, 조직 구성과 변천 과정, 위원 및 자문위원 명단 및 직원 명단, 위원회, 자문위원회...도서 위키백과
-
-
민상호 閔商鎬1918년 10월 10일 종4위, 1926년 정4위에 서위되었다. 민상호의 이상과 같은 활동은 2004년 10월 29일 공포된 대통령령 제18571호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제7·9·19호에 해당되어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되었다.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의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
- 시대 :
- 근대/개항기, 근대/일제강점기
- 출생 :
- 1870년(고종 7) 6월 3일
- 사망 :
- 1933년 9월 5일
- 경력 :
- 한성판윤, 외부협판, 조선총독부 중추원 의관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춘생문사건
- 직업 :
- 관료, 친일반민족행위자
- 성별 :
- 남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본관 :
- 여흥(驪興)
-
임선준 任善準1907년 훈1등 태극장(太極章), 일본정부로부터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旭日桐花大綬章)를 받았다. 임선준의 이상과 같은 활동은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제6·7·9·19호에 해당하는 친일반민족행위로 규정되어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 Ⅳ-15: 친일반민족행위자 결정이유서...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60년(철종 11) 12월 17일
- 사망 :
- 1919년 2월 21일
- 경력 :
- 탁지부대신
- 유형 :
- 인물
- 직업 :
- 관료, 친일반민족행위자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본관 :
- 풍천(豐川)
-
김덕한 金德漢1940년 일본 정부로부터 기원2600년 축전기념장(정4위)을 받았다. 김덕한의 일제 강점기 활동은 2004년 10월 29일 공포된 대통령령 「일제강점하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제7호에 해당하는 친일반민족행위로 규정되었다.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간한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
- 시대 :
- 근대/개항기, 근대/일제강점기
- 출생 :
- 1874년(고종 11)
- 사망 :
- 1946년 12월 17일
- 경력 :
- 태의원 소경, 궁내부 특진관, 봉상사 제조, 종묘서 제조, 의효전 제조
- 유형 :
- 인물
- 직업 :
- 관료, 친일반민족행위자
- 성별 :
- 남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본관 :
- 안동(安東)
-
박재홍 朴在弘게재하였다. 함경남도 산업과장, 상공과장 재직시에는 도민들을 압박하여 각종 군수품을 조달하는 데 앞장섰다. 박재홍의 일제강점기 활동은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제19호에 해당하는 친일반민족행위로 규정되어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 Ⅳ-7: 친일반민족행위자 결정...
- 시대 :
- 근대/개항기, 근대/일제강점기
- 출생 :
- 1892년(고종 29) 1월 15일
- 사망 :
- 1977년 2월 18일
- 경력 :
- 풍산군수, 산업부 상공과 과장, 충북지사, 충남지사
- 유형 :
- 인물
- 직업 :
- 관료, 친일반민족행위자
- 성별 :
- 남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
-
신태영 平山輔英, 申泰英회장을 역임했으며, 1954년 현역으로 복귀하여 민병대 총사령관을 지냈다. 1959년 4월 8일 사망했다. 신태영의 이상과 같은 활동은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제10·11호에 해당하는 친일반민족행위로 규정되어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 Ⅳ-9: 친일반민족행위자 결정이유서(pp...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정치·법제/국방